[vc_row][vc_column width=”1/1″][vc_tabs][vc_tab title=”1960~1970″ tab_id=”1434908547849-3-8″][vc_column_text]▲ 1960년
1월22일 : 독립유공자 김호씨는 대한인국민회가 변할 때가 왔다고 신한민보에 기고. 미주한인회로 국민회의 명칭 변경을 제안.
4월19일 : 한국에서 4.19학생의거 일어남.
4월23일 : 남가주한국유학생회 회원 50명은 4.19학생의거 지지와 3.15부정선거 규탄 및 재선거를 주장하는 성명서 발표. LA시청 및 나성총영사관 앞에서 데모.
4월24일 :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장 김호씨는 4.19학생의거에 대처하는 회의 주재. 이승만 대통령 하야와 정 ∙ 부통령 재선거를 주장하는 성명서를 미국 국무장관에 보냄.
4월27일 : 워싱턴DC 한인친목회는 4.19학생의거 후 명칭을 한인회로 고침.
5월1일 : 전체 한인단체가 참석한 민중대회 개최. 4.19학생의거 희생학생 추모와 한인사회 미래를 논의. 6백달러를 모금 4.19희생자 가족에 보냄. (데니스홀)
5월13일 : 재미한족 대동단결촉진위원회를 구성. 김호씨를 의장으로 선임.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5월29일 : 이승만 대통령 하와이로 망명.
7월3일 : 재미한족 대동단결촉진위원회 제1차 회의. 대한인국민회와 동지회의 반목을 씻어내고 새 이민사회에 맞는 한인회와 같은 새 단체를 만들기로 함.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8월17일 : 대동단결촉진위원회는 미주한인회 구성을 위한 7백장의 설문조사.
10월3일 : 제3차 촉진위원회는 설문조사에 미주한인회 구성을 지지하는 한인이 가장 많았다고 발표 후 자진 해산.
▲ 1961년
3월10일 : 초기이민 2세들이 미한시민기구(American Korean Civic Organization, 약자 AKCO)를 발족. 한인 권익옹호를 목적으로 하고 초대회장은 치과의사인 찰스 윤씨 선출.
6월30일 : 남가주한국유학생회(회장 김종식)는 유학생 주소록을 발간.
9월16일 : 초기이민자와 한국 유학생은 남가주한인거류민회를 구성을 위한 첫 모임.
11월19일 : 남가주한인거류민회 발기총회. 데이 신 초기이민 2세 변호사와 박정노 USC 교수 등 50명 참석. (데니스 홀)
12월 10일 : 초기이민 원로와 나성총영사관 영사들이 한인커뮤니티센터(韓人館) 설립을 위한 특별대회 소집을 결정.
▲ 1962년
1월4일 : 국민회 김호씨와 동지회 송철씨는 가주한인커뮤니티센터(Committee for Korean Center of California) 설립위원회 구성에 합의.
2월1일 : 가주한인커뮤니티센터 설립을 위한 첫 모임. 국민회, 동지회, 한인단체, 유학생, 교계 대표 등 37명 참석.
3월15일 : 가주한인센터 발기인 총회를 개최. 발기인 125명중 72명 참석. 대한인국민회 김호씨를 위원장에, 동지회 송철씨를 부위원장, 서기 진희섭, 재무 임일, 선전 차상달씨 등 창립이사 21명 선출.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3월18일 : 한인센터 첫 임원회의. 한인센터 설립 선언문 작성. 한인센터 건물 설계를 USC 이덕원씨에 의뢰.
3월26일 : 한인센터 설립 모금을 위한 편지를 발송.
4월18일 : 국가재건회의 박정희 의장이 안광수 나성총영사를 통해 한인센터 건립기금 5백달러를 전달.
4월26일 : 이덕원 설계사는 한인센터 건물 조감도를 작성. 건평 11860평, 집회실 6600평, 주차장 6000평
5월25일 : 미한시민기구(AKCO) 회장 찰스 윤 주최로 샘 요티 LA시장 초청 기념만찬.
6월14일 : 한인센터(Korean Community Center, Inc.) 를 비영리 사회단체로 가주 총무처에 등록.
8월15일 : 대한인국민회 주최로 LA시청앞에서 광복절 기념 태극기 게양식.
11월25일 : 한인센터는 2525 W. Vernon Ave. Los Angeles, CA 90008에 있는 2층 건물을 구입하기로 최종 결정. 가격은 7만 달러.
11월28일 : 나성 한국무역관 개설. 초대관장은 김관민씨.
12월15일 : 한인센터는 김호씨와 최진하씨를 모금위원으로 선출. 12월31일까지 13만달러의 기금지원 약정을 받음.
▲ 1963년
1월10일 : 한국정부는 한인센터 건립기금 1만달러를 보내옴. 한인센터 모금액의 20% 지원을 약속했고 5만달러의 모금을 보고 안광수 나성총영사를 통해서 김호 위원장에게 전달.
1월12일 : 김호 위원장은 모금 총액은 13만달러이고 한인센터는 건물 신축이 아닌 기존 건물의 구입을 발표.
2월20일 : 한인센터 건물(2525 W. Vernon Ave. Los Angeles, CA 90008)을 3만달러를 다운페이하고 7만달러에 구입. 강당과 회의실을 갖춘 2층 건물로 월 페이먼트는 405달러.
3월27일 : 한인센터는 건물 구입후 재정보고. 약정금은 13만달러이고 3만8백달러 입금.
4월5일 : 한인센터 개관식. 김호 이사장 안광수 나성총영사 등 한인사회 인사와 LA시 관계자 참석.
6월15일 : 한인센터는 새 임원진을 선출. 행정부 회장 김호, 부회장 송철, 새 이사 15명 선임.
7월12일 : 한국 미스코리아 진 김명자양이 마이애미에서 열린 미스유니버스대회에서 5위를 차지하고 나성 방문. 한인센터에서 환영파티.
8월 2일: 미스코리아 선이 롱비치 국제미인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나성 방문.
9월1일 : 배재중고등학교 동창회 발기대회. 김경신, 서동성, 현창호씨 등 20명 참석. (고려정)
10월10일 : 한인센터 행정부(회장 김호)는 주요 사업 내용 발표. 한인센터 사용은 회의 및 전시회 등 모두 23회.
11월6일 : 세계적 음악가 안익태씨가 방문. 환영회를 한인센터 주최로 개최.
12월4일 : 한인센터는 올 1년 재정보고. 입금 예상 9만달러, 총 수입 4만7천달러, 지출 4만7천달러.
▲ 1964년
1월4일 : 한인센터(회장 김호)는 정기총회 개최. 이사 22명 선출(국민회 2, 동지회 5, 초기이민 2세 3, 교계 2, 기타 7)
1월31일 : 한인센터는 제1차 정기이사회 개최. 새 이사장 김호씨, 새 회장에 송철씨 선출.
2월1일 : 한인센터는 제1차 행정부(회장 송철) 회의 개최. 경로회 개최 등 사업계획 논의.
2월7일 : 한국 아리랑 가무단의 단장 김생려씨 안무 권려성씨 등 40명 단원이 전세계 순회 공연 길에 나성 방문.
2월28일 : 한인센터는 운영위원회를 열고 개관 1주년 축하행사 개최 논의.
4월3일 : 오리엔탈 헤리티지 한국부에서 한인록을 처음 발행. 1천교포 주소 수록. 발행인 박학선씨, 편집인 변천수씨.
4월5일 : 한인센터(이사장 김호, 회장 송철)는 개관 1주년 기념 축하행사. 제1부는 기념식, 2부는 80세이상 초기이민 원로 경로잔치.
4월11일 : 한인센터는 순교자를 쓴 소설가 김은국씨 초청 강연회.
4월15일 : 한인센터는 2차 정기이사회. 11명의 이사 참석. 김은국씨 강연회 수입 595달러 보고.
5월15일 : 한인센터는 제2차 행정부(회장 송철) 회의. 한국 농구단 환영회 및 미스코리아 파티 개최 논의.
6월10일 : 한인센터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남가주한인회를 창립하자는 첫 발기인 모임. 준비위원장 조용삼 박사, 총무 이경동씨. (Rudi Italian 식당)
6월27일 : 한인센터는 기금모금 바자회를 2일간 개최. 나성 한국무역관에서 고려 인삼주 등 전달.
7월30일 : 한인센터는 제3차 행정부 회의 개최. 8월16일 롱비치 국제미인대회에 참가하기로 결정.
7월31일 : 한인센터는 대한인기독교회 이정율 담임목사를 초청, 북한 실정 강연회 개최.
8월15일 : 한인센터는 LA시청 앞에서 광복절 기념 태극기 게양식 개최. 김호 이사장, 샘 요티 LA시장, 안광수 총영사 참석.
8월16일 : 한인센터는 미스코리아 진 이혜진양 환영 댄스파티.
9월9일 : 아리랑 가무단(단장 김생려, 프리마돈나 권려성)이 Greek Theater에서 5일간 공연.
10월9일 : 작곡가 안익태씨가 마이애미교향악단을 지휘한 후 나성을 방문.
11월3일 : 한인센터는 제4차 행정부(회장 송철) 회의를 개최. 새해 1월7일 정기총회 개최 결정.
11월19일 : 한인센터는 제3차 이사회(이사장 김호)를 개최하고 재정보고, 총 수입 9천3백달러.
11월26일 : 나성미술가협회 창립. 회장 위상학씨, 부회장 김봉태씨 선출.
▲ 1965년
1월7일 : 한인센터는 정기총회 개최. 재정보고 및 사업논의. 21명의 이사를 11명으로 축소.
1월21일 : 한인센터는 제1차 정기이사회. 이사장 김호씨 재선임.
3월14일 : 남가주한인회 발기대회. 70명이 참석했고, 한인센터 지원을 목표로 창립. (고려정)
3월19일 : 조용삼 박사는 신한민보에 한인회 설립의 필요성을 4회에 걸쳐서 기고.
3월26일 : 한인센터는 제2차 이사회. 1월과 2월 수입 2,340달러 보고.
5월1일 : 남가주한인회 창립대회. 250명 한인 참석. 초대회장 조용삼 박사, 부회장 김하태 박사, 김창하 박사, 총무 이경동씨. 21명의 이사 선출. (한인센터)
5월24 ~ 26일 : 박정희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나성 도착.
6월27일 : 남가주한인회는 경로잔치. 80세 이상 원로교포 초청. (한인센터)
7월19일 : 이승만 전 대통령 하와이에서 서거. 향년 90세. 한국 국립묘지 안장.
8월1일 : 연세대학교 동문회 창립총회. 초대회장에 권희상 목사.
8월15일 : 남가주한인회는 8.15경축행사 및 미스코리아 김경숙양 환영회 개최. (카브리요비치공원)
8월24일 : 한인센터는 제3차 이사회. 건물 수리비 780달러 지출 결의.
8월30일 : 한인센터는 미스코리아 김경숙양 환영회 개최.
9월11일 : 한인음악가협회는 춘향전을 공연, 이도령 이우근씨, 춘향 다이안 장씨. (한인센터)
9월24일 : 고려대학교 교우회 창립 총회. 발기인은 송영창씨, 프랭크 안씨, 김창수씨, 윤병욱씨.
10월3일 : 존슨 대통령은 케네디 이민법이라고 부르는 새 이민법에 서명. 한국의 이민 쿼터는 연 2만명.
12월1일 : 오리엔탈 헤리티지 한국부는 가주한인록 발간. 발행인 박학선씨, 편집인 변천수씨.
12월8일 : 남가주한인회(회장 조용삼)는 제1회 한인회장배 탁구대회 개최. (한인센터)
12월31일 : 새 이민법 실시에 대한 각계인사 초청 좌담회 개최. (한인센터)
▲ 1966년
1월7일 : 조용삼 한인회장은 모친상(조경규 전 국회부의장 부인)을 당해 한국 방문.
1월23일 : 한인센터는 정기총회. 이사장 김호씨, 회장 송철씨 선임.
2월13일 : 남가주한인회는 정기총회. 리처드 하나 연방 하원의원이 미국정치 강연. (고려정)
3월11일 : 한인센터는 3차 이사회. 정관을 수정.
4월8일 : 한인센터는 4차 이사회. 재정보고 후 새 이사로 서동성씨 영입.
4월29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회. 조용삼 회장은 유임하고 새 이사장에 이화목 여사 선임.
5월13일 : 한인센터는 5차 이사회. 김호 이사장은 사의 표명.
6월3일 : 한인센터는 긴급 이사회. 김호 이사장의 사표 반려. 한인센터 건물 판매문제 논의.
6월26일 : 남가주한인회(회장 조용삼)의 모국방문단 출발. 나성총영사관이 후원.
7월1일 : 한인센터는 6차 이사회를 갖고 건물 임대 문제를 논의.
8월15일 : 남가주한인회 주최로 LA 시청 앞에서 광복절 축하 태극기 게양식.
9월10일 : 한인센터는 9차 이사회를 열고 건물을 매각 후 나성총영사관이 들어올 수 있는 새 건물 구입문제를 논의.
9월16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국영화 연산군을 상영. (La Tosca극장)
10월 9일 : 한인센터는 특별총회. 건물 매각을 최종 결정.
11월30일 : 이화목 남가주한인회 이사장은 한인센터 판매에 반대 입장 발표. 한인사회의 모금활동을 제안.
12월3일 : 한인센터 9차 이사회는 건물 판매를 위해 신문에 광고를 내기로 함.
12월26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회를 열고 한인센터에 있던 사무실을 나성총영사관(5455 Wilshire Blvd.) 11층으로 이전 결정.
▲ 1967년
1월13일 : 한인센터는 긴급이사회를 열고 이사 임기를 1년제, 2년제, 3년제로 정관 개정.
1월15일 : 한인센터는 정기총회. 5년간 총수입 7만8천달러 지출 7만8천달러.
1월18일 : 남가주한인회는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새 회장에 김하태 박사, 부회장에 김형일 박사, 김창하 박사 선출.
1월21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회를 갖고 이화목 이사장의 연임 결정. 부이사장은 조용삼 박사.
1월22일 : 한인센터는 1차 이사회를 갖고 새 이사장에 박준환 박사, 부이사장 최진하씨, 새 회장은 김종식씨 선출. 건물 매매위원에 김호씨, 박준환 박사, 김종식씨 임명.
1월27일 : 남가주한인회(회장 김하태)는 한국영화 초우 상영. (La Tosca 극장)
2월4일 : 한인센터는 남가주한인회와 통합문제 논의. 새 명칭은 한인협회와 한인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로 함.
2월19일 : 남가주한인회(회장 김하태)와 한인센터(회장 김종식)는 합동이사회를 갖고 두 단체의 통합을 최종 결의.
3월12일 : 한인센터는 건물 판매가격을 7만1천달러로 결정.
4월9일 : 한인센터는 부동산 중계인 죠지 최씨에 판매를 의뢰. 건물기금은 새 건물을 구입할 때까지 송철씨, 이화목씨, 이경동씨가 공동관리 하기로 결정.
6월9일 : 한인센터 건물을 AME흑인교회에 7만5천달러에 매각. 구입 5년만에 판매.
7월3일 : 한국외환은행 나성지점 개설. 초대 지점장에 김용권씨.
11월12일 : 한인센터는 새 건물 구입에 나섰지만 결정을 하지 못함. 한인회와 통합을 계속 추진하기로 함.
11월17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회를 갖고 한인센터와 통합 안건을 토의.
12월3일 : 한인센터와 남가주한인회는 공동이사회 개최. 통합 준비를 위해 4인위원 임명(조용삼, 이경동, 김중정, 김종식). 두 단체 통합 후 새 단체 명예회장에 김호씨 추대.
▲ 1968년
1월5일 : 대한인국민회 총회장, 한인센터 회장 및 이사장인 독립운동가 김호씨 별세. 향연 85세.
1월7일 : 남가주한인회와 한인센터는 합동이사회 개최. 김호씨 장례식에 2백달러 조의금과 조화를 보내기로 결정.
1월8일 : 김호씨 장례식을 남가주한인회장으로 거행. 중가주 리들리에 안장.
1월14일 : 남가주한인회와 한인센터는 합동총회 개최. 통합단체의 명칭은 남가주한인거류민회로 결정. 15명의 이사 선임. 조용삼 박사를 초대 회장으로 선출, 부회장은 김중정씨, 이경동씨. (데니스홀)
▲ 1969년
1월12일 : 남가주한인거류민회 초대회장 조용삼 박사 심장마비로 별세. 한인거류민회장으로 장례식 거행.
1월25일 : 남가주한인거류민회는 정기총회를 열고 새 회장에 박규현 목사 선출. 이사장은 이화목 여사.
2월15일 : 박규현 한인거류민회 회장은 각 대학 유학생회 회장 초청 간담회 개최.
3월1일 : 남가주한인거류민회는 3.1절 기념식 개최. 노신영 나성총영사 등 각계 인사 참석.
5월9일 : 박규현 회장은 김익준 국회의원 초청, 시국강연회 개최.
5월18일 : 한인거류민회는 이사회를 열고 정관 개정을 논의.
6월9일 : 한국일보 나성지사 개설. 지사장은 장재구씨.
8월10일 : 박규현 한인거류민회 회장은 캄튼시와 수원시의 자매결연을 축하하는 연회 개최.
▲ 1970년
1월30일 : 남가주한인거류민회는 정기총회를 열고 김형일 박사를 새 회장으로 선출.
2월8일 : 한인거류민회는 새 이사장에 송철씨를 선출.
2월15일 : 한인거류민회는 1차 이사회를 열고 사업계획 등 논의. 노신영 총영사 참석.
3월1일 : 한인거류민회는 나성총영사관과 공동으로 제51주년 3.1절 경축행사 개최. (Elks Bldg)
6월21일 : 한인거류민회(회장 김형일)는 교포야유회 개최. 500명 참가. (파사디나 브룩사이드공원)
8월15일 : 제25회 8.15경축기념식과 태극기 게양식을 LA시청 앞에서 한인거류민회와 나성총영사관 주최로 개최. 400명 참석.
9월1일 : 한인거류민회는 여름방학 한인청소년 수련회 캠프 코니퍼 주최. 노준희 부회장이 전담. (빅베어 산장)
9월25일 : 김형일 한인거류민회 회장은 한인회관건립추진위원회 구성을 발표.
12월12일 : 한인거류민회는 회장단 후보 추천 7인위원회 구성. 회장 후보는 김형일 박사와 박준환 박사.
12월18일 : 김형일 회장 후보 사퇴. 박준환 박사 단일 후보로 등록.
12월27일 : 한인거류민회는 망년파티. 1000명 참석.
12월29일 : 한인거류민회는 긴급이사회를 열고 소니아 석 여사를 회장 후보로 추천.[/vc_column_text][/vc_tab][vc_tab title=”1971~1980″ tab_id=”1434908729389-4-5″][vc_column_text]▲ 1971년
1월24일 : 한인거류민회는 정기총회를 열고 새 회장에 소니아 석 여사, 부회장은 오재인 박사와 장준철씨 선출. 교포 1천명 참석. (Elks Bldg.)
2월6일 : 한인거류민회는 첫 이사회를 열고 이사장에 박규현 목사 선출. 장준철 부회장의 사퇴로 이천용씨 선임.
2월10일 : 한인거류민회(회장 소니아 석)는 LA카운티 소셜워커 이춘자씨의 각종 상담 프로그램 실시.
2월21일 : 이사회를 열고 결혼상담소 설치를 결의. 예산은 32만 8천달러 책정.
2월26일 : 한인거류민회 후원으로 청소년을 위한 캠프 코니퍼의 겨울방학 프로그램 시작. (빅베어산정)
3월1일 : 제52회 3.1절 기념식을 주최.(Ambassy Auditorium)
3월12일 : 소니아 석 회장은 한인회관은 건립이 아닌 매입계획을 발표.
3월27일 : 김형일 전 한인거류민회 회장과 송철 전 이사장이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4월18일 : 한인거류민회는 한인회관건립위원회를 해체하고 8인위원회를 구성.
5월23일 : 제11회 롱비치 미스인터내셔널 선발대회에 한인거류민회에서 참가.
6월19일 : 한인거류민회 야유회에 교포 600명 참석.
6월28일 : 한인거류민회는 로이 볼 연방 하원의원에게 명예 회원증 수여.
7월30일 : 한인거류민회는 한국 수재민 구호의연금 모금운동.
8월7일 : 한인거류민회는 8.15경축기념 모국방문단을 모집. 출발 5일전에 투서로 중단.
8월10일 : 한인거류민회는 사과성명을 내고 밀고자 색출에 나섬.
8월14일 : 한인거류민회는 8.15경축의 밤 행사를 개최. 현미, 이미자, 최희준씨 등 출연. (빌트모어호텔)
8월16일 : 7개 한인 여행사 대표들이 한인여행사협회 결성. 한인거류민회 모국방문의 밀고와는 관계없다고 발표.
9월4일 : 소니아 석 한인거류민회 회장은 뉴욕에서 열린 한인회 회장회의 참석.
9월15일 : 한인거류민회 12명 이사들은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창립총회에 참석한 소니아 석 회장 문제를 논의.
9월19일 : 미주한인회총연합회를 결성. 미주지역 19개 한인회장이 참석. 7개 회장은 퇴장. 회장에 소니아 석 여사, 이사장은 이기수 필라델피아한인회장. (앰버서더호텔)
9월21일 : 한인거류민회는 긴급이사회를 개최하고 소니아 석 회장의 자격을 박탈. 오재인 부회장을 회장 직무대리로 인준. 미주한인회연합회 결성은 한인거류민회로 부터 인준을 받지않았기 때문으로 발표. 소니아 석 회장은 이사회 결의는 무효라고 신문에 광고를 냄.
10월13일 : 한인거류민회 이사회는 9.21이사회 결의를 재확인. 소니아 석 회장은 임시총회 개최. 자신의 신임을 묻겠다는 강경 입장 발표.
11월2일 : 한인거류민회는 수습방안으로 소니아 석 회장과 박규현 이사장이 공동으로 사과문 발표.
11월7일 : 한인거류민회는 임시이사회를 갖고 소니아 석 회장의 사표를 수리. 박규현 이사장 동반 사퇴. 오재인 부회장을 대표로 하는 5인집행위원회 구성.
12월13일 : 한인거류민회는 회장후보로 죠지 최씨와 이경동씨를 추천.
▲ 1972년
1월26일 : 이경동 회장 후보는 투표 4일전에 상대 후보가 무더기 등록을 한다며 사퇴.
1월30일 : 한인거류민회는 정기총회를 열고 단독 후보로 등록한 죠지 최씨 당선 발표.
1월30일 : 정기총회는 남가주한인거류민회라는 명칭을 남가주한인회로 바꾸는 정관을 개정.
2월12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장에 진형기 박사 선출.
2월27일 : 남가주한인회는 2만8천달러의 예산을 확정.
3월1일 : 남가주한인회는 제53회 3.1절 기념식을 7백여 교포가 참석한 가운데 거행. 독립유공자 18명 초청. (컨밴션센터)
3월6일 : 김중정 전 한인거류민회 이사와 최태범씨가 한국에서 구속됨.
3월21일 : 무료 결핵진단 행사를 한인회 사무실에 개최.
3월27일 : 죠지 최 남가주한인회장은 2559 W. Olympic Blvd.에서 한인회 사무실 현판식을 거행.
4월8일 : 남가주한인회 제1회 남가주미스코리아 선발대회를 주최. 한국일보 나성지사가 주관. 진에 김성실양, 선 양희정양, 미 이명희양 선발. (로벗슨한인연합감리교회)
4월19일 : 죠지 최 한인회장은 대한항공 여객기 미주취항 축하행사를 LA국제공항에서 개최.
5월7일 : 죠지 최 한인회장은 노신영 총영사 환송연을 개최. (윌셔하이아트호텔)
7월19일 : LA시와 부산시의 자매결연식. (LA시청)
8월7일 : 죠지 최 한인회장을 단장으로 하는 8.15광복절 경축 모국방문단 150명이 한국으로 출발.
8월12일 : 남가주한인회와 나성총영사관 공동주최로 8.15광복절 경축 기념식 거행. 2500명의 교포 참석. 곽규석, 신성일, 조미미 출연. (LA컨벤션센터)
8월17일 : 죠지 최 한인회장과 이광덕 한국문화회관 관장이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9월15일 : 남가주한인회는 각계인사 23명으로 한인회관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
9월20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국 홍수 피해자를 돕기위한 의연금품을 모집.
9월21일 : 진형기 한인회 이사장이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상.
10월6일 : 남가주한인회 이사회는 한인회관건립준비위원회 발족을 결의. 건립준비위원장은 문성옥씨, 감사는 김기순씨.
10월14일 : 남가주한인회 이사회는 여론조사 후 한인회장 선출을 직접선거에서 이사회에서 선출하는 간선제로 정관 개정. 회장 임기는 2년으로 연장.
10월28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 출범. 초대위원장 김시면씨. 총 20조의 정관 통과. (한국문화회관)
10월31일 : 김시면 위원장은 약속기금 5만달러 중 2만달러 입금.
11월2일: 남가주한인회는 한인록 발간.
11월11일 : 남가주한인회는 롱비치항에 입항한 해군함정 및 해군장병 환영행사.
12월15일 : 남가주한인회는 정관개정을 최종 확정.
12월22일 : 죠지 최 남가주한인회장이 제8대 박정희 대통령 취임식 참석.
▲ 1973년
1월4일 : 남가주한인회 회장단 입후보를 마감. 첫 간접선거에 김종식 후보와 최순달 후보가 등록.
1월7일 : 제9차 이사회에서 김종식 후보가 16표를 얻어 남가주한인회 회장에 당선. 최순달 후보는 11표.
1월12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 임원진 개편. 문성옥씨는 부위원장, 사무국장은 최순달 박사.
1월28일 : 남가주한인회 새 이사 선거.
2월9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기금을 모으고 회관을 짖지 못하면 기탁자에게 원금에 이자를 포함 상환하기로 함.
2월14일 : 남가주한인회는 3만5천달러의 예산 확정.
2월22일 : 남가주한인회는 남미여권 구제를 본국 정부에 건의함.
2월23일 : 교포 여론을 듣기 위해 소리함을 한인식당에 설치.
3월1일 : 김종식 한인회장은 3.1절 54주년 기념식에 한국 민속공연단을 초청했으나 오지를 못해서 공연 취소.
3월3일 : 김시면 한인회관건립위원회 위원장 사임.
3월21일 : 남가주한인회를 비난하는 문서가 나성총영사관에 전달.
3월23일 : 한인회관건립위원장 서리에 문성옥씨 임명.
4월14일 : 제2회 남가주미스코리아 선발대회 개최. 진 이혜숙양, 선 강정실양, 미 이우인양. (LA컨벤션센터)
5월16일 : 대한항공 미주노선 첫 747점보기 LA국제공항 도착.
6월24일 : 남가주한인회 주최 야유회에 8백 교포 참가. (라데라파크)
6월29일 : LA시는 남가주한인회에 어린이 레크레이션 기금 1500달러 전달.
7월1일 : 남가주한인회는 톰 브레들리 시장 취임식에 한인여성행진대를 참가시킴.
7월3일 : 한국정부는 남가주한인회에서 건의한 남미이민 여권 소지자 103명 구제.
7월7일 : 남가주한인회장배 쟁탈 바둑대회. 1등 서정관씨.
7월20일 : 소상영 나성총영사는 남가주한인회관 건립기금 10만달러 지원을 한국 정부에 건의.
8월9일 : 남가주한인회 모국 방문단이 1, 2진으로 나누어 160명 서울로 출발.
8월12일 : 남가주한인회는 8.15경축행사의 밤 행사 개최. 1800명 교포가 참석했고 곽규석씨 사회. (앰버시강당)
8월15일 : 톰 브레들리 LA시장은 8월15일을 한국 독립기념일로 선포.
10월14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인사회 범죄피해 예방 진정서를 제출. 김보근 할먼니가 새벽에 교회에 나가다가 흑인청년에 피습당함.
10월22일 : 남가주한인회는 남미여권 구제 2차 캠페인후 300명의 신청을 받아 나성총영사관에 전달.
10월27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한인업소에 모금함을 설치.
10월28일 : 외무부는 김종식, 김기순, 권태주, 이덕수, 문성옥, 김요한, 이교숙, 김수안씨에 장관 표창장 수여.
10월31일 : 남가주한인회는 캘리포니아 주정부로부터 비영리단체 허가를 받음.
12월6일 : 김종식 한인회장은 연방정부로부터 501c(a)에 따른 비영리단체 허가를 받음. (Southern California Association of Korean)
12월8일 : 한인회관건립기금 모금 음악회 개최. (잔보로중학교)
12월16일 : 남가주한인회는 송년파티를 개최. 1000명의 교포가 참석하고 곽규석씨, 펄시스터스 출연. (앰버서더호텔)
12월26일 : 남가주한인회 이사 후보 14명 등록.
12월30일 : 김종식 한인회장은 범죄추방운동을 보도한 한국일보 나성지사에 사과요구.
▲ 1974년
1월9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국일보 미국소식 기사의 정정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냄.
1월15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인회 발전에 기여한 187명을 영구회원으로 추대. 1962년 한인센터의 73명을 포함.
1월16일 : 한인회 이사 후보 7명 사퇴.
1월21일 : 김신찬 선거관리위원장 사퇴.
1월23일 : 새 선거관리위원장에 최상우 이사 선임.
1월27일 : 남가주한인회 정기총회에서 9명 이사 선출. (앰버시강당)
2월9일 : 김기순 부회장이 한인회 사태에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퇴.
2월26일 : 교포문제연구회는 창립총회 초대회장 국영길씨.
3월1일 : 남가주한인회는 3.1절 기념식 거행.
3월19일 : 김기순 부회장의 사표를 수리하고 김창수씨를 부회장으로 선임.
5월9일 : 교포문제연구소는 한인회의 자체정화를 요구하는 성명서 발표.
5월10일 : 나성총영사에 박영 외교연구원 연구관 임명. 소상영 총영사는 본부 귀임.
5월16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나성을 방문한 노신영 외무부 차관에게 회관건립 10만달러를 요청.
5월22일 : 김종식 한인회장은 1975년도 한인회장 선거는 간접선거가 아닌 직접선거 방침을 발표.
6월5일 : 남가주한인회는 주정부 및 연방정부에서 받은 비영리단체 정관을 한인회관건립위원회에 넘김.
6월5일 : 남가주한인회는 김신찬 이사를 전격 제명.
6월7일 : 김종식 한인회장은 교포문제연구소를 불순단체라고 발표.
6월17일 : 남가주한인회 5인소위원회는 김신찬 이사 복권을 결정.
7월8일 : 남가주한인회는 임시이사회를 갖고 정기총회 조기개최. 직접선거 등 논의.
7월10일 : 한인회의 역할을 맡겠다며 일부 인사들 한인연합회 발족.
7월17일 : 박영 총영사는 8.15경축행사를 한인회와 별도 개최 발표.
9월15일 : 남가주한인회는 6차 임시이사회를 개최. 한인회장의 임기는 1년, 회장 선거는 직선제, 이사 투표는 1인1표제 등 통과.
9월27일 : 한인회는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 위원장은 이상학씨.
9월29일 : 한인연합회 창립총회. 초대회장에 최황 박사.
10월13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 새 위원장에 소니아 석 여사 선출. 한인회관 건립기금 15만4천달러 모금.
10월17일 : 한인회 회장 후보로 양회직씨와 최순달 박사 등록.
10월24일 : 한인회 이사 후보 14명 등록.
11월10일 : 한인회 선거에 모두 4322명의 교포가 회원으로 등록.
11월14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위원장 소니아 석)는 2차 이사회를 갖고 부위원장에 김기순씨, 이경동씨, 배효식씨 선출.
11월16일 : 남가주한인회 회장에 양회직후보 당선(51.8의 득표).
11월27일 : 재미실업인모국방문단(단장 이학조) 대표 5명은 청와대를 예방. 박정희 대통령에 한인회관 건립기금 15만달러를 요청.
11월29일 : 양회직 남가주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3천교포 참석. (LA컨벤션센터)
▲ 1975년
1월18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우리 회관을 우리 손으로”라는 모금뱃지를 만들어 판매 시작.
2월7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단체장 및 각계인사 40명 초청 간담회.
2월15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톰 브레들리 LA시장, 에드워드 데이비스 LA경찰국장, 케네스 한 LA카운티 수퍼바이저 방문.
2월21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윌셔경창서 순찰차에 동승, 코리아타운 치안상태를 점검.
2월22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위원장 소니아 석)는 회관 후보지로 2곳 선정.
2월25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한인회 안에 카운티 공무원 시험반을 개설하고 강의.
3월1일 : 남가주한인회는 제56주년 3.1절 기념식 거행. (무궁화학원)
3월10일 : 남가주한인회는 나성총영사관에 영사업무를 건의.
3월19일 : 한국 공화당과 유정회는 정부비방 외국인을 처벌하는 형법 개정안을 통과.
4월2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교포여권 발급을 5년에서 2년으로 단축을 요구.
4월10일 : 키스프린팅(대표 김광제)은 한인록 발간. 교포 13000명과 업소 1400개 수록.
4월12일 : 나성총영사관 영사가 한인회 사무실에 나와서 영사업무를 시작.
4월14일 : 에드워드 데이비스 LA경찰국장이 한인회 회장단을 초청 오찬. 양회직 한인회장은 한인 경찰관 채용을 건의.
4월24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601 S. Westmoreland의 건물 구입을 위한 절차 시작.
4월25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김동조 외무부 장관에게 교포여권 신청을 5년에서 1년으로 단축 건의.
4월25일 : 제4회 남가주미스코리아선발대회. 진에 이성희양. (윌셔이벨극장)
5월15일 : 톰 브레들리 LA 시장은 한인회에서 요청한 김준문씨를 보좌관으로 채용.
5월18일 : 남가주한인회는 박정희대통령배 친선골프대회를 개최. (발렌시아골프코스)
5월27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단체장을 초청, 안보문제간담회 개최.
6월4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위원장 소니아 석)는 981 S. Western Ave.의 4층 건물을 30만달러에 에스크로 오픈.
6월12일 : 양회직 한인회장은 박정희 대통령에게 여권구제 건의안 제출.
6월13일 : 한인미술가협회는 한인회관건립기금 모금 전시회 개최. (무궁화학원)
7월11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나성총영사관 관저에서 모금행사. 4500달러 모금.
7월27일 : 남가주한인회와 KBS는 광복 30주년 교포위문공연을 공동주최. (슈라인극장)
7월28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국 통일원 주최의 재외국민통일회의 대표로 최희만, 이덕수, 소니아 석씨 추천.
9월2일 : 한국정부는 한인회관건립기금 15만달러를 지급하면서 건물 소유권을 한인회와 한국정부의 공동소유 방침 발표.
9월4일 : 남가주한인회 회칙개정위원회는 한인회 안에 회관 관리위원회를 둔다는 방침 결정.
9월9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한인회관을 한국정부와 공동 소유 반대 입장을 발표.
9월12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인회관의 조건부 공동소유론 제시. 현 회칙(The Korean Association of Southern California)이 비영리단체 자격을 갖추지 못했으므로 보완 때까지로 기간을 정함.
9월16일 : 한국 정부는 한인회관의 공동소유 반대 이유를 보고하도록 나성 총영사관에 지시.
9월19일 : 한인연합회 등 한인단체는 한인회관의 한인회 단독소유 지지의 입장을 발표.
9월20일 : 한국 정부는 한인회관의 공동소유방침 완화.
9월22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는 한인회관 소유 트러스티 7인위원회를 확정.
9월25일 : 김시면 전 한인회관건립위원장은 7인위원회 구성이 불법이라고 소송.
10월21일 : 남가주한인회는 9차 이사회를 개최. 총회 폐지와 이사회에서 권리의무를 갖는 조항 등 회칙 개정. 회장이 이사장 겸직을 분리.
10월28일 : 이인승 선거관리위원장은 한인회장 선거날자를 12월7일로 발표.
11월7일 : 한인회관건립위원회의 명칭을 한인연합재단( Board of Trustees)로 변경.
11월19일 : 한인회장 후보로 김기성씨와 김형일 박사가 등록.
11월22일 : 한인회관(981 S. Western Ave.) 개관식 및 축하공연. 초청인은 소니아 석 한인회관건립위원장과 양회직 남가주한인회장.
12월1일 : 남가주한인회 회장단 선거에 한인교포 5998명이 등록.
12월7일 : 남가주한인회 회장에 김형일 박사가 당선.
12월23일 : 전 남가주한인회 부회장 최순달 박사가 금성사 중앙연구소 소장으로 영주 귀국.
▲ 1976년
1월6일 : 남가주한인회(회장 양회직)는 단체장 초청 간담회 개최.
1월9일 : 김형일 남가주한인회 회장 취임식.
2월6일 : 한인연합재단은 한인회관 구입 잔여금 9만달러중 3만달러를 갚고 6만달러는 분할상환하기로 함.
2월9일 : 한인연합회는 프랭크 장씨를 회장으로 선출.
3월7일 : 교포문제연구회는 새 회장에 김신찬씨를 선임.
3월15일 : 한인거류민회 회장을 역임한 박규현 목사 별세. 향년 52세. 남가주한인회 장으로 거행.
3월17일 : 김형일 한인회장이 미하원청문회에 나가서 한국 중앙정보부 활동에 대해서 증언.
5월2일 : 잔 문 회장(쟈니온그룹)이 한인회 운영기금 3만달러 전달.
5월10일 : 박영 나성총영사는 중앙아프리카 대사로 전보. 박상두 새 총영사 부임.
5월11일 : 김형일 한인회장은 미하원청문회 참석은 개인자격이라고 발표.
6월17일 : 교포 임신부 김순옥씨가 경찰 과잉단속으로 문제가 생겼고 남가주한인회는 톰 브레드리 시장과 에드워드 데이비스 LA경찰국장에 항의문 발송.
6월30일 : 남가주한인회와 나성총영사관은 미독립 200주년을 기념 방미한 한국 해군순양함대 장병 초청 만찬.
7월24일 : 남가주한인회는 여름 야유회 개최. 30여 한인단체 참가.
8월13일 : 남가주한인회 주최로 8.15경축 교포위안의 밤 행사. 3500명 참석. 구봉서, 배삼룡, 곽규석, 최은희, 엄앵란씨 출연. (슈라인극장)
8월23일 : 김형일 한인회장은 범교포단체회의 소집. 북괴 도끼사건 관련 규탄성명서 채택.
9월23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인회관의 미불금 5만달러를 갚기 위해서 2개월간 복권 발행을 결의.
10월19일 : 김기성씨가 남가주한인회장에 재출마.
10월21일 : 김기성씨가 단독후보로 무투표 당선.
12월3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회를 열고 한인회 제1대 회장은 1965년의 조용삼 박사라고 최종 확인.
12월22일 : 김기성 한인회장단 출범. 부회장은 최만석씨와 백정현씨.
▲ 1977년
1월9일 : 남가주한인회(회장 김기성)는 신년하례식을 아드모어공원 강당에서 개최. 5만달러의 예산 책정.
1월25일 : 한인센터에 1만달러를 낸 독립유공자 김형순옹 별세. 향년 92세. 대한인국민회장으로 거행.
1월26일 : 한인회 회장단과 이사회가 대립.
2월18일 : 김기성 한인회장은 톰 브레들리 시장을 예방하고 코리아타운 개발 지원을 요청.
2월25일 : 남가주한인재단(이사장 이경동)은 한인회관 운영 백서를 발간하기로 함.
2월28일 : 백정현 한인회 부회장 사임.
3월23일 : 남가주한인재단(이사장 김시면)은 2천달러 이상을 낸 교포들에게 영구이사 자격 부여.
4월21일 : 남가주한인회는 4년만에 회장과 이사장을 분리하는 2원제 채택. 새 이사장은 양회직씨.
5월13일 : 남가주한인재단 이사회는 한인회관 미불금을 1979년까지 지불하기로 결정.
5월26일 : 남가주한인회 이사회는 싱글러브 소장 파면과 관련, 카터 대통령에게 철군반대를 청원.
5월29일 : 김기성 한인회장은 박정희 대통령배 골프대회를 개최.
6월25일 : 남가주한인회는 6.25기념행사 개최. (맥아더공원)
7월10일 : 남가주한인회는 한국 수재민돕기 기금모금 캠페인.
7월25일 : 남가주한인회는 생활정보세미나를 연말까지 9회 개최.
8월11일 : 남가주한인회의 재미동포 모국방문단 148명 출발.
8월18일 : 남가주한인재단은 나성총영사관 관저에서 기금모금파티. 3500달러 모금.
9월9일 : 한국정부는 한인회관 건립에 공이 큰 고 김형순옹과 이경동씨 표창.
9월23일 : 김기성 한인회장은 연방정부 실업자구제기금(CETA) 43,000달러 수령.
10월14일 : 남가주한인회 회장 후보로 김기성씨와 구한모씨 등록.
11월10일 : 한인교포 11,700명이 한인회장 선거를 위해 등록.
11월19일 : 한인회장 선거를 실시했으나 총유권자와 등록자의 숫자가 맞지않아 개표 보류.
11월22일 : 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이복재)는 개표를 시도했으나 김기성 후보측에서 반대.
11월28일 : 구한모 후보는 한인회선거 후유증이 심각해지자 조건없이 사퇴.
12월1일 : 구한모 후보의 사퇴로 김기성 후보의 당선 공고. 개표결과 구한모 후보가 김기성 후보보다 437표를 더 많이 받았음.
12월3일 : 남가주한인상공회의소는 한인회 사태에 성명을 발표하고 김기성 당선자의 사퇴 요구.
12월5일 : 김기성 회장은 회칙개정 후 3 ~ 6개월내 사퇴 다짐.
12월7일 : 한인회 이사회는 김기성 회장의 명예로운 퇴진을 위해 7인수습대책위원회 구성.
12월14일 : 한인회장 선거관리위원회의 공금유용 사건 발생.
12월27일 : 김기성 남가주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 1978년
1월13일 : 남가주한인재단은 첫 흑자운영, 입주율 97%에 월 1500달러 수익.
2월21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장에 양석규씨 선임. 예산 89,000달러 통과.
3월21일 : 이복재 한인회장 선거관리위원회 회장이 공금 유용 1800달러 반환.
3월25일 : 한인회는 회칙개정공청회의 참석자가 없어 유회.
5월31일 : 선거공금 유용 이복재, 문홍인씨 이사 사퇴.
8월30일 : 한인회 이사회는 회칙 개정보다 회장단의 총사퇴 요구.
9월28일 : 남가주한인재단은 한인회관 매각 원칙에 합의.
10월3일 : 한인회 이사회는 김기성 회장의 불신임안 결의. 회장은 서울 출장중이었고, 부이사장과 부회장단은 이사회 결정에 불복.
10월4일 : 김원보 선거관리위원장은 위원장과 이사직 사퇴.
11월18일 : 남가주한인회 회장단 총사퇴. 선거관리위원장 김제호씨 선임.
11월28일 : 구한모씨 한인회장 후보로 등록.
12월9일 : 구한모 후보가 단일후보로 무투표 당선. 부회장은 차종환 박사와 백기덕 박사.
12월28일 : 구한모 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 1979년
1월1일 : 구한모 한인회장은 운영기금 1만달러 기탁.
1월19일 : 남가주한인회는 이사장에 이삼웅씨 선출.
1월24일 : 구한모 한인회장은 교포 언론인 초청 간담회.
1월28일 : 남가주한인회는 생활정보센터 개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전문가 상담 실시.
2월9일 : 남가주한인회는 예산 11만8천달러 통과.
2월16일 : 남가주한인재단은 3인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한인회와 통합 가능성 연구.
2월22일 : 한인회 이사회는 한인회관 운영 및 통합을 위해 합동공청회 개최 준비.
3월1일 : 구한모 한인회장은 3.1절 60주년 기념식 거행. (가주국제대학)
4월14일 : 남가주한인회는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개최. 진에 홍여진양. (스카티쉬라이트오디터리움)
4월22일 : 남가주한인회는 박정희 대통령배 골프대회 개최. 134명 출전. (발렌시아골프코스)
5월11일 : 김시면 남가주한인재단 이사장 전격 사퇴.
7월17일 : 남가주한인회는 범죄예방대책위원회 발족. 위원장은 김제호씨.
7월18일 : 구한모 한인회장은 조 하우어트 LA이민국장 방문.
8월3일 : 남가주한인회는 박민수 새 총영사 환영연 개최. (영빈관)
8월7일 : 구한모 한인회장은 1980년 인구조사를 위한 한인대책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김영목 박사.
8월14일 : 남가주한인회는 교포 취업을 위해 Job Bank 설립.
8월16일 : 구한모 회장은 백기덕 부회장, 이삼웅 이사장과 함께 톰 브레들리 LA시장 예방.
8월23일 : 한국 재향군인회 임원 5명(김홍일, 박병권, 박형훈, 조철군, 최영성 장군)이 한인회 방문.
8월27일 : 미 연방노동성은 남가주한인회에 9만8천달러의 고용기금(CETA)을 배정.
9월15일 : 남가주한인회는 정관 개정, 회장의 임기를 1년에서 2년으로 연장.
10월6일 : 남가주한인회는 기관지 한겨레 창간호 1만5천부 발행.
11월9일 : 남가주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창수)는 이민휘씨가 임기 2년의 회장으로 단일후보로 무투표 당선 발표.
12월27일 : 남가주한인회 이민휘 새 회장과 구한모 회장의 이취임식 거행. (영빈관)
▲ 1980년
1월9일 : 이민휘 남가주한인회장은 단체장 1백명을 초청 간담회. 범죄예방 대책 등 논의.
1월10일 : 이민휘 회장은 가주한인회연합회 결성.
1월17일 : 남가주한인회는 흑인커뮤니티와 노인아파트 공동투자에 대한 첫 회의.
1월31일 : 오세응 신민당 국회의원이 남가주한인회 방문.
2월11일 : 이민휘 한인회장은 전지훈련차 LA를 방문중인 화랑 한국 국가대표 축구팀을 위한 환영연 주최.
2월13일 : LA를 방문중인 박동선씨가 한인회 방문.
2월16일 : 남가주한인회는 설맞이 교포위문공연을 개최. 박상규, 현미, 송대관, 김하정씨 출연. (슈라인극장)
3월5일 : 남가주한인회는 Job Bank를 설치하고 취업상담 시작.
4월20일 : 남가주한인회는 제6회 대통령배쟁탈골프대회 개최. (바렌시아골프코스)
5월31일 : 가주한인회총연합회 창립총회를 LA에서 개최. 이민휘 남가주한인회장이 초대회장에 선임.
8월9일 : 이민휘 한인회장은 8.15경축 대음악제를 개최. 한동일, 이귀임, 이우근, 김생려씨 출연. (스카티쉬라이트오디터리움)
8월13일 : 이민휘 회장과 가주한인회총연합회 임원 25명이 한국 광복절 행사 참석.
8월23일 : 남가주한인회는 인종차별로 노인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한 한인의 문제 해결.
9월9일 : 유태인커뮤니티 리차드 기스버그 이사장 등이 한인회 방문, 상호협력 방안 논의.
9월17일 : 남가주한인회는 직업정보 7호를 발행. 새 이민자 취업교육.
10월6일 : 박세직 수도경비사령관이 남가주한인회 방문.
11월12일 : 이민휘 회장은 한인교계 인사 초청, 사은의 밤 행사 개최. (다운타운 힐튼호텔)
11월15일 : 남가주한인회는 방미중인 해군 순양훈련단 초청, 아드모어공원에서 시범행사.[/vc_column_text][/vc_tab][vc_tab title=”1981~1990″ tab_id=”1434815597975-2-5″][vc_column_text]▲ 1981년
1월21일 : 한인회관에서 전두환 대통령 미국방문 범동포환영준비위윈회 결성. 위원장은 이민휘 한인회장.
1월29일 : 전두환 대통령 LA방문 환영만찬. (센추리플라자호텔)
1월30일 : 남가주한인회는 코리아 올스타 쇼를 주최. 장동휘, 황해, 독고성, 문정숙, 최무룡씨 출연. (슈라인극장)
2월23일 : 남가주한인회는 새 이사장에 변창환씨 선임. 김영목 부회장은 사임.
3월1일 : 남가주한인회는 제62회 3.1절 기념식 거행. (아드모어공원)
3월24일 : 이민휘 회장은 한인재단의 한인회관 매매에 신중을 기해줄 것을 요청.
4월14일 : 이민휘 회장은 한국 원호처에 남가주지역 독립유공자 포상 건의.
4월19일 : 남가주한인회는 제7회 대통령배쟁탈골프대회를 개최. (그린리버골프코스)
4월28일 : 이민휘 회장은 럭키마켓 강배수씨가 경찰로부터 총상을 입은 사건은 과잉진압이라고 LA경찰국장에 항의편지.
5월1일 : 남가주한인회는 캘리포니아 주정부로부터 한미직업훈련기금 50만달러 수령.
5월15일 : 남가주한인회 이민휘 회장이 김포공항에서 미화 15만달러 소지혐의로 피체.
6월2일 : 남가주한인회는 긴급이사회. 이민휘 회장 구속해제 진정서 채택.
6월11일 : 김명균 한인회 부회장은 LA타임스의 한인사회 조직범죄 보도에 긴급회의 주재. 변창환 이사장은 이민휘 회장 석방 청원을 위해 서울로 출발.
6월12일 : 남가주한인총학생회는 이민휘 한인회장 사퇴요구 성명서 발표.
6월17일 : 이민휘 회장은 남가주한인회장직 사퇴 발표.
6월21일 : 남가주한인회는 캘리포니아 주정부로부터 직업훈련기금 2만달러 수령.
6월24일 : 이민휘 한인회장 보석 석방.
6월25일 : 남가주한인회는 긴급이사회를 열고 김명균 부회장을 정관 12조 1항에 따라 회장으로 선출. 변창환 이사장의 후임은 라명수씨.
6월30일 : FBI 는 한인사회 조직범죄 수사 착수. IRS도 기부금 문제 등 조사.
7월1일 : 김명균 남가주한인회장은 한인회관 매각을 위한 공청회 개최 및 한인회와 한인재단의 일원화 추진을 발표.
7월1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새 회장을 8월15일 ~ 9월30일 사이 선출 발표.
7월2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한인봉사센터 자원봉사자들과 간담회 후 자문위원회 구성.
7월8일 : 코리아타운번영회와 한인회 전직 회장단은 한인재단과 한인회의 통합을 찬성한다고 발표.
7월16일 : IRS는 한인회에 조사관을 보내 도네이션 장부 등 자료 요청.
7월17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IRS 사무실에 자진출두 조사를 받음.
7월17일 : 남가주한인회는 긴급이사회를 열고 회장 조기선거를 위한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최명광 위원장은 9월에 한인회장 선거를 하겠다고 발표.
7월20일 : 코리아타운번영회(회장 이희덕)는 한인회관 이전반대 궐기대회 개최.
7월30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한인회관의 이전 반대 입장 발표.
8월6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연방대배심원에 1만페이지에 달하는 한인회 서류 제출. IRS는 1976 ~ 79년 서류 제출 요구.
8월6일 : 최명광 선거관리위원장은 한인회가 수사를 받고 있으므로 회장선거를 할 때가 아니라고 사퇴. 김동훈 이사를 새 선거관리위원자으로 선임.
8월12일 : 남가주한인회 자문위원회는 선 한인회 재건, 후 한인회장 선거를 제안.
8월13일 : 김동훈 선거관리위원장은 9월 회장선거를 연기하겠다고 발표.
8월20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새 한인회 상의 정립 후에 회장선거를 하자며 연기를 공식으로 제안.
8월21일 : 김동훈 선거관리위원장은 10월31일과 11월1일에 회장선거를 하겠다고 발표.
8월27일 : 라명수 한인회 이사장은 확대수습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발표.
9월1일 : 쟌 문씨가 한인회 확대수습위원회 운영기금 10만달러 전달.
9월2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LA시장실 김준문 보좌관의 코리아타운 표시판 설치 공헌에 감사패 수여.
9월9일 : 김명균 한인회장은 한인재단과 한인회의 통합을 위한 7인위원회 구성 제안.
9월11일 : 한인회 7인위원회(대표 김명균)는 한인재단과 통합 4개항 발표.
9월15일 : 박민수 LA총영사는 한인회와 한인재단의 통합은 시기상조라고 언급.
9월17일 : 7인위원회 김명균 대표와 김창수 위원이 LA 총영사관을 방문, 박민수 총영사에 거친 항의.
9월22일 : 박민수 총영사는 7인위원회의 사과를 받고 두 단체 통합에 지원을 약속. 한우회는 한인회와 한인재단 통합 지지.
11월9일 : 한인회와 한인재단의 통합을 위한 두 단체 첫 모임.
11월19일 : 두 단체의 통합을 위해 남가주한인회재건위원회를 구성. 대표는 한우회 회장인 양회직씨.
11월23일 : 남가주한인회 7인위원회는 반공의식 고취 대회 개최. (한인회관 4층 회의실)
12월21일 : 한인회재건위원회(대표 양회직)는 외부인사를 영입하기로 결정.
▲ 1982년
1월5일 : 남가주한인회 재건위원회 출범. 위원장 양회직씨.
1월29일 : 남가주한인회 재건위원회는 2월말까지 한인회와 한인재단이 통합하고 한인회장 선거는 3월20일 실시한다고 발표.
2월5일 : 통합된 단체의 명칭은 나성한인회로 하고 회장과 이사장은 겸직하고 이사회에서 선출 발표.
2월18일 : 한인재단 이사회는 남가주한인회와 통합하기로 결정. 새 명칭 나성한인연합회로 바꾸기로 함.
2월22일 : 한인회장 선거등록 시작.
2월23일 : 남가주한인회 재건위원회는 3월27일 한인회장 선거를 한다고 발표.
3월12일 : 남가주한인회장 선거에 김시면씨 후보 등록.
3월15일 : 남가주한인회장 선거에 변창환씨 후보 등록.
3월19일 : 남가주한인회장 선거를 위한 마감일에 간선제 선거인단에 121개 단체 등록.
3월23일 : 한인회 재건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창수)는 67개 단체를 선정하고 54개 단체는 탈락 발표.
3월26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27일의 선거를 4월3일로 연기. 탈락 단체의 반발 때문.
3월28일 : 김창수 선거관리위원장 업소의 유리창 파손.
3월31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7개 학생회 등 29개 단체를 구제. 모두 96개 단체가 선거인단에 참여.
4월2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공포분위기에서 선거를 치룰 수 없다고 무기한 연기.
4월5일 : 양회직 남가주한인회 재건위원장과 김창수 선거관리위원장 사퇴.
4월6일 : 재건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는 자진 해체.
4월22일 : 범교포수습위원회 발족. 위원장은 김기일씨. 40명의 위원으로 구성.
5월11일 : 7인위원회(대표 김명균)는 한인회 재건선거관리위원장에 김동훈씨 임명. 선거는 5월22일 실시 발표.
5월21일 : 7인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동훈)는 선거 하루전 변창환 후보를 실격시키고 김시면씨의 당선 공고.
5월29일 : 한우회(간사장 구한모)는 김시면씨의 남가주한인회 회장 당선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발표.
6월18일 : 김시면 남가주한인회 회장 취임식 거행. (영빈관)
6월30일 : 김시면 한인회 회장은 사퇴를 하면서 남가주한인회 해체를 발표.
7월6일 : 한우회(간사장 차종환)는 김시면 전 회장이 구성한 청산위원회는 인정할 수 없다고 발표. 김시면씨의 한인회장 당선은 인정.
7월9일 : 남가주한인회는 임시이사회를 열고 한인회 정상화추진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지윤성씨.
7월13일 : 한인회 정상화추진위원회는 9월11일에 한인회장 선거를 실시한다고 발표.
7월13일 : 남가주한인회 이사회는 정관을 개정, LA한인회로 명칭 변경.
8월10일 : LA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오정근)는 9월11일 한인회장 선거일정 공고.
8월20일 : 한인회장 후보 등록 마감. 이민휘 회장과 쟌 문 회장이 후보로 등록. 선거관리위원회는 쟌 문 후보의 서류 검토 후 문 후보를 실격시키고 이민휘 후보의 당선을 공고.
8월23일 : 교포사회정화위원회(위원장 안흥렬)는 이민휘 회장 당선은 무효라는 성명서 발표.
8월24일 : 쟌 문 후보는 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은 잘 못되었다는 호소문 발표.
9월2일 : 쟌 문 후보팀의 석광옥, 정판기씨는 이민휘 회장 취임중지요청 TRO 신청.
9월3일 : LA카운티법원은 이민휘 회장 취임식 중지 신청을 받아드림.
9월3일 : 이민휘 회장단은 취임식 대신 당선 축하연 개최. (영빈관)
9월8일 : 한국노인회 등 6개 단체는 이민휘 후보의 무투표 당선 무효, 재선거 실시. 소송 취하 성명서 발표.
12월28일 : LA카운티법원은 한인회장 선거에 쟌 문씨에게 승소 판결. 재선거 명령.
▲ 1983년
1월27일 : 이민휘 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한인회 이재근 이사장에게 재선거 실시를 요구.
2월12일 : LA한인회장 선거대책위원회 발족. 위원장은 배효식씨.
4월2일 : LA한인회 선거대책위원장은 회장선거를 위한 공청회 개최.
4월7일 : 공금인출사건의 책임을 물어 선거대책위원회 해체.
4월18일 : 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김진형씨.
5월12일 : 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는 6월18일 회장선거를 하기로 결정.
5월15일 : LA한인회장 후보로 쟌 문씨와 장준철씨가 등록.
6월18일 : LA한인회장 선거에서 쟌 문씨 당선.
6월22일 : 장준철씨는 한인회 부정선거 9인위원회를 구성.
7월8일 : 쟌 문 LA한인회 취임식. 장준철씨는 LA카운티법원에 쟌 문 회장 취임 중지 가처분 신청을 했고 법원이 받아드림.
9월27일 : 장준철씨는 한인회 공백상태를 막기 위해 쟌 문씨와 자신이 물러나고 새 이사진 구성 제의.
12월8일 : LA카운티법원은 LA한인회 회장 선거를 다시 하라고 판결. 쟌 문 회장은 사임의사 발표.
12월10일 : 쟌 문씨 한인회장직 사퇴.
12월13일 : LA한인회는 비영리단체 인가 취득.
▲ 1984년
1월6일 : LA한인회 수습대책위원회 구성.
1월9일 : 장준철씨 팀의 이사와 쟌 문씨팀의 이사가 만나 한인회 정상화 방안 마련.
1월10일 : 한인회 정상화를 위한 14인소위원회 구성. 장준철씨는 소송 취하 뜻을 발표.
1월11일 ; 14인소위원회는 장준철씨와 쟌 문씨가 사임을 했고, 쟌 문씨팀에서 회장을 맡는 것도 가능하다는 유권해석.
1월15일 : 쟌 문씨 팀의 김죽봉 이사장을 LA한인회 1대 회장으로 추대. 이사장은 윤창기 부이사장을 선임.
1월31일 : 이민휘 회장, 쟌 문씨, 장준철씨는 한인회 파동에 대한 회의후 제1대 LA한인회장은 김죽봉씨로 확인하고 8월31일까지로 임기를 정함. LA올림픽이 열리는 해에 한인회장이 없어서는 안된다는 의견에 일치.
2월22일 : LA한인회 이사회는 김죽봉 회장, 윤창기 이사장 취임을 만장일치로 인준.
3월22일 : 제1대 김죽봉 LA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앰버서더호텔)
5월17일 : LA한인회 이사회는 결혼상담소 설치.
6월13일 : LA한인회는 취업안내 결과 발표. 매월 80명이 취업 신청을 하고 25명이 취업.
7월10일 : 한인재단은 LA올림픽을 맞아 한인회관에 대형 벽화를 그리기로 결정.
7월19일 : LA한인회는 이사회를 열고 김죽봉 회장의 임기를 1년 연장하기로 의결. 임기는 1985년 8월31일까지로 함.
8월23일 : LA한인회는 시민권자를 대상으로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펴나감.
9월6일 : 김죽봉 회장은 한국 수재민을 위한 의연금을 모금.
9월25일 : LA한인회는 회원 회비제도를 새로 마련.
10월5일 : LA한인회는 지난 9개월간 8천6백명이 각종 상담을 받았다고 발표.
10월19일 : 로벗슨한인연합감리교회는 LA한인회에 1천달러의 운영기금 기탁.
12월15일 : LA한인회 송년파티. 법률상담을 해온 유재건 변호사 등 감사패 전달.
▲ 1985년
2월16일 : LA한인회(회장 김죽봉)는 민속의 날 큰 잔치를 개최. 한국 연예인 이주일, 이상해, 윤수일, 윤복희씨 등 출연. (올림픽오디토리움)
4월3일 : LA한인회 이사회는 제2대 LA한인회장 선거를 6월9일 실시한다고 의결.
6월8일 : LA한인회장 선거에서 이기명 후보 (2999표)가 윤창기 후보(1982표)를 누르고 당선.
8월29일 : 제2대 이기명 LA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미국 인사 및 단체장 일반 교포 2천명 참석. (스카티쉬라이트오디토리움)
9월2일 : 이기명 회장 시무식. 청소년 선도문제, 노인문제를 주요 사업으로 발표.
9월9일 : 마이크 안토노비치 LA카운티 수퍼바이저가 LA한인회 방문.
9월21일 : 이기명 회장은 단체장협의회를 구성. 주요 한인단체 11개 참여.
9월30일 : 김영삼 민추협 공동의장이 LA한인회 방문. 이기명 회장은 민주성금 전달.
10월16일 : LA한인회는 긴급이사회를 열고 주간지 횡포를 막기위한 사회정화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김창규 부회장. 1차로 선데이저널 문제 논의.
11월1일 : 노신영 국무총리가 LA한인타운을 방문. 이기명 한인회장이 안내.
11월5일 : 김창규 부회장 제명 결의안 제출. 선데이저널과 관계 유지 때문.
12월13일 : LA한인회 이사회(이사장 조의성)는 예산안 통과. 이우철 부회장을 상근으로 임명.
▲ 1986년
1월7일 : LA한인회는 웨스턴스와밋 입주상인과 경찰 충돌사건에 대책위원회 구성.
1월21일 : 한국 올림픽조직위원회 이하우 사무총장이 LA한인회 방문.
2월14일 : 이기명 한인회장은 한인공인회계사협회와 공동주최로 세금문제 세미나.
2월24일 : LA한인회는 이사회를 열고 동경거류민단(단장 김태수)과 상호교류 문제 논의.
4월16일 : LA한인회 등 27개 단체 대표들은 직선제 개헌 및 한국 민주화 촉구 결의안 채택. (우래옥)
4월24일 : 이기명 한인회장은 한인 사업주의 피살사건 대책을 마련. 범죄예방 교육 및 피해자 돕기 모금활동 시작.
5월8일 : 이기명 한인회장은 방미중인 민정당 방미단(단장 봉두완 의원)과 간담회 개최.
5월21일 : 이민우 신민당 총재단 일행이 LA한인회 방문, 이기명 회장과 환담.
5월30일 : 이기명 한인회장은 컬버시 시장과 손기정 선수의 국적 및 이름 변경 논의.
6월4일 : LA한인회는 메릴랜드주 하원의원 출마 진교륜 박사 후원회 구성.
6월5일 : 남가주한인회청산위원회(회장 김기성)는 LA한인회에 청산금 1만7천달러 전달.
6월14일 : LA한인회는 대통령배쟁탈 골프대회 개최. (인더스트리힐골프코스)
7월7일 : LA한인회는 한흑관계 회의.
7월15일 : 이기명 한인회장과 유태인 대표가 LA시청에서 만나 상호교류 문제 등 논의.
7월24일 : LA한인회는 리차드 알라토레 시의원의 선거구 조정안에 반대 입장 표명.
7월31일 : LA한인회와 한미연합회, 상공회의소 등 한인단체장 등 5백여명이 LA시청앞에서 선거구 분할에 항의 시위.
8월9일 : 이기명 한인회장은 컬버시의 손기정옹 국적과 이름 회복 행사 거행. (컬버시 재향군인회관)
8월11일 : 이기명 LA한인회장을 단장으로 하는 모국방문단 19명 출발. 청와대 방문.
8월26일 : 이기명 한인회장은 모국방문 보고회. 가주외환은행이 코리아타운으로 이전할 것을 발표.
8월29일 : 정인용 재무부 장관은 서신을 보내 가주외환은행 본점 건물 신축을 취소하고 코리아타운으로 이전 가능성 검토 통보.
9월18일 : 왕상은 부산자매도시위원장이 LA한인회 방문, 이기명 회장과 상호 공동관심사 논의.
10월1일 : LA한인회는 임승향 변호사의 무료법률상담 실시.
10월16일 : LA한인회 주관으로 코리아타운 종합개발위원회 모임. 홍성목 가주외환은행장은 코리아타운 내에 본점 신축 등 발표.
10월28일 : 존 캐리 연방 상원의원이 코리아타운 방문. 한인단체장과 간담회.
10월30일 : LA한인회는 새 이민법 세미나 개최.
11월14일 : 제1회 LA한인회 기금모금행사 개최. 8백명 참석에 23만달러 모금. (앰버서더호텔)
12월4일 : LA한인회는 재일한국인 지문채취 반대시위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개최.
▲ 1987년
1월8일 : 아더 송 한인회 이사가 제10지구 LA시의원에 출마 발표.
2월14일 : 피트 윌슨 캘리포니아 출신 연방 상원의원이 LA한인회 방문. 코리아타운을 돌아보고 한인회 주최 환영만찬회 참석.
3월1일 : LA한인회는 3.1절 기념식 개최. (한인회관)
3월6일 : LA한인회는 백기덕 박사의 교육상담을 시작.
3월20일 : 한미교육자협회와 초중고 및 대학교육 세미나를 공동으로 주최.
4월2일 : 한인변호사협회와 공동으로 제2회 세 이민법 세미나 개최.
4월10일 : LA시 케네스 타핑 계획국장이 한인회 방문, 코리아타운 스레시픽 플랜을 설명.
4월 23일 :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 위원장은 변창환씨.
4월30일 : 이민휘 재미동포올림픽후원회 회장이 LA한인회 방문, 이기명 회장에게 서울 올림픽 개최 일자를 알리는 시계 기증.
5월12일 : 이기명 한인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차기 회장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
5월22일 : LA한인회는 한흑관계 회의를 갖고 정기적으로 교류 및 관계 개선에 나서기로 합의.
5월29일 : 3대 LA한인회 회장 후보로 김완흠씨(기호 1번)와 윤창기씨(기호 2번)가 등록.
6월2일 : LA이민국은 LA한인회를 사면신청 대행센터로 승인.
6월12일 : 한인회장 선거에 2만4천1백97명의 교포가 등록.
6월21일 : 조국의 민주화를 위한 재미한인시국선언대회를 개최. 대회장은 이기명 LA한인회장. (아드모어공원)
6월27일 : 3대 LA한인회장 선거. 선관위의 투표 확인서의 해석차이로 개표는 무기한 연기.
6월29일 : 경찰의 입회하에 개표. 김완흠 후보 2916표. 윤창기 후보 2318표. 선관위는 김완흠 후보 당선 발표.
7월2일 : 윤창기 후보는 선관위에 당선 선포 중지 및 선거무효, 재선거 요구 공문 발송.
7월9일 : 범교포폭력추방본부 구성.
7월15일 : 윤창기 후보는 선관위와 김완흠 당선자를 상대로 선거무효 소송제기.
7월21일 : 박병헌 재일민단 중앙본부 단장이 LA한인회 방문. 이기명 회장과 해외교포 권익문제 논의.
7월22일 : 아이러 라이너 LA카운티 검사장과 마이크 루스 가주 하원의원이 LA한인회 방문, 폭력 추방에 적극 후원 다짐.
7월23일 : LA한인회는 한국 수재민돕기 의연금 모집.
8월17일 : LA한인회장 선거 첫 재판. 김완흠 당선자는 재판연기 요청. 재판일자는 10월8일.
8월25일 : LA한인회는 긴급이사회. 2대 회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31일에 이사회 해산 결정.
9월3일 : 윤창기씨가 소송취하. 김완흠 당선자는 윤씨측에 부회장 1명, 이사 16명의 추천권을 주기로 합의.
9월16일 : 김완흠 당선자와 윤창기씨의 이사 구성 비밀합의가 밝혀지면서 합의 무효.
10월8일 : 이기명 2대 LA한인회장은 김기성 한우회장에 사태수습 의뢰.
12월30일 : LA카운티법원은 3대 LA한인회 선거에 무효판결.
▲ 1988년
6월23일 : 3대 LA한인회장 선거의 소송을 제기한 윤창기씨와 당선무효된 김완흠씨는 합의. 회장 김완흠씨, 이사장은 윤창기씨가 맡기로 함.
7월22일 : 3대 김완흠 회장의 취임식. 이사장은 이정원씨.
7월26일 : 노승환 국회부의장(평민당) LA한인회 방문.
7월29일 : 김종필 민주공화당 총재가 LA한인회 방문.
8월1일 : 김동영 민주당 부총재, 정재문 국회의원 LA한인회 방문.
8월7일 : 김완흠 한인회장은 이산가족찾기운동본부를 한인회 안에 설치.
8월19일 : 박준병 민정당 사무총장이 LA한인회 방문, 김완흠 회장과 교민청 신설 문제 논의.
9월19일 : 김완흠 한인회장과 이정원 이사장 등 7명 대표는 교민청 신설을 촉구하기 위해 4박5일 일정으로 한국 방문.
9월24일 : 정순덕 국회 재무분과위원장 등 한국 국회의원 4명 LA한인회 방문.
9월25일 : 한인회 해외이산가족찾기운동본부 이정 위원장이 북한 방문.
10월10일 : 김완흠 한인회장은 톰 브레들리 LA시장 방문. 코리아타운의 방범 문제 논의.
10월12일 : LA한인회는 한흑관계위원회와 한미연합회 사무실에서 첫 모임.
10월17일 : LA한인회는 한인회 안에 핫라인 체재를 신설. 키스프린팅이 한인록을 내면서 한인회에 기금을 내지 않으므로 앞으로 매년 1만달러를 받기로 함.
10월17일 : 노태우 대통령이 제49차 유엔총회에서 대표연설과 레이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뉴욕으로 가는 길에 LA국제공항 도착. 대한항공 귀빈실에서 김완흠 회장의 영접을 받음.
10월22일 : 1964년 2월27일부터 윌셔가(5455 Wilshire Blvd. 11층)에 있던 LA총영사관이 자체건물(3243 Wilshire Blvd.)로 이전.
12월13일 : 김완흠 한인회장은 오렌지카운티한인회의 부채상환에 동참하겠다고 발표.
▲ 1989년
1월31일 : 김완흠 회장은 코리아타운 범죄예방 단체장 회의 주제. (한인회관)
3월30일 : 황제선 후보와 김영태 후보 측은 매수설을 더 이상 문제삼지 않기로 합의.
3월31일 : 무소속 대의원 당선자 이백문씨가 황제선 회장 당선자가 자기에게 5천달러를 주었다고 폭로.
5월18일 : LA한인회는 주 5일 전문인 상담인 프로그램 실시.
5월29일 : 죠지 듀크메지언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코리아타운 방문.
6월1일 : 김완흠 한인회장은 국회에서 개최된 재외동포 현안과 장래에 대한 공청회 참가 보고. 외무부는 영사교민국을 신설 김항경 국장 임명.
7월10일 : 4대 LA한인회장 선거에서 황제선씨가 김영태씨를 누르고 당선. 한인들이 직선으로 뽑은 25명의 대의원이 회장을 뽑는 간선제 실시.
7월26일 : 김완흠 방범특별대책위원장은 미드윌셔경찰서를 코리아타운으로 유치하겠다고 발표.
8월28일 : 황제선 4대 LA한인회장 당선자의 선거본부장인 이종원씨가 한인회 선거 매수 잡음에 책임을 지고 사퇴.
9월1일 : 황제선 한인회장 취임식. 회장 취임 2시간후 이준희씨와 이백문씨가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 법원은 기각 판결.
9월12일 : LA한인회 이사장에 김영태씨 선출.
10월18일 : 노태우 대통령이 죠지 부시 대통령과 한미정상 회담을 마치고 귀국길 LA방문.
▲ 1990년
3월15일 : 황제선 한인회장은 본국 정계진출 위해 사퇴 발표.
3월22일 : LA한인회 이사회는 황제선 회장 후임을 선출하는 이사회 개최. 김영태 이사장이 후보등록을 했지만 정원 미달로 선출 못함.
4월5일 : 한인회 이사회는 이사회에서 회장을 선출하자는 안과 7임전권수습위원회(위원장 안필수)의 선출로 대립.
5월5일 : 7인 전권수습위원회는 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의 존재여부. 선관위원의 자격 등을 논의.
5월14일 : 7인 전권수습위원회는 한인회장 보궐선거를 예정대로 실시 확인.
5월15일 : 한인회 이사회는 한인회장 후보인 이종원씨와 이영상씨 중에서 이영상씨의 사퇴로 이종원씨의 당선 발표. 후임 이사장은 이정원씨 선출.
5월24일 : 황제선 한인회장은 이사회에서 보궐선거로 선출한 이종원씨에 재정 인계.
5월31일 : 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는 김영태씨를 보궐선거에서 무투표 당선 발표. 한인회 이사회는 이종원씨, 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는 황제선씨를 선출해서 한인회장이 2명이 됨.
6월7일 : 7인전권수습위원회(위원장 안필수)는 한인회장 보궐선거 후 잔액 3160달러를 이종원 회장에게 전달.
6월10일 : LA한인회 정관 및 선거세칙 개혁자문위원회(위원장 황성수 목사)는 한인회 정관 검토 작업.[/vc_column_text][/vc_tab][vc_tab title=”1991~2000″ tab_id=”1434815145-2-90″][vc_column_text]▲ 1991년
3월3일 : 로드니 킹 사건 발생.
3월16일 : 엠파이어마켓사건 발생. 두순자씨가 물건을 훔친 라타샤 할린즈양에 총격 사망.
6월4일 : 존스마켓사건 발생. 박태삼씨가 흑인강도 사살.
7월29일 : LA한인회의 정관 수정 작업 시작.
8월9일 : 새 정관 수정 작업 완료.
10월2일 : LA시는 국민회관(1368 Jefferson Blvd.)을 역사기념물(548호) 지정.
▲ 1992년
4월29일 : 로드니 킹 구타사건 재판 후 구속된 4명의 백인경찰 중 3명이 무죄석방되면서 흑인폭동이 LA지역 일원에서 발생.
4월30일 : 0시를 기해 캘리포니아 전역 비상사태 선포.
5월1일 : 40여 한인단체 대표는 LA총영사관에 모여 비상대책위원회 결성. 위원장은 강득휘씨, 이종원 한인회장은 공동위원장.
5월2일 : 10만 한인이 올림픽과 웨스턴가에서 평화대행진.
6월22일 : 이종원 한인회장은 LA한인회 수습위원회에 참석. 한인회장 사퇴서를 제출. 4.29 LA폭동에 한인회가 제 역할을 못했고, 새 한인회가 구성되기를 바란다고 발표.
6월25일 : LA한인회는 제 역할을 못했지만 봉사업무는 계속. 한인재단(이사장 김지수)은 한인회의 봉사인력을 지원.
9월22일 : 김영태씨는 이종원 한인회장을 상대로 제기했던 소송에서 승소.
10월5일 : 김영태 제5대 LA한인회장 취임.
10월30일 : 한인회관건립위원장 서리와 한국노인회 회장을 역임한 문성옥씨 별세.
▲ 1993년
1월7일 : 한인회관 새 벽화 제작.
2월5일 : 김항경 LA총영사 부임, 박종상 총영사는 이임.
7월23일 : 김영태 한인회장은 8.15경축 기념행사 준비 단체장 회의 주제.
8월14일 : 제48주년 광복절 행사를 우정의 종각에서 거행. 주최는 LA한인회(회장 김영태), 주관은 민주평통LA협의회(회장 안응균).
▲ 1994년
1월21일 : 17개 한인단체는 한인지진패해 복구지원센터 개설.
3월3일 : 제6대 LA한인회장에 장성길씨 단일후보로 무투표 당선.
3월18일 :김항경 총영사가 LA한인회 방문. 장성길 회장과 협력관계 논의.
3월23일 : 한승수 주미대사가 LA한인회 방문.
3월24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독립유공자인 서재필 박사,전명운 의사 유해 봉송회의 참석.
3월28일 : LA한인회는 불교계 지도자인 김도안 관음사 주지 등 7명을 초청 간담회.
4월4일 : 충청남도 도의원 일행 LA한인회 방문.
4월6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전직 회장 초청 간담회.
4월9일 : 장성길 LA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아드모어공원)
10월7일 : LA한인회는 운영기금 모금행사 10만1천달러 모금. (LA힐튼호텔)
▲ 1995년
1월26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다문화한국 문화센터 건립 청사진을 마련. 김영삼 대통령에 건의.
4월13일 : 장성길 한인회장 서울 신문회관에서 세계화를 위한 교포의 역할 세미나. 유재건 국회의원, 민병용 한국일보 논설위원 등 주제 발표.
4월25일 : LA한인회는 정기이사회를 열고 정관개정 준비위원회 발족.
4월29일 : 4.29 LA폭동 3주년 화합행사 개최. (아드모어공원 강당)
5월8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코리아타운 다문화 관광지 선정에 따른 코리아타운문화센터 건립 기자회견.
5월11일 : LA한인회는 긴급이사회를 열고 코리아타운문화센터 건립 지지를 만장일치로 결의.
5월14일 : 장성길 한인회장 5월항쟁 정신 계승 걷기대회에 참석. (그리피스공원)
5월24일 : 스탠 샌더스 의원이 LA한인회 방문.
6월13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단체장 회의 주재. 코리아타운문화센터 건립 설명.
8월4일 : 2000년대를 향한 한인교포사회 주제로 LA한인회 운영기금 모금행사. 10만달러 모금.
8월5일 : 광복 50주년 전통음악제 개최. (파사디나 시빅오디토리움)
8월15일 : 광복절 기념 우정의 종 타종식 참석. (샌피드로 우정의 종각)
9월14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현대극단 단원 초청, 만찬 주최.
9월20일 : 리처드 리오단 LA시장의 한국 방문 축하 오찬 참석.
9월27일 : 제76회 전국체전 결단식 참석, 축사. (LA총영사관 관저)
10월2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코리아타운교민회가 코리아타운한인회로 명칭 변경에 즉각 항의와 강력한 반대 성명 발표.
10월26일 : 한인회는 단체장 회의를 열고, 코리아타운교민회의 명칭 변경 반대 입장 거듭 반대 발표.
▲ 1996년
2월1일 : 제22대 LA한인회장에 조인하씨 단독 출마로 무투표 당선.
2월3일 : 장성길 한인회장은 임기 50일을 앞두고 한국 국회의원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 정동근 부회장이 직무대행.
3월22일 : 조인하 한인회장 취임식. (래디슨윌셔호텔)
4월11일 : LA한인회는 정관 개정. 정회원 나이를 18세로 낮춤.
5월8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길잃은 한인노인을 위한 신고센터 설치.
6월24일 : 한인재단 측과 협의, 한인회 사무실을 확장.
7월8일 : 한인회장을 역임한 소니아 석 여사 별세. 향년 83세.
7월12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자문위원 28명 초청, 한인회 사업 및 재정보고. 자문위원은 전직 한인회장과 각계 전문가.
7월16일 : LA한인회는 한국 법무부 윤만석 검사 초청, 한인동포 법적 지위문제 강연회.
7월26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민족학교와 함께 웰페어개정안(하원결의안 3734) 반대 캠페인.
8월8일 : LA한인회는 제34회 한인회 기금모금행사 주최. (유니버살힐튼호텔)
8월15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경찰의 과잉단속으로 피해를 입은 한인을 위한 기자회견.
8월26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남가주한인재단, 4.29장학재단, 한미구호기금재단이 통합, 새 건물 구입을 위한 기자회견. 현재 기금 370만달러로 한국정부에 기금 요청.
9월2일 : 김영삼 대통령 LA방문, 조인하 한인회장이 영접.
9월18일 : LA한인회는 북한 무장공비 남침 항의 교포대회 개최.
9월25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민족교육관 건립기금 모금행사 참석. (유니버살힐튼호텔)
10월30일 : LA한인회가 주관한 제1회 개척자상 시상식.
12월17일 : 남가주한인재단(이사장 이경동)은 한미구호기금재단 및 민족교육관 추진위원회와 통합 결정.
12월 31일 : LA한인회는 김창준 연방하원의원 보좌관 마서국씨의 정치헌금 관계에 위로의 뜻 전달.
▲ 1997년
1월20일 : LA한인회는 한흑단체 지도자의 화합을 위한 기자회견.
1월25일 : 한국을 비자면제그로그램(V.W.P.P.)에 포함시키는 법안(HR 203)의 조속한 통과를 위한 캠페인 시작.
2월15일 : LA한인회는 전금여행사(대표 김충자) 주최 김정일 찬양 사진전 개최 반대를 위한 기자회견.
2월24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국산품애용 캠페인, 국산품 수입 장려 운동을 펴나가기로 함.
2월25일 : LA한인회는 소비자보호센터 설치.
3월15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제임스 한 LA시 검사장 모금만찬에 참석.
4월29일 : 제5회 4.29기념행사 및 장학금 전달식에 참석.
5월10일 : LA한인회는 코리아타운내에 마약사범이 증가하는 문제와 해결을 위해 미국 사법기관과 공조체재를 유지해 나가기로 함.
6월14일 : 한인회 정관 및 선거관리 규정을 개정해 나가기로 함.
7월5일 : LA한인회는 긴급 임원회를 열고 LA한국교육원 건립문제, 영주권 소유자의 한국 참정권 행사 등 논의.
7월16일 : 한국 법무부 윤만석 검사 초청 한인동포의 법적 지위 강연회 개최. (KTE 강당)
7월26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민족학교와 함께 웰페어 개혁 거부권 운동에 참여.
8월10일 : LA한인회는 3차 정기이사회를 열고 한인재단 등 3개단체 동합 후 새 재단 구성문제 논의.
9월12일 : 조인하 회장은 서울 방문, 민족교육관 건물 구입문제를 김영삼 대통령의 특보인 김광일 변호사에 설명.
11월12일 : LA한인회와 30개 단체는 엘니뇨 대책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조인하 회장.
11월20일 : LA한인회는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강성용씨.
12월5일 : LA한인회는 식료품을 저소득 한인에게 배부.
12월23일 : 조인하 회장은 가주마켓 앞에서 한국 경제돕기 캠페인 전개.
▲ 1998년
1월12일 : 서영석씨가 LA한인회장 후보로 등록, 제24대 회장으로 무토표 당선.
1월15일 : LA한인회와 김대중 대통령 후원회는 대통령 당선 축하행사. (가든스위트호텔)
1월16일 : 조인하 한인회장은 종업원 문제가 발생한 조선갈비의 분쟁조정 역할 담당.
3월26일 : 제24대 서영석 LA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4월7일 : LA한인회는 제1차 정기이사회를 열고 이사장에 이혁씨 선출. 28만달러의 예산 확정.
4월25일 : 서영석 한인회장은 퍼시픽 벨 컨퍼런스센터에서 수련회 개최. 찰스 김 이사가 바람직한 한인회상을 발표.
5월29일 : LA한인회는 김대중 대통령 LA방문 환영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서영석 회장.
6월12일 : 김대중 대통령 LA방문. 서영석 한인회장이 환영사.
7월13일 : LA한인회는 사무총장에 오봉균씨, 대변인에 양현승 목사 선임.
8월4일 : 서영석 한인회장은 제1회 민족상 시상식을 거행 계획 발표.
8월15일 : LA한인회는 상오 11시 건국 50주년 기념행사(가든스위트호텔) 및 민족상 시상식 거행. 대상은 한응수 박사, 저녁 7시 광복절 기념 예술제.
8월16일 : 서영석 한인회장은 한인분쟁조정위원회 출범 발표. 변호사, 교수, 단체장 등 20명으로 구성.
8월25일 : 한국 법무부는 재외동포특례법 제정 발표. 한인회 등 40개 단체는 재외동포특례법 국회통과 추진위원회 구성. 공동위원장은 서영석 회장과 한국 인권문제연구소 상임고문인 차종환 박사.
9월15일 : 재외동포특례법 국회통과를 위한 성명서 발표.
9월16일 : 전미주 동포 4천5백명의 서명을 받아 차종환 공동위원장이 한국에 직접 전달.
10월17일 : 전미주재외특례법추진위원회 구성.
11월5일 : LA한인회는 중남미 허리캐인 피해자돕기 의연금품 모집.
12월9일 : 재외동포특례법 국회 제출.
▲ 1999년
1월26일 : 한인회관 벽면에 고분벽화 개막식.
1월26일 : 서영석 한인회장은 서울에서 재외동포특례법 세미나 개최. 박상천 법무장관이 축사, 차종환 박사가 발표.
2월2일 : LA한인회는 지나 한 돕기캠페인을 벌여나가기로 결정.
3월16일 : LA한인회는 한인분쟁조정위원회 발족.
4월30일 : LA한인회는 창립 37주년 기금모금행사. (윌셔그랜드호텔)
5월2일 ; 제1회 모범가정상 시상식. 체죽희 권사 등 4명 수상.
8월12일 : LA한인회는 제2회 민족상 시상식을 거행. 대상은 홍명기씨. (래디슨윌셔호텔)
8월12일 : 재외동포특례법의 11일 국회통과를 자축하는 행사. (한인회관)
8월24일 : LA한인회는 터키 지진피해자돕기 캠페인.
8월26일 : 서영석 한인회장은 본국으로 귀임하는 민형기 LA총영사 환송연.
9월7일 : 김명배 새 LA총영사 부임.
10월1일 : 한국에서 재외동포지위향상추진위원회 결성. 서경석 목사와 서영석 공동대표, 차종환 고문 추대.
11월21일 : 서영석 한인회장은 제1회 커뮤니티나이트행사 개최. (옥스포드호텔)
12월3일 : 재외동포법 시행촉구를 위해 서영석 한인회장과 차종환 인권연 고문 등 한국 방문.
▲ 2000년
1월10일 : LA한인회는 10년에 한번 실시하는 인구조사에 모든 한인이 참여하는 캠페인.
1월17일 : 한흑갈등해소를 위한 인종화합 회의 개최.
2월12일 : LA한인회장 선거에서 하기환 후보 당선(4236표). 스카렛 엄 후보 (2861표), 강종민 후보 (1148표). 8365명의 교포가 투표 참여. (아드모어 공원)
2월12일 : LA한인회장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노희준)는 하기환 회장 당선 발표.
3월8일 : 스카렛 엄 후보는 하기환 당선자와 선거관리위원회를 대상으로 TRO신청.
3월9일 : 한인단체장 50명은 스카렛 엄 후보의 소송철회 촉구 회견.
3월12일 : 서영석 LA한인회장이 재외동포특례법 제정 공로로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3월14일 : LA민사지법 데이빗 야피 판사는 스카렛 엄의 TRO 소송 기각.
3월30일 : LA민사지법 데이빗 야피 판사는 스카렛 엄이 제기한 한인회 엄부 및 취임중지 소송 기각.
4월1일 : 하기환 새 LA한인회장 업무 시작.
4월19일 : LA한인회는 이사장에 이영송씨 선출.
5월18일 : LA한인회는 제22회 광주민중항쟁기념식을 5.18기념사업회와 공동주최.
6월1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서울에서 LA민주평통과 공동으로 동포의견수렴 세미나 개최.
6월22일 : LA한인회는 연례기금 모금행사 개최. 9만달러 모금. (윌셔그랜드호텔)
6월26일 : 스카렛 엄이 하기환 한인회장을 상대로 낸 선거재심청구소송이 LA민사지법 데이빗 야피 판사에 의해 기각.
8월3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진보단체와 광복절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발표했고 보수단체에서 반대 성명.
10월10일 : LA한인회는 MTA의 파업으로 불편을 겪는 한인노인을 위해 자동차 태워주기 캠페인 시작.
10월13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축하 행사 개최. (제이제이그랜드호텔)
11월21일 : 한국 해군사관학교 순양훈련함인 광개토왕함을 방문, 입항 환영식 개최.
12월20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2001년 주요 사업으로 노인복지회관을 건립하겠다고 발표.[/vc_column_text][/vc_tab][vc_tab title=”2001~2010″ tab_id=”1434828407447-3-0″][vc_column_text]▲ 2001년
1월9일 : LA시의회는 LA한인회과 한국노인상조회(회장 노천환)가 공동으로 추진한 노인복지회관 부지임대를 승인.
1월17일 : 하기환 회장은 오마 브레들리 캄튼 시장, 세실 램보 세리프 캄튼 지서장을 초청 한흑 유대방안 논의.
1월23일 : LA한인회와 한국노인상조회는 LA시청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한국노인복지회관 조감도 공개. 연방이민국 폴 페에르 심사담당관 초청, 개정된 이민법 설명회.
2월27일 : LA한인회는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 후원사업 발표.
4월12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미 전국 20개 한인회와 공동으로 일본 역사교과서 시정 캠페인 전개.
4월17일 : LA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역사교과서 왜곡 시정촉구 데모.
4월19일 : LA한인회는 연례기금 모금행사. 7만달러 모금.
5월3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한국 서양화가 황정자씨 초청, 기금모금 전시회. (현대화랑)
5월8일 : LA한인회는 어버이날을 맞아 노인 1백명 초청, 세도나 무료관광 실시. 효자상 효부상 시상식 거행.
5월21일 : 남북공동선언 1주년을 맞아 북미개선촉진 캠페인 전개.
6월12일 : 일본 역사왜곡을 항의하는 데모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벌임.
6월14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한미동포재단(이사장 윤병욱)으로부터 운영기금 1만달러 받음. 메마른 한국 농촌에 양수기 보내기 캠페인 시작.
7월11일 : LA한인회는 남가주기독교교회연합회(회장 이정근 목사)와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역사왜곡 항의 데모.
8월15일 : LA한인회의 광복절 56주년 기념식에서 재향군인회 등 보수단체들이 항의.
9월12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뉴욕 테러 참사에 헌혈과 성금모금 운동.
9월24일 : LA한인회 정기이사회는 선거 후 소송을 제기한 후보의 출마제한 규정 제정.
9월26일 : 한인사회에서 모금한 뉴욕 테러사건 피해자 돕기기금 44만5천달러를 LA적십자사에 전달.
10월9일 : LA한인회는 미국의 아프간 공급단행으로 또다른 테러에 대비하는 비상단체장 회의 개최.
10월15일 : 하기환 회장은 뉴욕테러 희생자돕기 2차 성금 51만4천달러 전달.
10월29일 : LA한인회는 제6차 단체장 회의 개최. 시의원 선거구 단일화를 위한 결의안 채택.
11월8일 : 뉴욕테러 희생자돕기 3차 성금 31만6천달러 전달. 총 1백27만7천달러를 3차에 걸쳐 전달.
11월27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LA시 선거구 재조정위원회에 나가서 코리아타운선거구 단일화에 대한 발언.
11월29일 : LA한인회는 제2회 LA총영사배 골프대회 개최.
12월3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긴급단체장 회의 개최. 재외동포특례법의 헌법재판소 불일치결정대책위원회 구성.
▲ 2002년
2월6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고아가 된 한국계 4남매돕기 캠페인을 벌이고 1차로 2천달러 전달.
2월26일 : LA한인회는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이영송 이사장.
3월14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회장 입후보자는 선거비용 공탁금 3만달러, 등록 공탁금 3만달러 등 6만달러를 받기로 결정.
3월28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10년 한인회를 선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사람도 후보자격이 있다고 유권해석.
4월3일 : 제26대 LA한인회장 선거에 하기환 현 회장과 남문기 뉴스타그룹 대표가 등록.
4월5일 : 남문기 회장 후보는 선거관리위원회가 불공정한 선거를 하고 있다고 기자회견.
4월6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남문기 후보에게 LA거주 2년이상 자료를 9일까지 제출하라고 요청.
4월9일 : 선관위는 남문기 후보는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정.
4월11일 : 남문기 후보는 기자회견을 갖고 자신에 대한 무자격 판정은 하기환 회장을 당선시키기 위함 때문이라고 항의.
4월11일 : 선관위는 선거관리규정 제16조 2항에 의거 하기환씨의 한인회장 당선 발표.
4월16일 : 양회직 한우회 회장 등 20개단체장은 하기환 회장 당선은 무효라는 성명서 발표.
4월17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하기환 당선자에게 당선증 전달.
4월20일 ; LA한인회 회장 선거무효를 위해 구성된 정의구현추진위원회는 하기환 회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동양선교교회 주차장에서 벌임.
4월29일 : LA한인회는 4.29 LA폭동 10주년 행사를 주최. 개막식, 평화행진, 세미나 및 공연 개최.
5월18일 : LA한인회는 5.18광주민중항쟁기념식 및 토론회 개최. (한국문화원)
6월9일 : LA한인회는 월드컵의 응원을 위해 붉은악마 티셔츠 배부. 대형 스크린 TV 통해 응원을 펴나가겠다고 발표.
6월18일 : 한국과 이탈리아 8강진출 응원전을 한인타운 호텔, 식당 등에서 펼침.
6월18일 : 배부전씨(미주통일신문대표)는 하기환 한인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TRO)을 했으나 LA민사법원은 기각.
6월29일 : LA한인회는 월드컵의 3,4위전 응원을 스테이플스센터에서 2만교포가 참석한 가운데 펼침.
7월10일 : LA민사지법은 배부전씨의 LA한인회장 직무정지 예비명령 청구심 기각. 다시 당선무효 소송 제기.
7월22일 : 한인회 이사회는 정인철씨를 새 이사장으로 선출.
8월15일 : LA한인회는 광복절 기념식 거행.
8월20일 : LA정의구현시민연맹(회장 김기현)는 한인회장 재선거추진위원회 구성.
9월10일 : LA카운티 멜 레카나 판사는 하기환 회장이 제기한 소송말소 요청 기각.
9월11일 : LA한인회와 민주평통, 상공회의소 등 10여 한인단체는 9.11 테러희생자 1주기 추모식 거행. (우정의 종각)
9월19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무궁화노인복지회관 기공식 거행.
10월8일 : LA시민연대는 각계 118명으로 재선거실시추진위원회 구성.
10월15일 : LA카운티민사지법 멜 레카나 판사는 2003년 1월6일 LA한인회장 소송에 대한 판결을 내리겠다고 발표.
11월21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미주이민 100주년 기념 및 LA한인회 창립 40주년 기념행사 개최. (아로마센터)
12월23일 : LA한인회는 지난 1년 총 1만4천건의 민원사항 처리 발표.
▲ 2003년
1월6일 : LA카운티민사법원 멜 레카나 판사는 하기환 한인회장 당선무효 소송 시작. 정관개정 과정 등 양측 주장 청취.
1월13일 : LA한인회는 코리아타운내 경찰서 신설문제 논의. 경찰서 명칭, 위치 등을 위해 추진위원회 구성.
1월14일 : LA카운티민사법원은 제26대 하기환 회장의 당선은 위법 판결. 5인 분쟁조정위원회가 직무대행.
1월16일 : 분쟁조정위원회는 이혁 한인회 수석부회장에게 한인회장 회장 대행을 위임. 하기환 한인회장은 사임.
1월17일 : LA한인회(회장 직무대행 이혁)는 한인회 정관개정 부당성 판결에 항소. 하기환 회장은 다시 업무 시작.
1월20일 : LA시민연대(회장 김기현)는 한인회 회장 직무대행 체재 철회 및 한인회 회장단 사퇴 요구.
1월22일 : 하기환 회장은 항소로 인해 1심 판결명령은 정지되었다고 발언. 한인회는 이혁 대행체재로 갈 것 언급.
1월23일 : LA한인회는 제10지구 시의원 후보 초청 합동토론회. (아로마센터)
2월5일 : 하기환 회장이 김기현 LA시민연대 대표 등에 대한 명예훼손 소송 기각.
3월5일 : LA한인회는 언론인 셀리크 해리슨씨 초청, 북한 핵문제 세미나.
3월20일 : LA한인회는 한인단체장 초청, 미국의 이락 침공에 따른 대책 회의.
5월4일 : 하기환 회장은 제1회 어버이날맞이 경로잔치.
6월4일 : LA한인회는 한인단체장 회의를 갖고 미주동포의 북핵문제 건의안을 미 연방 하원에 제출.
6월25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이윤복 신임 LA총영사의 한인회 방문 거절. 한인회보다 다른 기관을 먼저 방문했기 때문.
7월17일 : LA한인회는 정의식 한인노인회 회장의 노인회관 건물 매각 반대입장 전달.
8월6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세계한인지도자회의 참석. 이혁 수석부회장이 직무대행.
8월15일 : LA한인회 등 26개 단체는 하오 3시 미주이민 100주년 축하행사로 LA시청 앞에서 현기식 거행.
8월25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윌셔코리아타운 주민회의 참여를 위한 특별전담반 구성.
10월15일 : LA한인회은 한국의 제14호 태풍 매미 피해자를 위한 의연금 21만5천달러를 이윤복 총영사에 전달.
10월15일 : 3개월간 정직처분을 받은 정인철 이사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하기환 회장과 동반사퇴 주장.
10월17일 : LA한인회는 MTA버스 파업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한인노인을 위해 카풀 캠페인.
10월23일 : LA한인회 창립 41주년 기념모금행사. (래디슨윌셔호텔)
10월28일 : 한우회(회장 김영태)는 한인회 사태에 대한 긴급 모임을 열고 정인철 이사장은 하기환 회장에게 사과하고, 하기환 회장은 3개월 정직 취소를 위한 중재안 마련.
11월14일 : 하기환 회장은 태풍 매미의 수재의연금 2차분 9만9천달러를 이윤복 총영사에 전달.
11월17일 : LA한인회는 산불피해자 구호성금 1만3천달러를 미적십자사에 전달.
▲ 2004년
1월21일 : 이혁 수석부회장이 제27대 한인회장 불출마 발표.
1월26일 : LA한인회는 정기이사회를 갖고 정인철 부이사장의 이사장 자격 박탈을 재확인하고 안국찬 부이사장을 이사장 대행으로 결정. 정인철 전 이사장은 이사직만 유지.
2월25일 : 하기환 한인회장과 차종환 공동이사장은 재외동포법 국회통과 자축행사를 개최.
3월1일 : LA한인회와 3.1여성동지회는 제85주년 3.1절 기념행사를 개최.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3월10일 : 가주항소법원은 LA한인회가 제기한 소송에서 1심판결을 무효이고, 배부전씨가 제기한 소송에 패소판결.
3월24일 : 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남권)는 현판식을 갖고 업무 시작.
3월25일 : 이용태 한인상공회의소 이사장이 LA한인회장 출마 발표.
4월9일 : LA한인회장 선거에서 이용태 후보 등록.
4월27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북한 용천참사 피해자돕기 성금 2만달러를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참사에 전달. 재향군인회에서 항의.
5월5일 : 제27대 한인회 회장에 이용태 후보가 단일입후보로 무투표 당선.
5월24일 : 하기환 한인회장은 걸프전에 참전했다 마약범죄로 추방위기에 있는 박병근씨 돕기 서명운동.
6월24일 : 이용태 제27대 한인회장 취임식 거행.
7월26일 : LA한인회는 정기이사회를 열고 이사장에 강상윤씨 선출.
8월12일 : 미주재외동포권익위원회 발기대회. 공동대표는 강상윤 이사장과 차종환 인권문제연구소 고문.
8월15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민주평통과 공동주최로 제59회 광복절 기념 우정의 종 타종식.
9월17일 : 올림픽가에서 펼쳐진 한인의 날 행사에 이용태 한인회장 오픈 카 타고 행진.
9월19일 : 한인회 이사회는 9월을 한인정치력 신장의 달로 정하고 유권자등록 캠페인.
9월22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전직 회장과 각계 인사 단체장 등 42명으로 고문단을 구성하고 첫 회의. (로택스호텔)
10월15일 : 한인회는 쇼셜워커 한영애씨의 민원서비스 시작.
10월22일 : 이용태 한인회장과 임원진은 LA다운타운 한인의류상가를 방문, 경제상황 청취.
11월10일 : LA한인회는 창립 42주년 기념 및 기금모금 행사 개최. (윌셔그랜드호텔)
11월13일 : 노무현 대통령의 LA동포 초청 환영회에서 이용태 한인회장이 인사말. 재외동포 권익을 위한 법률제정을 차종환 박사가 건의.
12월29일 : LA한인회는 동남아 쓰나미 피해자를 위한 모금운동을 한인단체와 벌여나감. 언론사가 아닌 한인회가 모금운동을 주도.
12월30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연말을 맞아 나눔선교회와 양로병원 방문.
▲ 2005년
1월12일 : LA한인회는 재미대한체육회와 공동으로 한국대표 축구팀 환영만찬.
1월18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쓰나미 피해자 성금 30만달러를 미 적십자사와 월드비전에 전달.
1월24일 : 한화갑 새천년민주당 대표가 LA한인회 방문.
1월29일 : LA한인회 노인복지분과위원회는 Leeward 노인아파트를 찾아 구정맞이 경로잔치.
2월14일 : LA한인회는 정기이사회를 갖고 노인복지회관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 3인공동위원장은 이용태 회장, 하기환 전 회장, 김영태 전 회장.
2월15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웹사이트 오픈(www.koreanfed.com).
2월16일 : 이용태 한인회장과 김남권 코리아타운주민회의 의장은 한인타운 치안 및 교통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합의.
3월20일 :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LA한인회 방문, 이용태 회장과 교포문제에 의견 교환.
3월24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한인단체장 1백명과 함께 시마내현의 독도에 대한 억지를 항의하는 시위를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벌임.
5월4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한미동포재단이 새로 구입한 옆 건물(973 S. Western Ave.)을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현재 4층 사무실을 1층으로 이전 제안.
5월16일 : LA한인회는 6개단체와 공동으로 LA시장선거에 많이 참여하는 투표 독려 캠페인 전개.
5월18일 : 이용태 한인회장 톰 라본지 시의원을 초청, 코리아타운에 세워지는 경찰서의 관할지역을 단일화 건의.
5월20일 : LA한인회와 한미인권연구소는 재외동포 권익을 위한 책자를 공동으로 발간.
5월28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투자사기 피해신고센터를 사무실 안에 설치.
5월31일 : LA한인회는 봉사활동을 강화하고 복지관계 상담을 늘려나가기로 함.
6월1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한국노인회가 소유하고 있던 노인상조회 건물을 기증받음. 이 건물을 판매한 기금 50만달러는 올림픽과 노르만디에 세워지는 노인복지회관 건립에 사용 결정.
10월6일 : LA한인회는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자돕기 성금 51만8천달러를 미 적십자사 전달. 한인회는 1차로 36만5천달러, 2차로 15만3천달러를 모아 전달.
12월22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중양양로원을 방문, 송년선물을 전달.
12월29일 : 마약재활센터인 나눔선교회에 1천달러 성금 전달.
▲ 2006년
1월9일 : LA한인회는 세리프 제프리 김과 마두식씨, 그리고 유창우군에 커뮤니티 봉사상 수여.
2월13일 :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최명진 부회장.
2월17일 : 남문기 뉴스타그룹 대표가 LA한인회장 출마 기자회견.
2월20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문서 자료실을 만들고 한인회 역사편찬 사업을 펴나가겠다고 발표.
4월4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한인회장 후보 4명에 대한 기호 추첨. 기호 1번 김남권 후보, 2번 남문기 후보, 3번 스카렛 엄 후보, 4번 김기현 후보.
4월12일 : 한인회장 후보 4명의 합동초청 토론회. (청운교회)
4월20일 : 남문기 후보는 잘하겠습니다라는 저서 출판기념회와 후원의 밤 행사.
5월3일 : 제28대 LA한인회장 등록수는 7만8천3백68명.
5월6일 : 이용태 한인회장은 서울에서 열린 2006년 세계한인회장대회 참석.
5월13일 : 제28대 LA한인회장 선거. 8개 투표소에서 투표실시. 남문기 후보 2981표로 당선.
5월15일 : 최명진 선거관리위원장은 남문기 당선자에 당선증 전달.
5월24일 : 남문기 28대 회장 당선자는 경쟁후보였던 스카렛 엄씨를 이사장으로 영입하겠다고 발표.
5월26일 : 남문기 당선자는 한인회 전 회장을 초청, 간담회.
6월22일 : 이용태 한인회장 이임식 및 남문기 회장 취임식. (윌셔그랜드호텔)
7월1일 : 남문기 제28대 LA한인회장 임기 시작.
7월6일 : 남문기 회장은 1차 운영회의 이사 85명 확정, 사무국장은 조동진씨 유임.
7월14일 : LA한인회는 유재건 국회의원 초청, 동포간담회. (래디슨윌셔호텔)
7월17일 : 1차 정기이사회를 열고 스카렛 엄씨를 새 이사장으로 선출.
7월20일 : 남문기 회장은 단체장 연석회의. 11월 선거전까지 시민권 신청과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벌여나가기로 함.
8월17일 : LA한인회는 연방 노동부의 취업그랜트를 받아 쇼셜워커 2명을 풀타임으로 근무 시작.
8월18일 : 본국 수재민 돕기 의연금 5만달러를 LA총영사관에 전달.
9월10일 : 남문기 회장과 스카렛 엄 이사장은 웨스트LA의 유대인연맹본부를 방문, 교류 및 협력 논의.
9월12일 : 남문기 회장은 한인정치보좌관 20명을 초청 만찬.
9월23일 : 이상득 국회부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방미단 초청 LA동포간담회 개최.
10월3일 : LA한인회는 코리아타운 방범 시스템을 갖추겠다는 기자회견.
10월9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북한 핵실험에 항의하는 성명서 발표.
10월19일 : LA한인회는 창립 제44주년 기념식 및 기금모금행사 주최. (윌셔그랜드호텔)
11월18일 : LA한인회는 자체방범단 출범. 순찰차 1대를 운영.
11월 28일 : 노인복지회관 건립기금 모금 골프대회. (라하브라골프코스)
12월5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단체장 초청 송년의 밤 행사. (옥스포드팔레스호텔)
▲ 2007년
1월4일 : 남문기 한인회장과 최병효 총영사는 정기적인 모임을 갖기로 합의.
1월5일 : LA한인회와 한미동포재단이 한인회관 1층 사용권 문제로 충돌.
1월18일 : 남문기 한인회장와 최희만 전 한인회관건립위원은 한인회관의 소유주는 한인회라고 기자회견.
1월30일 : LA한인회는 32년간 사용하던 4층 사무실을 1층으로 이전. 1975년 11월 한인회관 개관 때부터 4층을 사용.
2월8일 : 한인단체장 회의에 41개 70여명이 참석, 코리아타운경찰서 유치에 서명.
2월21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역사왜곡의 논란이 되고 있는 요코이야기의 교재 채택 반대 공문을 학교에 보냄.
2월27일 : 한인커뮤니티변호사협회(회장 데이빗 백)는 한인회와 함께 무료법률상담.
3월16일 : 강종민 LA한인회 수석부회장 사임. 김승유 이사를 수석부회장에 선출.
3월19일 : 남문기 한인회장 한국 출장. 강성용 상임부회장이 회장 직무대행.
3월20일 : 김한길 국회의원 초청, 동포간담회 개최.
4월13일 : LA한인회관이 재단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 모두 71만달러 투자.
4월17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버지니아공대 총격사건 대책을 세우기 위해 긴급 단체장 회의 개최.
5월2일 : LA한인회는 위안부사죄결의안(HR 121) 지지운동 전개.
5월9일 : LA한인회 안에 시민권반과 영어교육반(ESL) 신설.
5월15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한인단체장 회의 주재. 정주현 상공회의소 회장과 민병용 미주한인재단 회장 등 20명 참석. 위안부문제와 MTA 요금인상 반대 등 논의.
5월23일 : 한나라당 김덕룡 국회의원이 LA한인회 방문.
6월4일 : 한미동포재단, 한우회, 홀리랜드장학재단이 LA한인회에 방범대 운영기금 전달.
6월12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방범대 기금 마련을 위해 1일식당 운영.
7월5일 : 안상수 인천시장이 LA한인회 방문.
7월17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민주평통 자문위원 사퇴. 인선위원회에 한인회장이 배제되었고 한인회 추천인사의 민주평통 자문위원 탈락 이유.
8월2일 : LA한인회는 아프간 텔레반에 억류 피살된 배형규 목사와 심성민씨 추모행사.
8월4일 : 남문기 한인회장과 가주연대 이승호 대표, 정신대 이용수 할머니 등은 미 하원의 위안부결의안 통과 자축행사. (제이제이그랜드 호텔)
8월7일 : 일본계 연방 하원의원 마이크 혼다씨 초청 환영만찬.
8월20일 : LA한인회는 유대인 커뮤니티와 상호교류를 위해 정기이사회를 유대인 회당에서 개최.
8월30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세계한인유권자연대 창립 발기인대회 참석.
9월4일 : 유용겸 전 부산경륜공단 이사장에게 인종화합을 위한 자전거 130대를 기증해 준데 대해 감사패 증정.
10월12일 : LA한인회는 창립 45주년 기념식 및 기금모금파티쇼 개최. 모두 20만달러 모금. (윌셔그랜드호텔)
10월17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한국 법무부 차규근 국제난민과장 초청, 개정된 국적법 설명회.
10월24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LA시 허브 웨슨 시의원으로부터 노인복지회관 건축기금 50만달러 수령.
12월 28일 : 2007년 사업결산 기자회견. 참정권 조속 실시 등 촉구.
▲ 2008년
1월3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 FTA의 조속한 통과와 무비자시대 준비 등 사업계획 발표.
1월18일 : 북미주재외국민참정권 추진대회 개최. 주영성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용태 회장, 김완흠 회장 등 100여명 참석.
1월22일 : 라하브라경찰관의 총격으로 숨진 마이클 조씨의 공정수사를 위한 진상규명대회 개최.
1월22일 : LA한인회는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김승웅 수석부회장을 위원장에 임명.
1월31일 : 한국 선거관리위원회에 연락 5월10일 한인회장 선거에 지원을 받기로 함.
2월2일 : 남문기 한인회장 구정맞이 설잔치 개최. (한인회관)
2월11일 : 재소자 권리보호안 발의 서명운동을 위한 기자회견.
2월22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한인회관 1층 사무실에서 현판식.
2월27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한미동포재단(이사장 박형만)이 한인회관 건물 전면에 한미동포재단이라는 간판을 붙인 것을 엄중 항의.
3월6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한인회장 공탁금을 3만달러에서 5만달러 인상. 후보자 등록금은 총 10만달러라고 발표.
3월12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박형만 한미동포재단 이사장과 한인회관 전면의 한미동포재단 간판 철거 합의.
3월17일 : 동양선교교회, 한미은행 등은 남문기 한인회장에 노인복지회관 건립기금 전달. 총 공사비 170만달러 중 노인회관 판매기금 56만달러, LA시 지원 50만달러 확보.
3월20일 : 스카렛 엄 한인회 이사장은 한인회장 출마 발표.
3월26일 : 스카렛 엄 이사장은 10만달러의 등록비와 후보서류를 선관위에 제출. 한인회장 후보로 등록.
3월28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재출마를 하지않겠다고 발표.
4월3일 : 제29대 LA한인회장에 스카렛 엄 후보 단일후보로 무투표 당선.
4월16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김재수 LA총영사의 임명 환영을 위한 단체장 회의.
5월5일 : 남문기 한인회장은 한국을 방문, 참정권 실천문제 논의.
6월4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 당선자은 새 이사장에 이창엽 전 한인상공회의소 회장을 내정.
7월1일 : 스카렛 엄 LA한인회장 취임식.
7월13일 : LA한인회는 1일연수회를 갖고 정관 개정 등 논의. 51명의 이사중 40명이 아침 9시부터 오후까지 진행.
7월15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과 임원진은 헐리웃장로병원을 방문, 한인커뮤니티와 협력 방안 논의.
7월18일 : LA한인회는 긴급임원회의를 갖고 현행 회장 임기 2년을 3년으로 정관개정 논의.
7월21일 : 한우회 등 단체장은 한인회장 임기연장에 반대의견 제시.
8월26일 : LA한인회 경제사절단(단장 스카렛 엄 한인회장)이 중국 연길시와 한국 방문.
9월29일 : LA한인회는 한인회 안에 코리아타운교육센터를 세우고 개관식. 재미한인직업훈련센터(원장 엄귀자)와 공동운영.
10월18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백상진 박사 초청, 현대병 투병 무료세미나 개최.
11월1일 : LA한인회는 요꼬이야기 퇴출 가두서명받기 캠페인. (한남체인)
11월6일 : LA한인회 고문 및 자문위원 위촉식.
11월14일 : LA한인회는 창립 46주년 기념식 및 기금모금행사. (윌셔그랜드호텔)
11월19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가주고용개발청(EDD)과 취업박람회 개최. (동양선교교회)
12월11일 : LA한인회는 저소득층의 주택장만세미나 개최.
12월12일 : 리틀 방글라데시 구역지정 요구에 대처하는 회의.
12월15일 : 한우회(회장 김영태)는 12월3일 조동진 사무총장 해임 후 공석이 된 사무국장을 조속히 선임하라고 요구.
12월20일 : LA한인회는 연말을 맞아 다운타운에서 노숙자를 위한 식사 대접.
12월23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리틀 방글라데시 구역지정 반대를 위한 5만명 서명받기 캠페인.
12월27일 : LA한인회관에 전기누전으로 화재 발생. 한인회관 잠정 페쇄.
12월30일 : LA한인회는 방글라데시 커뮤니티 대표를 만나 코리아타운 밖에 형성에 합의.
▲ 2009년
1월13일 : LA한인회는 미주한인재단과 미주한인의 날 기념 태극기와 성조기 게양식을 공동주최.
1월15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 정치권이 영주권자에게도 투표권을 주어야 한다고 발표. 세계공룡엑스포를 주최하는 경남 고성군 이학렬 군수와 상호업무협조(MOU) 체결.
1월30일 : LA한인회는 재외국민참정권 국회통과 축하 기념행사.
2월21일 : LA한인회는 미국보존회(Preserve American)로부터 코리아타운 재개발기금 5만달러 수령.
2월25일 : 3월부터 직업교육실시. 5개반을 운영하며 수강료는 무료.
4월6일 : LA한인회는 상해 한국상회(회장 정한영)와 상호업무협조(MOU) 체결.
4월15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노인복지회관 건물 완공에 최대한 협조를 하겠다고 발표.
4월17일 : 노인복지회관 재단이사회(이사장 하기환)는 이창엽 한인회 이사장 등 8명을 이사로 영입.
4월20일 : 스카렛 엄 회장은 한인회보(KAFLA News)를 발행. 총 16페이지의 칼라로 1천부 인쇄.
4월21일 : 백상진 박사 초청, 현대병 세미나를 모두 5회 개최.
4월29일 : LA한인회는 폭동, 테러, 지진에 대비하는 재난대비전담반 출범.
5월4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흑인건강 리서치단체인 헬시아프리칸아메리칸 페밀리와 한인건강실태 연구조사 합의.
5월26일 : LA한인회는 뉴욕 한인유권자센터 김동석 소장 초청, 정치력 교육 세미나 개최.
5월28일 : 안토니오 비아라이고사 LA시장은 스카렛 엄 LA한인회장 등 아시아계 지도자를 관저로 초청 만찬. 코리아타운이 연방 사적지로 선정된 증서 받아.
6월3일 : LA한인회는 한인학생 50명을 선발 여름방학 인턴십프로그램(SYEP) 실시.
6월8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재외동포재단으로부터 초기이민자 정착교육기금 2만달러 수령.
6월9일 : LA한인회와 한미연합회는 북한에 억류되어있는 여기자 유나리와 로라 링 2명을 즉각 석방하라는 성명서 발표. 미국 주류 언론에서 취재.
6월12일 : 한인건강정보센터, 센인트빈센트병원, 찰스 드류대학과 공동으로 한인사회에서 B형 감염실태 조사 양해각서 체결.
6월19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중국 청도한국민회(회장 최영남)과 우호교류협약(MOU) 체결.
6월27일 : LA한인회는 LA시장실과 함께 코리아타운 대청소를 실시. 200명이 아침 8시부터 낙서지우기, 가로수 심기, 오물수거 작업.
7월1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코리아타운 안내지도 10만부를 제작 무료 배부.
7월9일 : LA한인회는 기금모금 친선골프대회 개최. 5만달러 모금. (캘리포니아컨추리클럽)
7월17일 : 샤론의 홈(원장 박소희)과 공동으로 무료건강검진 행사. 양방과 한방의사들이 2일간 검진.
7월20일 : LA한인회는 정관 및 선거관리 규정 개정 소위원회 구성.
9월10일 : LA한인회는 윌셔센터코리아타운 재개발기금 15만달러 수령.
9월23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저소득층 자녀 여름방학인턴 수료식을 거행.
9월28일 : LA한인회는 스테이션 산불 현장에서 자원봉사를 한 김중식씨와 신성복씨에 착한 시민상 수여.
9월29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코리아타운 안내 입체지도를 발행.
10월1일 : LA한인회는 홈페이지(www.koreanfed.org)를 새 단장.
10월9일 : 제36회 한국의 날 행사를 앞두고 8가 길 청소. LA시 커뮤니티재개발국이 후원.
10월13일 : LA한인회와 한인상공회의소는 올림픽브러바드 디자인을 공개. 4백만달러를 들여서 재단장 작업 시작.
10월15일 : LA한인회는 백악관으로부터 코리아타운을 미국의 커뮤니티가 보존해야할 곳으로 지정받아.
10월19일 : 정관개정소위원회(위원장 엄익청)는 한인회장 후보 등록금 10만달러를 낙선이나 실격에는 반환하지 않기로 결정.
10월28일 : LA한인회는 임시이사회를 열고 한인회 재정 공개. 제29대 출범후 총 수입 36만5천달러, 지출 36만3천달러.
11월5일 : 창립 47주년 기념식 및 축하공연 개최. (동양선교교회)
12월17일 : LA한인회는 송년모임을 갖고 매튜 블레이크 올림픽경찰서 서장에게 방범기금 전달.
▲ 2010년
1월19일 :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김정화 부회장 임명.
2월11일 : LA한인회는 윌셔메트로직업센터와 공동으로 간호보조사 및 응급구조사 양성프로그램을 시작.
2월23일 : 직업학교 기금모금을 위한 1일식당을 한송부페에서 개최.
3월8일 : LA한인회장 선거를 5월29일 실시 결정. 유권자 등록은 폐지.
3월20일 : 박요한 한미동포재단 이사가 제30대 LA한인회장 출마를 위한 기자회견.
3월29일 : 동부한인회(회장 조시영)와 인랜드한인회(회장 폴 송)는 LA한인회장 투표소에 인랜드한인교회가 포함된 것을 반대하는 기자회견.
3월31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커랜 프라이스 가주 상원의원이 주관하는 제4회 여성 히어로상을 수상.
4월9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재출마 발표.
4월12일 : 김승웅 LA한인회 부이사장은 한인회장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
4월12일 : 박요한씨와 스카렛 엄씨가 LA한인회장 후보 등록으로 2파전 확정.
4월20일 : 박요한 회장 후보는 기자회견을 갖고 선관위 구성의 문제점 지적.
4월22일 : 남가주한인장로협의회(회장 하기언)는 박요한 후보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발표.
4월23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출마를 위해 5월22일 사퇴한다고 발표.
4월26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두 후보의 기호 추첨. 1번 박요한 후보, 2번은 스카렛 엄 후보.
5월4일 : 선거관리위원 4명(진 최, 정재덕, 김상동, 김익수) 사퇴. 박요한 후보 자격 박탈 논의에 대한 공정성 시비 때문.
5월5일 : 제30대 LA한인회장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정화)는 기호1번 박요한 후보의 자격 박탈. 이유는 (1) 기자회견을 열어 혼탁선거 조장 (2) 선거규정 수정 요구 (3) 이메일로 지지 부탁 (4) 모 언론사 부장 접대라고 발표. 한인단체장 및 전직 한인회장은 한인회장선거 정상화추진위원회 구성.
5월6일 : 정상화추진위원회는 중재시도 후 불응할 때는 선거관리위원회를 따로 구성, 한인회장 선거를 다시 하겠다고 발표.
5월10일 : 김정화 선거관리위원장은 기호 2번 스카렛 엄 후보의 무투표 당선 확정. 박요한 후보는 스카렛 엄 후보의 부정을 고발하고 자신에 대한 자격 박탈에 재심 요청.
5월12일 : 남문기 전 한인회장 겸 미주한인회총연합회 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스카렛 엄 후보의 무투표 당선은 문제가 있고 다시 선거를 해야한다고 주장. 정상화추진위원회는 선거관리위원회를 재구성 후 선거를 다시 하라고 요구.
5월13일 : 스카렛 엄 후보는 제30대 LA한인회장 당선증 수령.
5월19일 : LA한인회 이창엽 이사장이 전격 사임.
5월21일 : LA카운티법원 로버트 오브라이언 판사는 박요한 후보가 낸 스카렛 엄 후보의 당선 무효 TRO를 기각. 박요한 후보는 선관위원회 결정 무효 소송 제기.
5월21일 : 한우회(회장 서영석)는 기자회견을 갖고 새 한인회 창립 반대 입장 발표.
5월22일 : 미주한인회총연합회(총회장 남문기)는 긴급이사회를 갖고 스카렛 엄 당선자와 김정화 선관위원장 사퇴 요구.
5월26일 : LA한인회장선거 정상화추진위원회(위원장 하기환)는 발기대회를 갖고 한인회장을 별도로 선출하겠다고 발표. 선거관리위원회를 새로 구성하고 법정 소송도 병행한다고 언급.
6월10일 : LA카운티법원 데이빗 야피 판사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스카렛 엄 당선 결정은 정당하다고 판결. LA한인회장 선거 정상화추진위원회는 새 한인회를 구성 후 회장 후보의 접수를 받겠다고 발표.
6월14일 : 새 LA한인회장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벤자민 구)는 7월10일 새 LA한인회장을 선거한다고 공시. 회장 등록마감일은 6월16일.
6월17일 : 새 LA한인회장 선관위는 박요한 후보의 단독 입후보로 무투표 당선을 발표.
6월30일 : 스카렛 엄 제30대 LA한인회장은 옥스포드호텔에서 취임식. 박요한 새 LA한인회장은 가든스위트호텔에서 취임식. 안토니오 비아라이고사 LA시장은 두곳 취임식 참석. 한인회는 2개, 한인회장은 2명의 사태 발생.
8월11일 : 새 LA한인회는 초대 이사장 박형만, 수석부회장 김기현씨 선출.
8월14일 : 제30대 LA한인회는 이사장 김재권, 수석부회장 제프 건씨 등 선임.
9월14일 : 미주한인회총연합회(총회장 남문기)는 한 도시에 한개의 한인회를 인정한다는 방침에 따라 중재에 나서겠다고 발표.
9월17일 : 스카렛 엄 LA한인회장은 흑인 비영리단체로부터 올해의 인물상을 세미 리 박사와 함께 수상.
10월5일 : 박요한 새 LA한인회장은 탈북동포를 위한 타운홀 미팅을 개최. 로베르토 홍 변호사가 발표.
10월7일 : LA카운티법원 자벤 시나니안 판사는 LA한인회장 선거는 적법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고 판결.
10월13일 : LA총영사관이 LA한인회 사태의 중제에 나섰으나 스카렛 엄 회장이 불참.
10월27일 : LA한인회는 LA카운티 재산세 산정국 존 노게즈 부국장 초청 세미나.
12월16일 : 스카렛 엄 LA한인회장은 제48회 기념식 및 기금모금 파티 개최. (유니버살 힐튼호텔)[/vc_column_text][vc_column_text]
I am text block. Click edit button to change this text.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Ut elit tellus, luctus nec ullamcorper mattis, pulvinar dapibus leo.
[/vc_column_text][/vc_tab][vc_tab title=”2011~2014″ tab_id=”1434950879843-5-4″][vc_column_text]▲ 2011년
1월3일 : LA한인회는 신년시무식 거행. 봉사 자세를 더욱 확립해 나가겠다고 다짐.
2월1일 : 한인회합창단 창단식 거행. 지휘 장상근, 이사장 최경숙, 부단장 신금순씨.
2월14일 : LA한인회는 새 LA한인회 회장 박요한씨를 상대로 1백만달러 손해배상청구소송 제기.
3월2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노인복지회관 공동운영위원회 구성에 합의.
3월21일 : 스카렛 엄과 박요한씨측의 인사들이 한인회 사태 해결을 위한 물밑협상 시작.
4월4일 : LA한인회는 직업교육학교 신입생 환영식 및 졸업식 거행.
4월26일 : LA한인회는 기금모금 1일식당을 2일간 6개 식당에서 운영.
5월16일 : LA한인회 스카렛 엄 회장과 박요한 새 LA한인회장은 통합 합의.
합의내용은 (1) 새 LA한인회는 LA한인회에 참여하지 않는다. (2) 새 LA한인회는 단체 등록을 3일내에 취소한다. (3) 30대 한인회 관련 소송은 30일이내에 취하한다. (4) 한인회 소송 관련 입후보 자격 제한은 하지않는다 등.
5월26일 : 제프 건 LA한인회 수석 부회장은 스카렛 엄 회장에게 간도땅 회복사업 기금 2만5천달러를 반환하라고 요구.
6월10일 : 간도땅회복본부 임원은 한인회관 앞에서 스카렛 엄 회장에게 2만5천달러 반환요구 데모.
6월15일 : LA한인회는 대학학비보조 세미나 개최. 강사는 피터 박씨.
6월17일 : LA한인회는 Food Bank를 운영, 4천명에 식료품을 무료로 제공했다고 발표.
6월20일 : LA한인회 이사회는 제프 건 수석부회장 제명.
6월23일 : 간도땅회복본보(총재 제프 건) 회원들은 LA총영사관 앞에서 스카렛 엄 회장의 2만5천달러 반환 요구 데모.
7월27일 : 제프 건 간도땅착기운동본부 총재는 LA한인회와 협조할 용의가 있다고 기자회견. 한편 스카렛 엄 한인회장을 대상으로 7500달러를 돌려달라는 소액 재판에서 패소.
7월30일 : LA한인회 스카렛 엄 회장과 이사 30명은 팜스프링스 한인리조트에서 2차연도 연차대회 개최.
8월8일 : LA한인회는 무료컴퓨터교실 운영.
8월15일 : 제66주년 광복절 기념식을 민주평통, LA총영사관, 미주 3.1여성동지회 등과 합동으로 개최. (한인회관 회의실)
8월17일 : 올드타이머협회(회장 이한종)는 한인회재건위원회 공동대표자회의 개최. (노인복지회관)
8월19일 : LA한인회는 헐리웃장로병원과 공동으로 제8회 건강정보세미나 개최.
8월31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국제수로기구에 항의 서한 보내기 운동 등 동해표기 캠페인 시작.
9월17일 : LA한인회 정상화촉진위원회(준비위원장 이한종)는 공청회 개최. 김기성 전 한인회장이 발언. (LA한인침례교회)
9월17일 : LA한인회는 무료한글학교 운영. 매주 토요일 2시간 지도.
9월27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미주 주요 도시 한인회와 동해표기 10만 서명운동 발표.
10월3일 : 무료직업학교 개강. 한인회 산하 재미한인직업교육센터가 6개 교육과정 강의.
10월3일 : LA한인회는 단기 4344년 개천절 기념식을 민주평통과 공동 주최. (한인회관 회의실)
10월12일 : 서울을 방문중인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남해대학과 산하협력 MOU 체결.
10월14일 : 재외동포재단 김종완 사업이사가 LA한인회 방문, 단체장과 간담회.
10월21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제28차 무료 식품 배부 행사.
11월 1일 : LA한인회는 무료 독감예방 접종 행사.
11월2일 : 노인복지회관 재단이사회(이사장 하기환)는 LA한인회를 상대로 소송제기. 한인회의 서명 거부로 커뮤니티재개발국(CRA/LA)의 지원금 190만달러를 받지못했기 때문.
11월18일 : LA한인회와 헐리웃장로병원이 공동주최하는 건강세미나. 강사는 차민영 내과전문의.
12월7일 : 스카렛 엄 LA한인회장은 경기지역 6개병원과 무료 의료 진료 시작. 한국의 병원과 화상시스템을 통해 상담.
▲ 2012년
1월5일 : LA한인회는 시무식 거행. 스카렛 엄 회장은 노인복지회관 소송에 맞고소를 하겠다고 발표.
2월17일 : 미주지역 한인회장들은 시카고에서 모임을 갖고 동해표기 청원서를 국제기구에 제출 결정. 김재권 이사장 참석.
2월23일 : 배무한 한인축제재단 회장이 제31대 LA한인회장 출마 발표.
2월27일 : LA한인회는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위원장은 엄익청 부이사장.
3월2일 : LA한인회는 임시이사회를 열고 회장 선거를 5월19일 실시 결정. 입후보 등록금은 10만달러.
3월19일 : 선거관리위원회 현판식. 선관위원은 엄익청 위원장, 이평화, 이원영, 유인희, 임희안, 변영익, 양학봉, 이희복, 배국희.
3월27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시행 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하겠다는 기자회견. 한우회(회장 하기환)는 선거관리규정 개정에 문제 제기.
3월29일 : LA한인회장 선거에 배무한, 박요한, 김재권씨 등록 서류 수령.
4월2일 : 배무한 한인축제재단 회장은 한인회장에 출마하기 위해 현직을 사퇴.
4월4일 : 한우회(회장 하기환)는 한인회 선거관리규정의 불공정성에 대한 공청회 개최(소향). LA한인회는 분열조장이라고 비난.
4월6일 : 박요한 후보 출마 기자회견(가든스위트호텔)
4월9일 : LA한인회 산하 한인직업교육센터(원장 엄은자)는 은행텔러, 미용반 등 개강.
4월16일 : 김재권 LA한인회 이사장 불출마 발표. 한인회장 선거는 배무한 후보와 박요한 후보의 2파전.
4월20일 : LA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는 기호 추첨. 1번 배무한 후보, 2번 박요한 후보.
4월25일 : 선관위는 박요한 후보에 비영리단체 경력 증명서 제출 요구.
4월30일 : 선관위는 박요한 후보가 제출한 서류에 대한 봉사경력의 평가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함.
5월2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긴급이사회를 열고 엄익청 이사장 및 이원영 부위원장의 자격을 정지.
5월3일 : 엄익청 선관위원장은 이사회 결정은 월권 행위라며 선거는 예정대로 치룰 것이라고 기자회견.
5월5일 : 선관위는 배무한 후보와 박요한 후보의 자격 시비는 문제없다고 결론. 선거는 19일에 실시 확인.
5월8일 : 선관위는 한인회관 등 선거투표소 8곳 확정.
5월10일 : LA동부한인회(회장 조시영)는 인랜드 투표소 철회 요구. 선관위는 LA카운티의 관할하므로 문제없다고 확인.
5월15일 : 제31대 LA한인회장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엄익청)는 기호 2번 박요한 후보의 자격 박탈. 선거운동 위반으로 결정하고 기호 1번 배무한 후보의 무투표 당선 확인.
5월16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기호 1번 배무한 후보의 무토표 당선을 확정하고 당선증 교부. 선관위원 8명은 만장일치로 박요한 후보가 2번째로 선거규정을 위반했다고 확인.
5월18일 : LA한인회장 선거이행추진위원회(위원장 이안범)는 한인회장 선거를 다시 하자는 서명운동을 벌이겠다고 발표.
5월19일 : 배무한 한인회장 당선자는 선거대책본부 해단식을 갖고 이사진 영입 등 취임식 준비.
5월27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어버이날 효도 대잔치 콘서트 주최. 현철, 최진희씨 등 출연. (윌셔이벨극장)
5월30일 : 배무한 제31대 LA한인회장 당선자는 기자회견을 갖고, 사무국 확대, 봉사하는 대표단체 만들기, 차세대 위원회 구성 등 사업 발표.
5월31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과 엄익청 선거관리위원장은 선거기금을 싸고 갈등.
6월2일 : 한미동포재단(이사장 영 김)은 LA한인회 산하 재미한인직업교육센터의 한인회관 장소 사용을 불허.
6월4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스카렛 엄 한인회장이 잔금을 가지고 갔기 때문에 결산을 연기한다고 발표.
6월7일 : 선거관리위원회는 결산 공고. 20만달러 수익중 14만달러 지출. 선관위원에 2만달러 지급.
6월15일 : 배무한 LA한인회장 당선자는 이사를 70 ~ 80명 선임하고 차세대 및 여성을 영입하겠다고 기자회견.
6월18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어버이날 효 콘서트 출연자에 2만달러의 부도 피해.
6월20일 : 스카렛 엄 한인회장은 부당하게 지출한 선관위원의 비용을 반납하라고 기자회견.
6월21일 : LA한인회 제31대 배무한 회장 취임식 거행. 500여 축하객 참석. 7월1일 임기시작. (파크플라자호텔)
7월6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수석부회장 서권천 변호사, 사무총장 박철웅씨 내정, 이사 54명 선임.
7월9일 : 제31대 LA한인회 출범식. 이사장은 김용식씨. 사무국장 제프 이 유임.
7월10일 : LA시 주택국 다니엘 스나이더 부국장은 한인회 방문, 시의 주택 및 빌딩 민원서비스 대행 협의.
7월11일 : 재미한국노인회(회장 구자온)는 한인타운 노인 및 커뮤니티센터(노인복지회관)를 상대로 56만달러 반환 청구소송 제기. 건물 건립후 사무실 사용 차별 등 계약위반 이유.
7월17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새누리와 민주통합당에 재외선거등록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서신 발송.
7월18일 : 티나 니에토 올림픽 경찰서 서장은 한인회 방문. 한국어 서비스 문제 협의.
7월19일 : LA한인회는 경남도사무소와 남해안 활어수출 MOU 체결.
7월20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Food Bank 서비스 시작. 70명의 저소득층 한인에 식료품 무료 배급.
7월21 ~ 22일 : LA한인회는 이사회 및 1차연도 연차회의 개최. 신문고 설치 및 위안비 기림비 설립 등 사업 채택,
7월24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신문고를 설치. 한인사회 각계 건의 및 민원사항 접수.
7월26일 : 캐빈 데 레온 가주 상원의원이 한인회 방문.
7월30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위안부기념비를 독자적으로 건립하겠다고 발표.
7월30일 : LA한인회와 한인타운 및 커뮤니티선터는 소송 취하 합의.
8월1일 :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이 LA한인회 방문.
8월2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한인단체장 30명을 초청 상견례. 신연성 총영사와 최재현 민주평통 회장 참석.
8월10일 : 박철웅 사무총장 사임.
8월12일 : LA한인회장배 축구대회. 세리토스축협회 주관으로 11개팀 참가.
8월15일 : LA한인회는 제67회 광복절기념식(한인회관 회의실). 글짓기 공모전 시상식 함께 개최.
8월20일 : LA한인회는 올림픽경찰서 민원실에 통역 등 자원봉사자 6명 파견.
8월21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서남부연합회, 회장단 회의 주재. (제이제이그랜드호텔)
8월21일 : 리 바카 세리프 국장이 한인회 방문, 배무한 회장과 한인 세리프 충원 등 협의.
8월27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홈페이지를 새로 단장(www.kafla.org) 오픈.
9월17일 : 김용식 한인회 이사장 사임.
9월20일 : LA한인회 창립 50주년 기념 한인회장배 친선골프대회 개최. 130명 참가. (웨스트릿지골프코스)
9월20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65세 이상 노인 초청 빅터빌 농장 1일관광 실시.
9월24일 : 한국대선 참여 유권자등록 캠페인을 위해 LA한인회 등 10여개 단체가 합동으로 추진하기로 합의.
9월25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올림픽경찰서 파견 자원봉사단을 6명에서 2명 증가로 모두 8명이 됨.
9월26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탈북자를 그린 영화 48M 제작진에 3천달러 성금 전달.
10월18일 : LA한인회는 올림픽경찰서에 절전스위치 기증.
10월30일 : LA다운타운의류투자가들이 LA한인회 50주년 행사를 위해 2만달러 전달.
10월31일 : 경기도 교육청(교육감 김상곤)은 차세대 교육을 위한 사업 협력 MOU 체결.
11월1일 : 배무한 LA한인회장은 창립 50주년 기념 헤리티지나이트 행사 주최. 한인사회 각계인사 500명 참석. (다운타운 쉐라톤호텔)
11월1일 : 올림픽경찰서 티나 니에토 서장은 배무한 한인회장을 명예 경찰서장에 임명.
11월8일 : LA한인회는 LA카운티 보건국과 공동으로 무료 독감예방접종 실시.
11월13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차세대 한인지도자 양성을 위한 주니어 한인회(KANEX)를 출범. 차세대분과위원회 이사 및 1.5세 및 2세로 구성. 대표는 스티븐 이군과 김누리양.
11월14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박찬호 선수를 국제홍보대사에 위촉.
11월15일 : LA한인회는 이상훈씨를 새 이사장으로 내정.
11월19일 : 호세 후이자 LA시의원과 캐빈 데 레온 가주 상원의원이 한국 방문에 앞서 LA한인회 방문.
11월25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호세 후이자 LA시의원과 함께 방한.
11월29일 : 사회복지분과위원회 주관으로 한인노인을 위한 엘시뇨 1일관광 프로그램 실시. 51명 참가.
12월1일 : 주니어 한인회는 발대식 및 직업인턴십 박람회 개최. 30명 참가.
12월14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연말을 맞아 양로병원 방문, 선물 전달.
12월20일 : LA한인회는 송년파티. 박찬호 국제홍보대사 참석. (한송부페)
12월29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사랑의 쌀 3천포 배부.
▲ 2013년
1월2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시무식 및 신년하례식 개최. 신연성 총영사와 단체장 등 2백명 참석.
1월18일 : LA한인회는 순천시와 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조충훈 순천시장은 배무한 한인회장을 홍보대사로 위촉.
2월8일 : 배무한 회장은 한국의 구정을 맞아 사랑의 음식 나누기 행사. 야구선수 추신수도 봉사.
2월18일 : LA한인회는 한국의 한성발레단과 서울발레단 초청, 백조의 호수 등 명장면 공연. (윌셔이벨극장)
2월15일 : LA한인회는 한인들을 위한 무료 법률상담회. 이승우 변호사가 봉사.
2월22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참석.
3월1일 : LA한인회는 제94주년 3.1절기념식 거행. 신연성 총영사 등 150명 참석.
3월5일 : 이상훈 한인회 이사장 사임.
3월8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Food Bank프로그램으로 저소득층 한인 100명에 식료품 무료 배부.
3월15일 : LA한인회 임원 및 주니어 한인회 멤버 등 10여명은 코리아타운 상징물 낙서 제거 및 청소. (올림픽가)
3월21일 : 배무한 한인회장과 티나 니에토 올림픽경찰서장은 한인통역봉사자 김인호, 사무엘 이씨에 자원봉사자상 수여.
4월9일 : 경기도 인재개발원(원장 안수현) 소속 공무원 20명이 LA한인회 방문.
4월14일 : 제2회 LA한인회장배 축구대회 개최. 총 20개팀 270명 선수 출전. (가든그로브 채프먼스포츠공원)
4월30일 : 박경수 변호사와 김홍래 전 한인회 사무총장이 제30대 스카렛 엄 회장으로부터 변호비와 월급을 못받았다고 LA한인회를 상대로 소송.
5월8일 : 박근혜 대통령이 워싱턴DC에서 열린 오바마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길 LA 도착.
5월8일 : 배무한 LA한인회장은 LA 국제공항에서 박근혜 대통령 영접. 저녁 7시 동포 450명 초청 간담회에서 환영사.
5월9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LA국제공항에서 한국으로 떠나는 박근혜 대통령 환송.
5월10일 : LA한인회는 제62회 Food Bank프로그램으로 65세이상 한인 100명에게 식료품 무료 전달.
5월20일 : 주니어 한인회 학생 10명이 초대형 회화작품 완성, 임진각에서 통일염원 전시.
5월29일 : 배무한 회장, 주니어 한인회 회원 40명이 9박10일 일정으로 한국 방문 기자회견.
5월 31일 : LA한인회 이사회는 김남권, 연용기, 헨리 최, 윤병열씨 등 4명을 노인센터 운영위원으로 선정. 정관개정을 위해 서권천 수석부회장 등 6명 선임.
6월1일 : 차 헐리웃장로병원과 공동으로 건강박람회. 서울메디칼그룹 등 후원으로 한인 320명이 건강 검진(한인회관).
6월4일 : LA한인회는 회비 미납 이유로 이상훈 이사장을 해임.
6월11일 : 마이크 퓨어 LA시 검사장 당선자가 한인타운을 방문 회견. 배무한 회장 참석.
6월12일 : 미주한국문화유산재단(회장 로라 전)은 배무한 회장을 문화재단 명예회장으로 위촉. 한인회에서 전통응원 모금에 참여.
6월20일 : 재외선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국회입법 조사처 관계자 LA한인회 방문.
6월25일 : LA한인회는 한국 H₂O 품앗이 운동본부와 공동으로 한국전 참전용사 위로의 밤을 주최.
6월25일 :주니어 한인회 한국방문단 45명(학생 40명, 인솔자 5명) 서울로 출국.
6월26일 : 한국을 방문중인 배무한 회장이 강원도 명예도지사로 위촉 받아. 강원도와 LA한인회는 MOU 체결.
7월1일 : 주니어 한인회 학생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및 월정사 방문.
7월12일 : LA한인회 선거규정 개정을 위한 소위원회 구성. 자격요원 및 겸직 금지조항 등 심의.
7월15일 : 배무한 회장은 임기 1년 평가 기자회견. 차세대분과 발족은 긍정 평가, 이사장 선출문제 등 실수 인정.
7월31일 : LA한인회 선거규정 개정을 위한 공청회 개최.
8월2일 : LA한인회는 푸드뱅크 프로그램 저소득층 한인 100명에 식료품 배부.
8월3일 : 배무한 제31대 LA한인회장은 2차연도 연차회의 개최. 류우익 전 통일부 장관이 한반도 통일 특강(팔라리조트호텔).
8월8일 : LA한인회합창단은 2014년 5월 4일 정기연주회를 앞두고 단원 52명이 매주 연습.
8월15일 : LA한인회는 정관 및 선거규정 개정을 위한 제2차 공청회 개최.
8월15일 : 한인사회 각계단체는 한인회관에서 제68회 광복절 기념행사.
8월17일 : LA한인회는 올림픽경찰서 자원봉사자 파견 1년을 평가발표. 월평균 100여건 처리 지원.
8월30일 : LA한인회는 무료이민법 상담 실시.
9월6일 : LA한인회는 제70회 푸드뱅크 행사를 갖고 100명에 식료품 배부.
9월18일 : LA한인회는 정기이사회를 갖고 새 정관 개정 확정. 신임 이사장에 서권천 수석부회장 선출.
9월20일 : LA한인회는 제75차 푸드뱅크 행사. 100여명에 식료품 배부.
9월 20일 : LA한인회는 오바마케어 설명회. 강사는 수잔 강씨 및 데이빗 강씨.
9월23일 : LA한인회는 노인센터에 30일 공동운영회 개최 촉구 공문 발송.
9월23일 : 배무한 회장은 한국전통정원 조성을 위한 모금에 참여 발표.
10월11일 : 배무한 회장은 서울에서 이갑산 범시민사회단체연합과 엄무협약(MOU) 체결.
10월11일 : LA한인회 사회복지분과위원회는 한인노인을 위해 샌버나디노 존스 농장으로 일일관광.
10월23일 : LA한인회는 김영환 북한 민주화네트웍 연구위원 초청 북한인권강연회.
10월25일 : LA한인회는 이승우 변호사 초청 이민법 무료 상담.
11월7일 : LA한인회는 창립 51주년 기념 헤리티지 나잇 2013을 주최. 주류사회 인사 등 500명 참석(LA타운 쉐라톤호텔).
11월15일 : LA한인회는 발 건강세미나 및 제 78차 푸드뱅크행사 개최.
11월19일 : 배무한 한인회장은 염홍철 대전시장과 의료관광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11월20일 : LA한인회와 LA시주택국 주최로 건물 소유주 및 세입자 권리를 위한 세미나.
12월12일 : LA한인회는 2014년 3월 KBS와 공동으로 미주이민 110주년 열린음악회를 개최한다고 발표.
12월16일 : 배무한 회장은 앤젤레스 플라자 노인아파트에 노래방기기 선물.
12월23일 : LA한인회는 윌셔은행 공동으로 1월10일까지 무료 과외프로그램 실시. 한인학생 50명 참가.
▲ 2014년
1월11일 : LA한인회와 한미무용연합회는 한국 청소년 난타팀 초청 공연 및 강습회 개최.
1월15일 : 배무한 회장은 노인센터와 벌인 소송의 변호사비를 완납.
1월24일 : 배무한 회장과 손학규 민주당 상임고문은 글렌데일 평화의 소녀상 방문. 25일에는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과 방문.
1월30일 : LA한인회는 이승우 변호사 초청 이민법 무료상담.
1월31일 : LA한인회와 한미은행이 주최한 구정행사에 박찬호, 류현진 선수가 자원봉사.
2월10일 : LA한인회와 KBS아메리카는 4월12일 LA메모리얼 콜로시엄에서 열린음악회를 공동으로 개최한다고 기자회견.
2월18일 : LA한인회는 임시이사회를 열고 선거관리위원장에 줄리아나 박 수석부회장을 선출.
3월13일 : LA시 윤리위원회는 LA한인회 일부인사의 불법 선거자금 모금으로 내사. 배무한 회장은 결백 주장.
3월21일 : LA한인회는 저소득층을 위한 푸드뱅크 행사.
3월26일 : LA한인회는 정기이사회를 열고 한인회장 선거관리위원 8명을 선임.
3월29일 : LA한인회는 열린음악회 무료입장권을 티켓매스터 한인회관에서 배부 시작.
4월10일 : 한인회관의 폭력사건으로 경찰 출동, 임영배 한인회 부회장과 파블로 안씨 조사.
4월12일 : KBS가 주최하고 LA한인회와 KBS아메리카가 공동주관한 LA – K팝 페스티벌이 LA콜로시엄에서 개막. 4만여 관중은 2PM, 샤이니, CN블루, 박정현 등 13개팀의 3시간 공연에 박수갈채.
4월15일 : 배무한 LA한인회장 재선 불출마 밝혀.
4월17일 : LA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는 첫 회의를 갖고 6월7일 선거 실시를 결정.
4월18일 : 제32대 LA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는 회장선거를 공고.
4월28일 : LA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는 케니 박씨(LA상공회의소 회장)의 회장 후보 등록을 거부하고 제임스 안씨의 등록을 단독 후보로 무투표 당선 발표.
케니 박씨는 본인이 직접 후보 등록 서류를 수렴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발표.
4월29일 : LA한인회(회장 이용태)는 성명을 발표. 케니 박 후보의 등록서류 거부는 불법으로 선관위의 재구성을 촉구.
4월29일 : 케니 박 후보는 기자회견을 열고 후보 등록 서류 접수를 거부한 선관위원회에 시정 요구.
5월1일 : LA한인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줄리아나 박)는 제임스 안 후보에 당선증 전달. 안씨는 사재 20만달러를 한인회에 출연 약속.
5월2일 : 한우회와 한인단체는 LA한인회 바로세우기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한인회관 앞에서 당선 무효 궐기대회.
5월4일 : LA한인회 합창단(지휘자 다니엘 석) 50명은 가족사랑을 나누는 콘서트를 윌셔연합감리교회에서 개최.
5월12일 : LA한인회 바로세우기추진위원회는 한인회장 재선거를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
6월6일 : LA한인회는 무료 건강세미나 및 푸드뱅크 행사 개최.
6월12일 : 배무한 회장은 올림픽경찰서에서 바베큐 파티를 열고 한인타운 안전을 위해 수고하는 경찰관을 대접.[/vc_column_text][/vc_tab][/vc_tabs][/vc_column][/vc_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