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이민100년역사
Die Ghostwriter -Preise variieren je nach Zählung und Erfahrung mit Worten.Der Durchschnittspreis für ein Sachbuch beträgt 25.000 bis 100.000 US -Dollar, obwohl dies erheblich steigen kann, wenn ghostwriter preise der Schriftsteller ein erfahrener Ghostwriter ist oder mehrere Bestseller in seinem Portfolio hat.
[fullwidth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arallax=”none” enable_mobile=”no” parallax_speed=”0.3″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left top” video_url=”” video_aspect_ratio=”16:9″ video_webm=”” video_mp4=”” video_ogv=”” video_preview_image=”” overlay_color=”” overlay_opacity=”0.5″ video_mute=”yes” video_loop=”yes” fade=”no”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 padding_top=”20″ padding_bottom=”20″ padding_left=”” padding_right=”” hundred_percent=”no” equal_height_columns=”no” hide_on_mobile=”no” menu_anchor=”” class=”” id=””][one_full last=”yes” spacing=”yes” center_content=”no” hide_on_mobile=”no”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left top” hover_type=”none” link=”” border_position=”all”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 padding=”” margin_top=”” margin_bottom=””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 class=”” id=””][accordian divider_line=”” class=”” id=””][toggle title=”1902-1910″ open=”no”]1902년
10.14 : 도산 안창호와 부인 이혜련 유학차 샌프란시스코 도착
11.16 : 대한제국 정부, 이민 엄부를 전담하는 수민원(綏民院) 설립 궁내부 관제로 수민원 직제 선포. 민영환을 총재로 임명
12.22 : 인천(당시 제물포)에서 하와이 사탕수수농장 이민자 121명 떠남. 일본 나가사끼에서 미국 상선 S.S. Gaelic호로 갈아타고 호놀룰루로 향함
1903년
- 13 : 첫한인이민자 102명 호놀룰루 도착
- 13 : 제2차한인이민자 63명 캅틱호로 호놀룰루 도착
- 9 : 제3차한인 이민자 72명 코리아호로 호놀룰루 도착
- 30 : 니흔마루(日本丸) 선편으로한인이민자 113명 호놀룰루 도착
- 9 : 파할라통신“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이민자들이 성실하게 일한다”고 칭찬
- 4 : 하와이몽골리아사탕수수 농장에서 김이제 전도사 인도로 예배 시작
8.7 : 호놀룰루에서 홍승하, 윤병구, 문홍식, 박윤섭, 임치성, 안정수 등이 정치적 단체인 신민회 조직
9.22 : 샌프란시스코 동포 9인이 친목회 조직. 회장 도산 안창호, 회원 박성겸, 이대위, 김성무, 위영민, 박영순, 홍종술, 김병모, 정동삼, 당시 샌프란시스코에는 학생, 인삼장사 등 한인20명이 거주
11.10 : 호놀룰루의 안정수 등 한인 전도회 시작. 홍승하 목사 예배 인도로 제일한인감리교회 창립
12.5 : 하와이 이민국은 박윤섭을 이민 통역 겸 검사원으로 임명
1904년
2.22 : 대한제국, 주미한국공사 조민회 소환
3.11 : 감리교 은퇴 선교사 Florence Sherman 여사 남감리교 선교부 보조로 남가주대학 인근 매그놀리아가에 한인 기숙사 세우고 영어, 성경교육, 예배인도. 현 나성한인연합감리교회 전신
6.1 : 캅틱호 선편으로 한국인 노동이민자 130명 호놀룰루 도착
6.4 : 샌프란시스코에 대지진
7.8 : 몽골리아호로 한국인 노동이민자 176명 호놀룰루 도착
8.22 : 캅틱호 선편으로 한인 154명 도착
9.26 : 몽골리아 선편으로 한인 152명 호놀룰루 도착
11.9 : 이승만 사이베리아 선편으로 호놀룰루 도착
12.6 : 이승만 죠지 워싱턴대학 입학
1905년
2.6 : 박용만 샌프란시스코 도착
2.10 : 호놀룰루 센인트 앤드류스 교회당에서 한인성공회 예배
2.27 : 하와이의 문홍석 한성여관에서 대륙간 철도노동자 모집
3.6 : 멕시코 이민선 제물포 출발. 남자 802명, 아이 231명, 모두 1033명
3.31 : 만추리아 선편으로 한인 노동자 278명 호놀룰루 도착
4.5 : 샌프란시스코 한인들 공립협회 창립. 목적은 애국과 애족, 동족 상부 상조와 한인 구호 등이며 회장은 도산 안창호.
4.5 : 한국 정부 일본의 압력으로 하와이 이민 금지
4.13 : 코리아호 선편으로 한인노동자 191명 호놀룰루 도착
4.14 : 미국 정부는 알렌 주한공사 소환으로 E.B. 모갠을 새 주한공사로 임명
4.30 : 오아후의 에와농장에서 한인예배당 헌당식 거행: 호놀룰루 와드맨 목사 헌당예배 사회, 윤병구 목사 농장주에게 감사 인사. 이날 참석자 모두 110명, 미주에서 최초로 건축한 한인예배당
5.15 : 한인 멕시코 이민자 1,033명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메리다 지방 도착, 4년간 계약이민으로 어저귀 농장에서 일함.
7.9 : 호놀룰루 누아누 145에 한인감리교회 예배당 설립. 와드맨 목사와 윤병구 목사 예배 인도
7.17 : 하와이 거주 한인 동포수 7천명을 넘어섬. 한인사회는 윤병구 목사를 한인대표로 선정하고 아일(러시아와 일본) 강화 회의에 보냄
8.13 : 오아후섬 와이파후농장에서 한인예배당 헌당식 거행. 와드맨 목사, 윤병구 목사, 한국 선교사 스웨러 참서, 모두 5개 한인예배당 에와, 가후쿠, 와일루아, 호놀룰루에 설립
8.14 : 호놀룰루 교회에서 하인 에버트청년회 한국선교사 스웨러 목사 초청, 한국정황 보고
8.24 : 호놀룰루, 와이파후, 에와, 와일루아, 가후쿠 각 지방 한인들 와드맨 목사 제의로 한인상조회 조직. 회장 송헌주, 부회장 민찬호, 박윤섭, 서기 김성권, 재무 이지성
9.8 : 만추리아 선편으로 한국 외무협판 윤치호 호놀룰루 도착, 멕시코 이주 한인동포 예방 목적이었으나 하와이 각 지방의 한인들만 방문하고 귀국
9.18 : 한국에 나가있는 노블 선교사 호놀룰루 도착. 하와이 각 지방 한인교회 방문
10.8 : 샌프란시스코 한인들 한인전도회 조직. 문경호 전도사 인도로 예배, 후에 상항한인감리교회가 됨.
10.27 : 샌프란시스코 퍼시픽가 938호에 공립협회 회관 설립, 건관식 거행
11.4 : 몽골리아 선편으로 한인동포 22명 샌프란시스코 도착
11.13 : 한국정부에 고용되어 일하던 헐버트씨 샌프란시스코 도착. 공립회관 방문
11.17 : 을사보호조약 체결
11.22 : 샌프란시스코 공립협회 공립신보 창간, 대표 송석준
11.25 : 미국정부, 서울 공사관 폐쇠
11.30 : 대한제국 시종무관 충정공 민영환 자결
12.3 : 미국 공사 모갠 공사관 폐쇠 후 귀국, 불란서, 영국 공사관 폐쇠.
12.5 : 만추리아 선편으로 호놀룰루에서 한인 8명, 샌프란시스코 도착
12.9 : 남가주 파사디나에서 대동교육회 설립. 회장에 김우제 선출. 1907년 1월 대동보국회로 명칭 바꿈. 중앙회는 샌프란시스코에 두고 중앙회장에 이병호, 총무에 장경 선출.
12.16 : 워싱턴 DC 한국 주미공사관 폐쇄
12.17 : 호놀룰루에서 한인 22명 샌프란시스코 도착
12.26 : 남가주 래드랜드지방에 공립협회 지부 설립
12.28 : 호놀룰루 미국인 교회에서 제1회 감리교 연회 개최. 한인교회 각 지방 목사 임명 : 호놀룰루 민찬호, 에와 김영식, 와이파후 김이제, 와일루아 가후쿠 임정수, 스판엑클스빌 신판석, 리휘 하나말투 현순, 엘리엘리 골로아 이경직, 힐로올라 홍치범, 고할라 최진태, 교회월보 주필 윤병구, 교회월보 발행인 송헌주, 야학교 및 복음화 감찰 이지성
1906년
1.9 : 알라메다 선편에 한인 5인, 12일 사이베리아 선편에 4인 호놀룰루로부터 샌프란시스코 도착
2.6 : 1882년 5월22일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후 워싱턴DC에 한국 공사관을 설치하고 20여년을 외교공관으로 활동해왔는데 아일강화조약 후 공사관을 철폐, 김윤정 대리공사 샌프란시스코에서 몽골리아 선편으로 귀국
2.12 : 호놀룰루 수산나 웨슬레홈 개원식. 한인과 일인의 고아, 의지할데 없는 부인 수양
3.16 : 로스앤젤레스에 공립협회 지방회 설립
3.29 : 만추리아 선편으로호놀룰루로부터 한인 22인 샌프란시스코 도착
4.6 : 호놀룰루 과학구락부원 더스틴이 하와이 도착. 이민자 발표 (1852-1905년) 한인 6,908명, 중국인 44,494명, 일본인 111,137명, 포루투갈인 11,440명
4.12 : 소노마 선편으로 한인 19명 호놀룰루에서 샌프란시스코 도착
4.18 : 오전 5시 15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 사망 402명, 공립협회 회관 화재, 오클랜드로 한인 40인 피신, 하와이 에와 친목회장 정원명 지진의연금 보냄. 서울의 대한매일신보사에서 의연금 592달러, 고종황제 1,900달러 하사금, 공립협회 오클랜드 다시 설립.
5.4 : 호놀룰루 한인감리교회 월보 국문활판으로 인쇄 시작, 하와이의 26개 한인교회에 보냄.
5.10 : LA 교포들이 벙커힐에 집을 얻어 장로교 미션 오픈. 현재의 나성한인연합장로교회 전신.
5.11 : 로스앤젤레스에서 공립협회 총회 개최
총회장 송석준, 서기 정재관, 학무 안창호 선출,
5.29 : 한인 70명 호놀룰루에서 샌프란시스코 도착.
7월초 : 양주삼 샌프란시스코 한인교회에 부임.
8.2 : 한인 52인 호놀룰루에서 샌프란시스코 도착
8.11 : 호놀룰루 한인감리교회 건물과 대지 1만8천달러에 구입, 한인기숙학교와 교회본부로 사용
8.12 : 하와이를 방문중인 한국선교사 조지 하버 존스 목사는 지방 판사의 “하와이 온 외국 노동자가 무식하고 빈궁하고 예의가 없다”고 한 말을 사과하라고 공개질의서를 보냄.
8.13 : 존스 목사 한인감리교회에서 한인교회의 발전을 칭찬
9.2 : 하와이 감리교회 호놀룰루에 한인기숙학교 설립
9.17 : 한인 20인 호놀룰루에서 샌프란시스코에 도착
11.11 : 가와이섬 리휘농장에서 한인교회당 봉헌식 거행
11.28 : 11월 12월 호놀룰루에서 한인 220명 샌프란시스코에 도착
12월 초 : 솔트레이크 부근 철도 부설공사에 종사하는 한인을 위해 박제순 여관 설립
12.6 : 1905년 세워진 상항한인감리교회는 처음 문경호가 예배를 인도했고, 다음은 방화중 인도, 새롭게 남감리교회 선교부에서 다시 관리하면서 양주삼을 전도사로 임명.
1907년
1.1 : 호놀룰루 예배당에서 한인 에버트청년대회 개최. 모두 1백여명 참석, 한국의 지방전도를 위해 1백 62달러 모음.
1.2 : 호놀룰루에서 한인 16인 샌프란시스코 도착
1.8 : 공립협회 학무 안창호 귀국
2.4 : 한인 22인 호놀룰루에서 샌프란시스코 도착
2.16 : 하와이와 캐나다, 그리고 멕시코 등지에서 미국으로 오는 동양이민 금지법 상하원 통과, 3월14일 대통령 서명.
4.26 : 공립신보 제2권 제1호 국문활자로 발간
5.10 : 공립협회 총회장 송석준 서거
7.19 : 고종황제 퇴위, 순종황제 즉위
7월 : 고종 퇴위후 국권회복 위해 각 단체 통합, 미주에서는 상항공립협회와 대동보국회, 그리고 뉴욕에는 공제회, 시애틀에는 동맹 신흥회 설립
8.1 : 헤이그 세계 평화회의에 참석하려 한국 사절 이상설, 이위종 뉴욕 도착.
9.2 : 하와이 24개 단체 통합 후 한인 합성협회 조직 초대회장 임정수
9.24 : 샌프란시스코 대동보국회 총무 장경 상해 도착. 대동보국회 지회 설립.
10.3 : 샌프란시스코 대동보국회 대동공보 창간, 주필 최영만, 사장 문양목
10.17 : 호놀룰루 합성협회 합성신보 창간 국문판 인쇄, 김성권 집필
11.17 : 알라스카 어장에서 일하던 한인 10명 샌프란시스코 귀환
1908년
1.26 : 샌프란시스코 대동보국회 제3회 대의원회 소집, 중앙회장 문양목 퇴임, 새 중앙회장 겸 대동공보 주필 백일규 선임
3.21 : 한국 외교 고문 D. W. Stevens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지 인터뷰에서 “일인의 한국 보호는 한국에 유익한 일이 많다”고 말함. 문양목, 최정익, 정재관, 이학현 페어몬트호텔로 찾아가 정정 및 사과 요구
3.23 : 오전 9시30분 Stevens가 워싱턴DC로 가려고 샌프란시스코 패리정거장에 나왔을 때 장인환, 전명운 의사가 저격
3.25 : 밤 11시 10분 Stevens 사망. (6월 27일 전명운의사는 석방, 1909년 1월2일 장인환의사는 25년형을 받고 샌퀸틴 감옥에 수감. 1919년 1월10일 가석방)
4.8 : 김길연, 백락범, 한인 50인 모집하여 알라스카 어장에 감
4.9 : 샌프란시스코 대동공보 25호 발행 후 경비난으로 정간
4.27 : 감리교회 동양감독 해리스 “일본이 한국을 보호하는 것은 천명”이라고 말해 한인들 항의
5.23 : 샌파란시스코에서 김밀리사 등 한국부인회 조직
6.24 : 이승만, 하버드대학 문학사 학위 받음.
7.10 : 이승만, 콜로라도주 덴버 애국동지대표자 대회 의장 피선 활약
7.13 : 박용만 콜로라도주 덴버시 애국동포대표회 소집, 독립운동 방책 토의
9월 초 : 호놀룰루 천흥협회 천흥신보 창간, 박상하 집필
9.19 : 샌프란시스코 공립회관에서 알라스카 어장에서 일하고 온 한인 환영회 개최
12.21 : 샌프란시스코 한인남감리교회 월간 대동보 창간, 주필 양주삼 목사
12.26 : 공립신보 주필 정재관 사임, 최정익 맡음
1909년
1.7 : 샌프란시스코 공립협회 회의 소집. 총회장 정재관, 부회장 최정익 선임.
1.20 : 현순, 하와이 유람기 발행
2.1 : 미주 공립협회와 하와이 합성협회는 두 단체가 모여 국민회로 새로 출발하기로 하고 발기인 선임. 하와이 대표는 고석주, 김성권, 민찬호, 안원규, 이내수, 강영소, 한재명
미주는 최정익, 이대위, 강영대, 안석중, 황사용, 이경의,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에서 국민회 창립 축하식 개최, 하와이 국민회 총회장 정원명 선출
합성신보 신한국보로 개칭, 홍종표 주필, 미주 국민회 총회장 정재관 선출
2.10 : 대한인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 창간, 주필 최정익
2.19 : 한국의 송병준 한국의 일본 합방 찬성에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 한인들 항의 전문
4.22 : 이상설, 정재관 국민회 사명을 갖고 올라디보스톡으로 출발
5.5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관 태동실업주식회사 조직, 자본금은 2만5천달러 한주의 가격 25달러
5.9 :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 지방에 동포 305인 국민회 설립, 회장 이근영
5.12 : 멕시코 이민 4년 노동계약 만료되므로 4월3일 미주 국민회 총회 황사용, 방화중 위문차 파견
6월초 : 박용만, 박처후, 임동식, 정한경 네브라스카주 허가 받고 커디농장에 한인소년병학교 설립. 청년학생 모집, 군사훈련
7.14 : 신한민보 최정익 주필 사임. 강영대 편집자 임명
10.26 : 안중근의사 하르빈에서 이등박문 저격 사살
12월초 : 샌프란시스코 한인감리교회 양주삼 목사 사임, 윤병구 목사 부임
12.18 : 리들리에서 국민회 대의원회 소집, 총회장 황사용 선임, 하와이 국민회 이내수 총회장 선임
1910년
1.30 : 한국 기독청년회 대표 윤치호 호놀룰루 경유 샌프란시스코 도착. 5월19일 워싱턴 DC 세계일주학교 대회 한국대표로 참석
1.31 : 콜로라도주 프리매로 석탄광 개스 폭팔, 100여명이 사망. 한인동포 9명 숨져
2.10 : 로스앤젤레스 매그놀리아가 1620호 대동서관 문학사 이승만이 쓴 독립정신 간행
2.10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와 대동보국회 대한인국민회로 통합
3.5 : 호놀룰루 신한국보 주필 홍종표 사임, 노재호 맡음
3.7 : 안중근의사 변호비용 미주와 하와이에서 모금 두차례에 걸쳐 1,500달러 블라디보스톡으로 송금.
3.21 : 런던에 체류하던 이항우, 샌프란시스코 도착 신한민조 영문판 책임
3.25 : 로스앤젤레스에서 오운과 동지들 권업동맹단 회사 설립, 논업과 상업 시도 5-6년후 실패
5.10 : 대동보국회 국민회에 참가, 명칭을 대한인국민회로 고침. 중앙총회장은 최정익
7.12 : 만추리아 선편으로 샌프란시스코 한미무역회사 총무 최영만 한국화물 수입 위해 귀국
7.18 : 이승만, 프린스턴대학 철학박사 학위 수여
8.10 : 경비난으로 신한민보 9월21일까지 6주간 발행 중단
8월초 : 레들랜드에 거주하는 송석중 캘리포니아주 각 처에서 사는 한인동포들을 방문 모금활동 전개
8.29 : 한일합방, 윤희황제 퇴임, 샌프란시스코와 호놀룰루 동포들 공동회 조직, 합병반대 항의서 작성, 한국 황제와 일본 황제, 그리고 구미열강 정부에 보냄.
9.3 : 이승만 박사 유럽 경유 10월10일 서울 도착
9.10 : 북미 국민회 총회장 황사용 호놀룰루 도착. 각 군도와 지방 순방
10.1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관 건물을 페리가 232호에 3천5백달러로 구입, 신한민보 건물로 함께 사용.
11.17 : 멕시코 메리다 지방에서 이근영, 양귀선 등 숭무학교 설립
11.28 : 사진결혼 제1호 최사라 호놀룰루에 도착, 1924년 이전까지 모두 1,100명 하와이 본토에 도착
12.2 : 하와이 국민회 총회장 이내수 사진결혼, 주례 민찬호 목사
12.22 : 업랜드에서 북미 국민대의원회 개최, 미주 국민회 총회장 문양목, 하와이 국민회 총회장 정칠래 선임[/toggle][toggle title=”1911-1920″ open=”no”]1911년
1월초 : 하와이 국민회 총회 멕시코 한인 하와이로 이주 시키기 위한 재정 마련 시작
1.25 : 샌피터스버그에서 주 러시아공사 이범진 망국의 치욕을 씻기 위해 자결. 그의 재산 원동과 미주 한인단체에 분배. 미주 국민회에 3천달러 기부
2.1 : 샌프란시스코 한인교회 윤병구 목사 사임, 스탠포드대학에서 공부하던 이대위 선임
2월초 : 네브라스카주 헤스팅스 지방에서 한인소년병학교 감독 박용만 신한민보 주필 맡음.
3.10 : 하와이 한인학교 민찬호 목사 남가주대학에서 공부하기 위해 LA 도착. 호놀룰루 한인교회와 기숙학교 감독사무 홍치범 목사 맡음.
3.29 : 국민회 중앙총회장에 최정익, 부회장은 한재명 선임.
6.10 : 하와이 국민회 지방총회 초등국어 교과서 상하권 편찬
9.3 : 한국에 체류하던 안창호 뉴욕 경유 샌프란시스코 귀환
9.11 : 멕시코 동포의 미주 이주를 위해 샌프란시스코에 온 이근영, 김동현, 이병언, 김명수 이민국의 허가를 받지못해 다시 돌아감. 멕시코 동포 이주문제 정지됨
10.14 : 캘리포니아 클레아몬트 한인학생양성소 9월 준공 낙성식 거행
11.1 : 허승원, 이순기 합작 스탁톤에 잡화상점 설립
11.22 : 리버사이드에서 국민대의원회 소집, 샌프란시스코 국민지방 총회 로스앤젤레스로 이전 결의. 총회장 강명화, 하와이는 정칠래 총회장 재선
1912년
1.29 : 안창호, 김인수의 발기로 로스앤젤레스에서 북미실업주식회사 설립. 제1차 세계대전 때 벼농사로 큰 이익. 1929년 4월21일까지 사업 계속
8.14 : 이승만 박사, 네브라스카주 헤스팅스 박용만 방문. 소년병학교 학생들 격려, 앞으로의 진로 합의
9.16 : 네브라스카주 헤스팅스지방 박용만의 한인소년병학교 졸업식 거행. 졸업생 13명
11.18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관에서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개최, 중앙총회장에 도산 안창호 추대. 북미지방총회, 하와이지방총회, 시베리아지방총회, 만주지방총회로 중앙총회 결성
11.30 : 박용만 호놀룰루 신한민보 주필 취임
12.15 :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국민대의원회 북미국민총회장 정원도 선임. 하와이는 박상하를 선출
1913년
3.4 : 태프트 대통령 퇴임. 우드로 윌슨 대통령 취임
5.13 : 샌프란시스코 페리가 232호 국민회관에서 흥사단 창립. 목적은 인재양성, 단원 7명, 창립위원장 홍언, 이사장 안창호
5.19 : 캘리포니아 주의회 동양인 토지소유권 금지법안 통과 시행
6.4 : 네브라스카 헤스팅스 박용만 학생회 조직, 회장 박처우
6.25 : 남가주 리버사이드 부근 헤멧지방에서 살구농장에 일하러 온 한인들을 백인 노동자들이 집단 배척, 이대위 국민회 총회장 미국무장관에 항의전문 보냄
8.22 : 중가주 다뉴바지방의 동포 수백인이 포도따는 계절에 민찬호 목사 1주일간 부흥회 개최
9.2 : 호놀룰루 한인기술학교 교장 이승만 부임, 명칭 중앙학원으로 변경
9.20 : 이승만, 하와이에서 태평양잡지 창간
1914년
1.1 : 하와이 국민회 총회장 김종학 선임
4월초 : 북만주 서간도에 사는 동포들 흉년으로 어려움, 국민회 의연금 모아 6백달러 보냄
6.5 : 오클랜드 연합감리교회 창립
6.25 : 샌프란시스코 페리가 국민회관 3천6백92달러에 매도, 다시 마켓가로 구입 이전
7.23 : 신한민보 주필 백일규 취임
7.25 : 김호 미국 도착
7.28 : 제1차대전 발발
7.29 : 이승만 호놀룰루에 한인여자학원 설립
8.30 : 국민보 주필 박용만이 호놀룰루 세운 소년병학교 낙성식 거행, 참석 동포가 500여명, 학생 180명 분열식 거행
10.24 : 이승만 중앙학원 여자기숙사 신축 낙성식 거행
12.9 : 하와이 국민회 총회에서 일반동포의 의연금을 모집하여 호놀룰루 밀러가 1306호에 신회관을 신축하고 낙성식을 거행
12.22 : 새해 북미국민회 총회장 김종학 재선
12.28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총회 옥크스트릿 1053호 국민회관 신가옥 구입, 샌프란시스코 한인교회와 국민회관으로 사용, 가격 6천5백달러
1915년
1.14 : 신한민보 인터타입 활판 사용 결정. 이대위 발행 책임
2월초 : 로스앤젤레스 권업동맹단 루이지아나 뉴올린스항 부근 농토 2백 에이커 구입
3.11 : 북미국민회 총회장 이대위 국문 최신식 인터타입 기계 식자방법 연구, 신한민보 발행
4.22 : 국민회 중앙총회장 안창호, 부회장 박용만 선임
6.11 : 호놀룰루 국민보 주필 박용만 중앙총회 임원 취임식 참석 샌프란시스코 도착
8.25 : 하와이 국민회 재정사건 발생. 중앙총회장 안창호 조사차 호놀룰루로 떠남.
1916년
1.2 : 북미 국민회 강영소 선임. 하와이 국민회 총회장 홍한식 선임
2.6 : 송헌주 하와이한인교회 청빙받고 호놀룰루로 떠남
2.22 : 캘리포니아주 맨티카지방 동포 60인 농토 빌려 무농사 지음
2.29 : 최정익과 삼상(蔘商) 서필순 오스트랄리아지역 상업 시찰차 떠남
3.10 : 상해로부터 사진결혼 9명, 신도 학생 34명 샌프란시스코 도착
5.18 : 네바다주 로갠지방 동포 19명 참외농사 토지 292에이커
7.16 : 호놀룰루 한인학생 야구단 클럽 조직
9.28 : 김종림 등 12명 벼농사
9.30 : 상해로부터 남자 16명, 부인 10명 샌프란시스코 도착
11.6 :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지방 진성학교 설립
교장 서병두, 교감 하상옥, 교사 최정식, 재무 유진태
12.5 : 상해로부터 노백린, 조용하, 조명국 호놀룰루 도착
1917년
3.8 : 캘리포니아 맨티카와 스탁톤 양 지방 한인 무사탕농사 3천9백 에이커 지음
4.26 : 캘리포니아 한인 벼농사 점점 확장, 김종림 2천 85에이커 쌀농사, 백미대왕으로 부름
7.19 : 상해로부터 신도학생, 사진결혼 등 22인 샌프란시스코 도착
10.12 : 도산 안창호, 멕시코 한인사회 방문차 샌프란시스코 출발
10.29 : 뉴욕 약소동맹회 회의에 하와이 국민회 박용만 파견
1918년
1.8 : 미국 상하양원에서 윌슨대통령 민족자결주의 선포
4.5 : 차이석 1차대전에 미군으로 참전, 후에 ‘Golden Mountain’ 펴냄
7.29 : 이승만 박사 하와이 한인기도교회 설립
9.22 : 캘리포니아 맨티카지방 한인예배당 헌당식 거행
11.11 : 독일 휴전조약 조인. 4년간의 전쟁 끝. 불란서 파리 평화조약 체결 회의
12.23 : 이승만, 정한경, 민찬호 대한인국민회의 파리 강화회의 한인대표 출발
1919년
1.4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중앙총회 임시 국민대회 소집, 각 지방대표 17인 모여 독립문제 논의
1.15 : 호놀룰루 이승만 샌프란시스코 도착, 국민회 임원과 한국 독립문제 등 논의, 워싱턴 DC로 떠남
1.20 : 고종황제 서거
2.20 : 오하이오주 한인학생들 발기로 평화회의 진행, 영문잡지 간행 한국의 참혹한 사정 알림
3.1 : 한국에서 3.1운동 일어남. 3월1일 상해에서 현순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중앙총회장 안창호에게 전문으로 알림. 3월9일 받음.
3.3 : 박용만 호놀룰루에서 독립운동 단체, 대조선독립단 설립
3.10 : 미주 각 지역에서 3.1독립만세 소식 접수, 행사를 가짐
3.17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중앙총회 김호를 특파위원으로 서부 각 지방에 보내 독립의연금 모집. 63일간 63개 도시를 순방 1만달러 모금.
3.20 : 신한민보 격일간으로 발행. 3.1운동소식 알림. 편집인 이살음
3.24 : 상해 임시정부 김규식 파리강화회의 대표 파견
대통령 손병희, 부통령 박영효, 국무경 이승만, 내무경 안창호
4.1 : 하와이 부녀공동대회 결의 대한부인구제회 설립
4월초 : 국민회 중앙총회 중국인으로부터 의연금 받기로 함. 홍언, 김영훈, 강영각 3씨를 화교위원에 선임.
4.14 : 필라델피아 17가에 있는 리틀극장에서 한인자유대회 개최. 각 지방 대표 150인 참설하여 3일간 진행. 미국인들에게 한국의 독립 필요성을 알리고 미국 정부에 이를 요청. 16일 서재필을 회장으로 독립관까지 퍼레이드, 독립기념관에서 이승만 독립선언서 낭독 사진촬영
4.17 : 서울에서 13도 대표 국민대회 개최 임시정부 구성
집정관 총재 이승만, 외무총장 박용만, 군무총장 노백린, 노동총장 안창호 선임
4.23 : 멕시코 메리다지방 부인들 대한부인애국회 조직
5.1 : 국민회 중앙총회장 안창호 샌프란시스코 상해 도착, 임시정부에서 활동
5.16 : 필라델피아시와 그 부근 백인 인사들 한인친우회 조직. 일인이 한국내에서 학살을 중지할 것과 미국인에게 한국의 독립 필요성 알림. 서재필 동부지역 각처 다니며 조직
5.26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중앙총회에서 집계한 독립의연금, 대표의연금, 21조 헌금 등 총액 3만3백89달러
5.27 : 국민회 중앙총회 강영소, 황사용 호놀룰루에 파송, 독립문제 상의
6월초 : 필라델피아 서재필 한국평론 발행
7.17 : 이승만, 워싱턴DC에 대한공화국 임시공사관 설치
7월 : 호놀룰루 국민보 주필 박용만 원동으로 떠남
8.5 : 중가주 다뉴바지방에서 대한인여자애국단 창단, 총단장 김혜원 선임.
8.13 : 집정관 총재 이승만 독립운동비 사용 목적으로 대한민국 공채 발행. 제반업무는 워싱턴DC 구미위원부 담당
8.22 :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되었던 김규식 뉴욕 거쳐 워싱턴 DC 구미위원부 도착
8.30 : 시카고 거주 동포들 시카고 한인감리교회 창립
8.30 : 임시정부 재무총장 최재형 애국금 모금 사무 국민회에 위임.
9.6 : 상해 임시정부 의정원 이승만 대한민국 임시대통령에 선출
9.26 : 샌프란시스코에서 미주지역 학생대표 전미국한인학생회 연합 조직 결성 합의
10.1 : 호놀룰루 노백린, 워싱턴DC 구미위원부 도착
10.11 : 샌프란시스코 정한경의 노력으로 한인친우회 조직, 참석자 1천명
10.16 : 구미위원부 김규식위원 각 지방 시찰, 샌프란시스코에서 시국강연, 이때 구미위원부와 국민회가 일치하고 공채와 애국금을 함께 실행 할 것을 말함
10.29 : 대한적십자사 사장 이희경 의사 상해로부터 시애틀에 도착, 각 지방 순회 재정 모금 모두 1만 3백달러
11.23 : 하와이 독립의연금 총액 3만5천달러 도달, 2천9백7인 참가
12.29 : 국민회 중앙총회 수입 8만8천달러, 지출은 임시정부와 구미위원부에 3만2천달러, 외교선전비 1만4천달러, 원동 및 유럽대표 경비 8천5백달러, 내지구제금 5백달러, 여행비 1만3천달러, 통신비 2천6백달러
12월말 : 캘리포니아 벼농사가 풍작으로 애국금 수입 4만2천달러 도달
1920년
1.1 : 북미 국민회 총회장 강영승 선임, 하와이 국민회 총회장 이종관 선임
1.22 : 지난 해부터 캘리포니아, 워싱턴, 오레곤, 유타, 아이다호에 거주하는 중국인 심방, 독립운동비 모은 홍언 2차로 다시 모금 떠남
2.8 : 가주대학 경제과 졸업 백일규 한국경제사 펴냄
2.20: 북가주 윌로우시에서 흥사단원 김종림, 곽임대 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 발기로 한인비행학교 설립. 총재 김종림, 쌍발연습기 2대 구입, 학생 19명 훈련
4.6 : 샌프란시스코 한인학생 총회 결성
4.8 : 하와이 국민회 분규발생,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중앙총회 윤병구 총회장, 조사위원으로 황사용, 정칠래, 정원명, 안원규, 승용한, 이내수, 윤계상 임명. 분규 더욱 확대. 하와이 법정에까지 감. 국민회 엄무 일시 중단
4.21 : 현순, 안현경 상해로부터 뉴욕에 도착. 현순 워싱턴 DC 구미위원부로 출발, 안현경 호놀룰루로 떠남
5월 : 김호, 김형순 중가주에서 김형제상회 설립. 30년간 사업
7.16 : 북가주 윌로스에 비행사 양성소 감독하던 노백린 장군 호놀룰루로 떠남
9.15 : 대한민국 임시정부 미의회 및 정부, 일본 정부, 그리고 각 언론에 독립에 필요한 논설 등 써보냄.
10.3 : 구미위원부 김규식위원장 원동으로 떠남. 현순 목사 위원장 서리 맡음.
11월초 : 이승만, 노백린 호놀룰루 떠나 상해에 도착
11월초 : 북가주 벼농사 몇년간 풍작을 이루었으나 11월 초순 장마로 큰 피해. 이후 다시 재기 못함.
11.12 : 윤병구, 김종림, 홍종만, 정몽룡 발기, 북가주 윌로스 지방에서 연합식산회사 조직, 사장 윤병구, 부사장 겸 재무 김종림
11.18 : 재미한인중 독립의연금 1천달러 이상 낸 김종림, 김승길, 신광희, 임준기 등 4인에게 임시정부 재무부 감사장 수여
11.23 : 북미 국민회 총회장 최진하 선출
11월말 : 구미위원부 결산 발표, 수입 총액 7만 1백달러, 지출 6만5천달러
12월초 : 만주 간도지방 조선인 일병 침략, 학살 1천80명, 가옥 방화 160호, 미주에서 의연금 모아 보냄
12월말 : 미국 인구조사에 미주대륙 한인인구 1천2백24명 집계[/toggle][toggle title=”1921-1930″ open=”no”]1921년
1.1 : 구미위원부 화교위원 홍언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애틀 거쳐 캐나다 여행
1.6 : 호놀룰루 한인기독학원 건축비 8만5천달러 중 한인이 3만5천달러, 5만달러는 미국인이 담당
2월 : 이승만, 호놀룰루 갈리하이 계곡에 한인기독학원 새 교사 준공
2.4 : 윌슨 대통령 퇴임. 하딩 대통령 취임
3.11 : 멕시코 이민 한인 288명 쿠바 맛나치 도착
3.21 : 하와이 국민회 총회 교민단으로 이름 바꿈, 총단장 민찬호, 부단장 안원규 선임
4.14 : 구미위원부 정한경위원 ‘한국사정’ 책자 펴냄.
4.30 : 뉴욕에서 북미한인유학생 총회, 회장 이용직, 부회장 조병옥
6월초 : 구미위원부 화교위원 홍언, 김원장, 김승제는 파나마, 에콰아돌, 페루, 칠레 등의 중국인 방문 독립의연금 모금
6.29 : 지난 해 11월 상해로 떠났던 이승만 호놀룰루 귀환
7.7 : 호놀룰루 동지회 창립, 위원은 이승만, 민찬호, 안현경, 이종관
8.18 : 이승만 호놀룰루에서 워싱턴DC 도착
11.21 : 북미 국민회 총회장 강영승, 부회장 김현구 선출
12월 : 임종순 목사 뉴욕한인감리교회 설립
1922년
1.19 : 멕시코와 쿠바 동포들 경제적 곤란, 국민회에서 의연금 보냄
2.9 : 워싱턴 DC 열강 군축회의에서 한국문제가 거론되지않은 것에 대해 임시정부 특파 대표 서재필 박사 ‘비밀회의에서는 한국 논제를 논의하는 성과를 얻었다’ 고 성명 발표
3.22 : 이승만계의 하와이 교포들, 대한인국민회 하와이 지방총회 해체 하와이 대한인 교민단으로 개편
1923년
1.1 : 상해에서 국민대표 회의 개최
5.15 : 북미 한인유학생회 총회 시카고로 이전, 회장 염광섭, 부회장 황창하
6.20 : 호놀룰루 한인기독학원 학생 본국 방문단 20명 감독 민찬호, 김노듸, 김영우 인솔로 출발. 야구경기와 연극 등으로 2만5천달러 모금, 경비 9천달러, 1만6천달러 학원 건축비에 씀.
9월 : 시카고 한인감리교회 창립
9.1 : 동경에 대지진,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키고 우물에 독약을 넣었다는 유언비어로 수천명 학살 당함.
11.22 : 필라델피아 한인친우 회장 탐킨스 박사가 동경 지진때 한국인 학살에 대해 미 국무장관과 주일 미대사에 항의 서한
1924년
3.1 : 북미 한인유학생회 총회 국한문으로 한인학생잡지 ‘우라키(Rocky)’를 발행
3.8 : 유타주 캐슬케익 석탄광 가스폭팔, 한인 3인 사망
5.15 : 미 국회에서 신이민법 통과 아시아인의 이민을 금지, 아세아 출생자 귀화 금지
6.17 : 한국 야구단 호놀룰루 도착, 환영회 개최
7.5 : 미주에 거주하는 서학빈 본국에 가서 결혼하고 부인을 미국으로 초청했으나 새 이민법에 따라 입국을 거절당하여 다시 돌아감.
11.23 : 이승만, 대한인동지회 종신총재로 추대
12.16 : 1919년 상해로 떠났던 도산 안창호 하와이를 경유 샌프란시스코 도착
1925년
3.23 : 상해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탄핵 통과, 박은식을 임시대통령에 선출
5.9 : 로스앤젤레스 한인들 본국의 기금에 구호금 1천4백달러 서울 구조본부에 보냄
5.22 : 도산 안창호 필라델피아 방문, 서재필 만남
7.1 : 호놀룰루에서 범태평양회의 개최, 한국에서 신흥우, 송진우, 김양수, 유억겸, 김종철과 미주대표 서재필 참석
7.14 : 한국의 수재에 국민회에서 의연금 7백달러 동아일보사에 보냄
11.17 : 북미국민회 총회장 백일규 선임
1926년
2.20 : 도산 안창호 원동으로 떠남
4.24 : 순종 황제 붕어
4.26 : 이승만 하와이 동지식산주식회사 설립, 자본금 3만달러
6월초 : 하와이 각급 공립학교 교사 한인 7명 채용, 강영각, 박에스터, 박성조, 박또라, 안순남, 엑네스, 김메리
6월 : 장인환 의사 샌퀸틴에서 18년의 형을 살고 나옴. 상항 한인감리교회 석방 환영예배
9월2일 : 로스앤젤레스 젊은이 모임 2.8클럽 조직
11월초 : 구미위원부 워싱턴DC 위원부 청사 구입
1928년
1.18 : 북가주 스탁턴지방 한인들 공제회 조직, 상호 경비 지원
3월초 : 디트로이트시 찹수이 도매회사 경영하는 정양필, 안재창, 조오흥 합자회사인 정안회사 설립
6.29 : 뉴욕에서 장덕수, 윤치영, 허정, 홍득수, 이봉수, 김양수 3.1신보 창간
7.11 : 로스앤젤레스에서 제10회 세계주일학교대회 개최, 한국에서 교회대표 20명 참석, 동포들 에리시언 공원에서 환영식 개최
7.17 : 중국에 가있던 박용만 피살
11.28 : 김용성 하버드의과대학 졸업, 가주의사 시험에 합격.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업
1929년
3.4 : 후버 대통령 취임
6월초 : 조지아주 웨슬리대학 졸업 박인덕 뉴욕 국제학생선교부 요청으로 전미주 및 캐나다 대학을 방문 한국 역사 문화 풍습 등 강연
6.6 : 큐바 한인들 천주교회 설립
10.29 : 뉴욕 금융계 경제 파멸로 경제공항 시작
11.3 : 광주학생사건에 미주 한인들 영문책자 만들어 사실을 미국인에 알림
1930년
1.1 : 북가주 스탁턴지방 한인공제회 사업 발전 저축금 4천3백달러 이룸
5.26 : 샌프란시스코에서 장인환의사 사회장 거행. 사이프러스 묘지에 안장
6.9 : 한국기독청년회 총무 신흥우 남가주대학에서 명예 법학박사학위 받음
11월초 : 뉴욕대학 강사 강용흘 영문소설 「초당」으로 큰 호평
12월말 : 제15회 인구조사에서 북미주대륙에 거주하는 한인 모두 1천8백60인 집계
12.30 : 이승만, 태평양잡지를 태평양 주보로 개명 속간
12.31 : 뉴욕한인예배당에서 아펜샐러여사 환송회 개최. 배재학당 설립자인 아펜샐러 목사의 딸 이화여고 교장, 이화여자대학 기금 1만달러를 모아 귀국[/toggle][toggle title=”1931-1940″ open=”no”]1931년
4.23 : 감리교본부 시카고 옥델가 한인예배당 건물 구입
9.18 : 만주 일본군 봉천 점령
10.17 : 리들리를 중심으로한 중가주 한인공동회의 김호, 임시정부 후원과 역량 집중을 위한 재미한교(韓僑)연락회 결성 제안
11.9 : 중가주 공동회 중심 미주한인연합회 조직
11.27 : 이승만 만주사변문제 논의 위해 동부로 출발
1932년
4.29 : 상해 홍구공원에서 윤봉길 의사 일본인 저격. 한인들 임시정부에 의연금 보냄
5.22 : 오하후섬 와히아와지역 40여 한인들 미국감리교회에 모여 임시정부후원회 구성
12.23 : 이승만 박사 제네바 국제연맹 참석 위해 뉴욕 출발
1933년
1.16 : 1922년 하와이 국민회 교민단으로 바꾸었다가 이 해에 다시 국민회로 바꿈
1.19 : 호놀룰루에서 제2회 동지회 대표회의 개최
3.4 :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취임
3.10 : 남가주 지진. 로스앤젤레스와 롱비치의 피해가 크고 사망자 100명
12.24 : 시카고대학 동양학생대회, 한국의 밤 행사 개최
1934년
4.26 : 하와이 국민회 임원 재정난으로 총사직. 새 총회장 김윤배
8.4 : 호놀룰루에서 범태평양여자대회. 한인대표 김메리, 이세리, 김버니스
8.7 : 미국여자 액네스 데이비스와 한국인 김주항 국제결혼
10.8 : 이승만 박사 뉴욕시 몬클레아 호텔에서 오스트리아 여성 프란체스카 도너와 결혼
1935년
1.5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총회장 최진하 선출
11.28 : 로스엔젤레스 한인감리교회에서 교포사회 30주년 기념행사
12.28 :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캐나다와 미주 각 대학생 제12회 선교자원대회 개최, 한국대표 박인덕 참석
1936년
3.26 : 필라델피아 거주 음악가 안익태 대한애국가 작곡 발표
7.4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특별대의원 회의 소집. 총회관을 로스앤젤레스로 이전 준비, 건축비 1만달러 모금 결의
8.12 : 한국에 수재에 하와이, 멕시코, 큐바 한인들 구조금 보냄
9.1 : 김중수, 황휴, 홍창균, 안경호가 동지회 인사들과 함께 나성한인기독교회 설립
1937년
1.3 : 샌프란시스코 대한인국민회 신헌장에 따라 제1차 대표대회 개최 중앙집행위원장 김호, 상무부 총부 최진하 선출
3.10 : 호놀룰루에서 이태성 주선 한인기독학생운동 시작
4.17 : 로스앤젤레스 제퍼슨가의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현판식
5.27 : 샌프란시스코 금문교 개통
10.10 : 국민회와 동지회의 통합을 위한 합동결의안 상정
12.11 : 한국 무용가 최승희 샌프란시스코 공연
12.22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 총회관 로스앤젤레스 제퍼슨가 1368의 신축 건물로 이전
1938년
3.10 : 도산 안창호선생 서울에서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수감중 병이 악화되어 별세
4.17 : 로스앤젤레스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신축건물 낙성식 거행
4.24 : 호놀룰루 한인기독교회 한국 광화문 모형으로 건축 새로 헌당식
5.1 : 제퍼슨 한인연합장로교회 헌당식 거행, 담임목사 김성락 목사
11.20 : 「초당」의 저자 강용흘 로스앤젤레스 새 국민회관에서 문학강연
1939년
1.1 : 로스앤젤레스 대한인국민회관에서 대표자 회의 송헌주 중앙집행위원장 선출
3.1 : 중가주 리들리지방 한인장로교회 헌당식, 김형제상회 건립지원, 중가주 한인 중심지가 됨
3.30 : 이승만, 워싱턴 DC에 한국위원회(The Korean Commission)를 다시 열기 위해 호놀룰루 출발
9.1 : 제2차대전 발발
12.31 : 대한인국민회의 대표자 대회 소집, 한시대 집행위원장 선임
1940년
6.22 : 외국인등록법안 의회 통과, 8월27일부터 12월26일까지 외국인 등록을 받았는데, 모두 4백74만 1천명
9.14 : 수정 징집법안 통과
10.10 : 존 김 등 전문직과 사업을 하던 발기인 15명 하와이 한인상공회의소 조직
11.21 : 재한미국인 선교사 한국에서 철수, 160명 샌프란시스코에 도착[/toggle][toggle title=”1941-1950″ open=”no”]1941년
1.6 : 하와이 국민회, 동지회, 북미 국민회에서 대표로 한시대, 김호, 송종익 등이 회의 해외한족대회를 개최하기로 하고 독립금을 모으기로 함
1.17 : 로스앤젤레스에서 김중수 목사 기독교홈처치 설립
1.17 : 미국정부는 미주와 그 영토 안에 거주하는 일인의 소유재산 봉쇄
4.19 : 호놀룰루에서 해외한족대회 개막. 대표 모두 15명:
북미 국민회 대표: 한시대, 김호, 송종익
동지회 대표 : 안현경, 이원순, 도진호
하와이 국민회 대표 : 안원규, 김현구, 김원용
중한민중 동맹단 대표 : 차신호
대조선 독립대표 : 강상호
한국독립단 하와이 총지부 대표 : 임성우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 연합회 대표 : 권도인
하와이 대한부인구제회 대표 : 민함나, 심영신
재미한족연합위원회로 이름 바꿈, 하와이 의사부위원장 이원순
LA 집행부위원장 김호 선출
12.7 : 일본인 해군 폭격기 진주만 군항 공격
12.7 : 로스앤젤레스 거주 한인들 국민회관에서 화합, 3개항 결의, 건장한 한인 자원입대. 한인들 증명하는 한인증명표를 가슴에 달고 다닐 것 등 결의. 한인연합회의 요구로 가주국민군 사령관은 한인예비중대 편성. 한인 50인 등록 훈련 받음
1942년
2.15 : 나성한인경위대 설립, 사령관 김용성. 가주국방경위군 소속의 2개 부대로 편성. 일명 맹호군으로 부름
2.24 : 미국정부 일본의 진주만 공격후 뉴욕에서 「미국의 소리」방송(VOA) 시작
2.27 : 워싱턴에서 한족대회 개최
2.27 : 워싱턴DC 라파엣 호텔에서 한인자유대회 개최 주최 주미외교위원부, 재미한족연합회, 한미협회
3.1 : 로스앤젤레스 가주 한인예배대 엑스포지션 공원 광장에서 열병식과 국기수여식 거행
3.28 : 로스앤젤레스 퍼싱 스퀘어공원 승전관에서 국방공채 발매 예식 거행
3.31 : 재미한족연합회 의사부위원장 이원순 재무 조병요 호놀룰루에서 로스앤젤레스에 도착
5.4 : 전시물가통제국 식량인지 책자 발행, 일반필수품 통제
5.4 : 이정근, 박용학 해군특전대 종군 통역으로 출정
5.10 : 샌프란시스코의 승전행렬에 로스앤젤레스 가주예비대에서 특별전세 버스로 이동, 퍼레이드 참가
5.30 :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 한인들, 한인경위대 구성
6.13 : 이승만 미국의 소리 방송 통해 한국을 향해 방송
6.18 : 시카고에서 동지회 북미지방대표회 개최, 조선민족혁명당 결성, 당사 1441
W. Jefferson Blvd. 중심인물: 변춘호, 김강, 이경선
8.29 : 한족연합회 주도로 로스앤젤레스 시청에서 32년만에 태극기 게양식 거행
8.29 : 「미국의 소리」방송(VOA)의 첫 한국어 방송 담당에 황재경, 김성덕
9.30 : 이승만 박사, 미 육군 전략사무처(OSS)의 로센바움 중위 및 국무부 차관보실의 로스토우와 중국내 한인 항일 게릴라 조직문제 협의
10.10 : 미 육군 전략사무처 굳펠로우(Preston Goodfellow)대령에게 항일 게릴자조직 제의
1943년
1.1 : 로스앤젤레스 연합국민 승전행렬에 가주한인예비대와 일반 한인 참가
1.6 : 한인 국방경비대 맹호부대 샌프란시스코 지대 편성, 대원 양주은, 신달윤 등 39명, 교관 황사선 목사 아들 폴 황
3.30 : 이승만 박사, 육군장관 스팀슨에게 “하와이에 살고있는 한인 동포들을 일본인과 똑같이 취급하지 말아달라”는 내용의 서한 발송
8.29 : 하와이 재류 한인들이 한미 승전 후원금 2만6천달러 하와이 군사 총독에 전달. 이 후원금을 루즈벨트 대통령에 전달
10.4 :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이사부 이승만 박사를 임시정부 외교고문으로 추천
12.1 : 루즈벨트 대통령, 처칠 수상, 장개석 카이로 선언 발표
12.4 : 하와이 군사총독 야간소등과 통행규제에 한인계는 적국민으로 보지않는다고 발표
12.12 : 샌프란시스코에서 북가주 대한인 시국대회 개최, 군사활동 강화 연합회 중심 외교활동
12.19 : 국민회 중앙집행위원장 송헌주 선출
1944년
1.5 : 1942년과 1943년에 미주 한인 공채액 23만9천달러로 집계
3월초 : 워싱턴DC의 한인 대학 졸업생 14인 미관공서 취직
11.3 : 합중국 체신청 태극기 기념우표 발행, 한길수 제안, 가격 5센트
11.21 : 임정이 직접 주미외교위원부 인선 통보, 이승만 박사 위원장에 재 임명됨
12. : 2차대전때 미 본토에서 한인 195명이 미군에 입대, 하와이에서는 30명이 미국 입대. 한인 2세 김영옥대위 일본인 2세로 구성된 100대/442연대 이끌고 유럽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후 LA로 돌아옴
1945년
1.2 : 북미 국민회 집행위원장 김호 선임
2.4 : 연합군 한국의 38선 이북에 소련군 진주 허용
3.10 : 호놀룰루 한인들 전후 구조회를 조직, 각종 구호물자 수집, 광복후 한국에 보냄
4. :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연합 전후문제 처리회의에 김호씨 한족연합위원회와 이승만 박사 한국위원회가 참가 신청, 거부당함.
8.15 : 일본 전황 항복
9.9 : 하지중장 지휘하에 미군부대 한국 도착, 3년간 한국 군정 시작
10.16 : 이승만 박사 서울 도착, 수만 대중 환영대회
10.24 :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대표단 구성: 단장 한시대, 김원용, 도진호, 김병연, 송종익, 최두옥, 전경무, 조제언, 김호, 정두옥, 안창호, 김성락, 안정송, 박금우
10.26 : 재미한인대표단 일행 한시대, 김호, 송종익, 김병연, 김성락, 전경무 한국 도착
11.23 : 임시정부 김구 주석 한국 도착
1946년
1.6 : 대한인국민회 총회관에서 대한여자애국단 총회
2.17 : 하와이 한인 대표단 김원용, 도진호, 안정송, 박금우, 최두옥, 조제언, 안창호, 정두옥 한국 도착
8.4 : 샌디에고에서 세미 리 선수가 전미국 다이빙 챔피언 쉽 차지
10.17 : 이승만 박사 서울에서 국민대회 개최, 한국의 독립을 세계 만방에 호소
1947년
1.1 : 북미 국민회 총회장 이옥형씨, 하와이 국민회 총회장 조병요 선임
4.19 : 보스톤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한국의 서윤복 선수 1등
4.21 : 이승만 박사 한국으로 영주 귀국
7.1 : 서재필 박사 하지 중장 초청으로 한국 도착
8.10 : 군정청 인사과장 문장욱 박사 시애틀 도착, 각급학교 방문 한국학생 입학 논의
8.24 : 한국 남녀학생 33인 샌프란시스코 도착, 각 전문학교 입학
1948년
1.2 : 북미 국민회 중앙집행위원장 김용성 선출
1.5 : 동지회 북미총회 총회장 이살음 선출
7.20 : 이승만 초대 대통령 선출
8.15 : 대한민국 정부수립
9.9 : 하와이 한인인구 5천5백명
9.11 : 군정청 최고의정관 서재필 박사 다시 미국 도착
11.21 : 대한민국 총영사관 로스앤젤레스에 개설, 초대 총영사 민희식
1949년
1.5 : 이승만 대통령 장면 초대 주미대사 임명
1.8 : 북미 국민회 중앙집행위원장 김호 선출
4.1 : 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 개설, 초대 총영사 남궁염
4.2 : 호놀룰루 총영사 김연섭 도착
5.25 : 장면대사 트루먼 대통령에 신임장 제정
6.14 : 샌프란시스코 영사관 개설, 주영한 임명
7.29 : 이승만 대통령: 헐벗 한국 초청
8.1 : 유엔 한국대표부 개설, 초대 상임대표 조병옥
8.15 : 뉴욕 한인사회, 코모도어호텔에서 한국 정부수립 1주년 기념식
1950년
1.2 : 북미 국민회 중앙집행위원장 김형순 사임
3월초 : 한국 친선사절단 국회의장 신익희, 국회의원 나용균 등 미국 방문
5.26 : 로스앤젤레스 각 한인단체 대한민국 해군사관 5인 초대 손원일 해군대장 인솔로 미국 구축함 3척 인수
6.25 : 북한 공산군 남침. 한국전 발발
9.15 :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승격, 초대 총영사 주영한[/toggle][toggle title=”1951-1960″ open=”no”]1951년
1.5 : 서재필 작사 서거
3.15 : 한국군 서울 수복
4.1 : 트루만 대통령, 맥아더 사령관 해임
6.26 : 뉴욕에서 휴전회담 시작
10.14 : 워싱턴한인교회 설립, 담임목사 김태묵 목사
1952년
1.18 : 한국 해군 174명 시애틀 도착, 양도받은 구축함 4척 운항, 샌디에고 도착. 로스앤젤레스 한인단체 환영만찬
4.17 : 캘리포니아 고등법원 외국인에 대한 토지배척법안, 위헌 판결
4.25 : 월터 맥카렌 종합이민법안 206대 68표로 하원 통과, 6월10일 상원 통과, 전세계 85개국으로부터 비례이민과 시민권 허락
9.15 : 김창하 의사 LA에서 병원 개업
12.2 : 아이젠하워 대통령 한국 도착
12.24 : 신 이민법안인 월터 맥카렌 이민법안 발효, 아시아 국가로부터 이민 계속 제한, 아시아계 이민자들 미국시민 귀화 가능
1953년
5.2 : 한국의 날 제정, 전미국에서 한국전 피해자 위해 의복 기타 구호물자 수집, 한국으로 보냄
7.1 : 로스앤젤레스한인감리교회 오창희 목사 후임 최영용 목사 취임. (1981년 은퇴)
7.27 : 판문점에서 휴전협정 조인
8.8 : 한미방위조약 조인
8.9 : 대한민국 상이군인회 대표 고정자 여사 로스앤젤레스 도착, 상이군인 위해 현금과 물품 수집
9.27 : 필라델피아 한인장로교회 창립(담임 오기항 목사)
11.15 : 호놀룰루에서 한인이민 50주년 행사. 함태영 부통령 참석
11.20 : 로스앤젤레스 한인 구제회 한국 상이군인회 위해 3백달러, 한경직 목사 자모원에 1천2백달러 보냄
12.1 : 한국은행 뉴욕사무소 개설
1954년
1.19 : 한미구조회 북가주지부 한국 부산 대화재 피해자 위해 5백달러 구조물품 보냄
1.21 : 헐리웃 플레디엄극장에서 미국 재향군인회 협력 한국 상이군인 위한 구호금품 모금 연극 무용 공연
2월 : 임천택, 「큐바한인이민역사」 발간
4.9 : 한국 봉숭아합창단 30명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도착, 한인감리교회 예배당 공연
4.18 : 워싱턴한인교회 오창희목사 취임
4.26 : 제네바에서 한국통일안 토의, 소련의 반대로 결렬
6.13 : 뉴욕 국제연합 한국재건위원회 한국재건 5개년 계획 발표
7.24 :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 방미. 뉴욕, 보스톤, 필라델피아, 캔사스 방문. 로스앤젤레스 2일 체류, 다시 샌프란시스코, 호놀룰루 거쳐 귀국
8.3 : 뉴욕 한미재단 한국인 위한 대대적 구호운동, 2천2백만달러를 모금
11.27 : 한미원조협정 체결, 한군군사 및 경제원조 7억달러 합의
1955년
2.21 : 샌프란시스코에서 미국 구축함 2대 주영한 총영사 인수
4.11 : 오클라호마 씰 병영에서 포병술 교육 한국군인 103인 샌프란시스코 거쳐 귀국
4.18 : 한인 1033명 멕시코 이민 50주년 기념일. 한인청년회와 여자애국단 주최 유카탄주 메리다 한인국민회 회관에서 기념식
7.29: 로스앤젤레스 진필식 영사 대한 독립공채상환 8월15일 마감
9.21 : 한미투자협정 체결
9.22 : 정성구 부처 2남1녀 가족 처음 피난이민으로 입국
12.3 : 50년전 7살때 멕시코 이민을 왔던 한종원 한국외국어대학 서반아어 교수로 청빙
1956년
1.7 : 독립지사 우강 송종익 LA에서 별세
3.7 : 한국 고아 25명 원장 황온순 인솔로 헐리웃 도착. 영화 전송가 촬영, 동지회 환영회
5.6 : 한국 화물선 코리아호 롱비치에서 미국 기차 60대 구매 선적, 경부선에 운항
6.21 : UN본부 한국전쟁 전사 UN군 추모비 제막
12.15 : 로스앤젤레스 남가주 한인유학생회 주최 한국고전연극 공연
1957년
1.10 : 미국정부 2억9천만 달러 한국 경제 원조
1.22 : 아이젠하워 대통령 재선 취임
3.19 : 한국 김용우 국방장관 워싱턴 방문, 한국방위문제 논의
4.4 : 1956년 한국이민 도착 내용 : 국제결혼 486명,입양 397명(남), 427명(여), 분배이민 53명, 피난이민 13명
4.5 : 로스앤젤레스 한인침례교회 첫 예배 담임목사 김동명
4.10 : 캘리포니아 몬트레이 육군외국어학교 한인교사 10여명이 한국어 강의
5.1 : 중가주 리들리지방에서 한인재단 설립, 단장 김호, 유학생 지원 및 출판사업
6.13 : 하와이 주지사 한인계 헐벗 최 검찰총장 임명
7.6 : 롱비치에서 미스 유니버스대회 한국에서 오현주 참가, 로스앤젤레스 동포들 환영대회
10.27 : 글렌데일 제1감리교회 결핵예방 의료차량 한국에 기증
12.15 : 워싱턴DC에서 한국 고대미술전시회
12.28 : 뉴욕 한인교회에서 재미한인유학생연합회 조직, 회장 컬럼비아대학 백선기
1958년
1.23 : 오레곤주 Creswell의 Harry Holt 한국고아 8명 입양
2.2 : 남가주 버뱅크 공회당에서 안익태 버뱅크교향악단 지휘
3.20 : 멕시코시에서 세계반공대회, 한국대표 백낙준, 최규남
4.25 : 펜실바니아대학 대학원 재학 오인호, 흑인 청소년 갱에 맞아 숨져, 오인호가족 흑인 청소년 장학금 5백달러 희사
6.15 : 스탠포드대학 졸업식에서 한인학생 백학준 졸업생 대표 연설
6.20 : 한국 문교부 미국 대학 졸업후, 체류기간 4년 지난 학생 6백30명 소환령
6.30 : 국민회관 여름 국어학교 교사 진희섭 호재숙
7.14 : 미주 한국학생연합회 영문서적 1만2천권 한국대학 기증
7.27 : LA한인연합장로교회 김성락 목사 숭실대학 학장으로 귀국
10.30 : 롱비치 항구에서 한국해군 28번째 미해군 상륙선 인수
11.10 : 텍사스주 고등학교 학생들 영화 전송가 주인공 헤스 대령이 제주도에 세운 고아원에 선물
1959년
1.20 : 숙자, 애자, 민자 김시스터스 라스베가스 무대 첫 진출
3월 중순 : 김원용 「재미한인 50년사」 발행(발행인 김호)
1960년
4.19 : 한국 4.19 학생의거
4.23 : 로스앤젤레스지역 한인학생들 LA 총영사관 앞에서 이승만 대통령 규탄데모
5.1 : 뉴욕한인회 재건 박기회, 강한모, 윤지창, 서상복, 김준성 등 7명
5.29 : 이승만 대통령 4.19 의거로 추출되어 하와이 망명
6.12 : 뉴욕한인회 발기총회, 초대회장 서상복
10.20 : 조선민주혁명당 지도인물 김강 미대법원 판결로 강제추방, 북한으로 감
11.12 : 뉴욕한인회, 정일형 외무장관 문덕주 뉴욕총영사 환영회[/toggle][toggle title=”1961-1970″ open=”no”]1961년
1.8 : 뉴욕한인회 제2회 정기총회 강한모 회장 선출
1.14 : 워싱턴DC 김용중 김일성 주석에게 중립화 통일방안 공개서한 발송
3.5 : 제7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나성중앙교회 최희만 전도사 시작
5.16 : 박정희 소장 군사혁명 주도
11.13 : 박정희 대통령 워싱턴DC에서 존 케네디 대통령과 한미정상 회담
11.17 : 뉴욕한인회,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환영 리셉션
1962년
1.11 : 대한여자애국단 총회 이화목 총단장 선출
2.6 : 한인센터 설립위원회 구성, 초대회장 송철, 이사장 김호
3.1 : 도산 안창호,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 수령
3.9 : 한국정부, 해외이주법 제정(법률 제1030호)
5.20 : 영문학자 및 뉴욕대 강사 강용흘 인디애나대, 뉴멕시코대 등 방문, 동양문학 및 문학 강연
9.4 : 대한무역진흥공사, 뉴욕 무역관 설치위원 임명
1963년
1.3 : 시카고 한인회 창립총회, 초대회장 정보라 박사, 이사장 손원태 박사
2.20 : LA한인센터 회관 구입, 구입가격 7만달러, 2525 S. Vernon Ave.
3.1 : 뉴욕한인회, 3.1절 기념식 주최 안익태 애국가 합창지휘
4.13 : 음악회 한국의 밤 개최, 뉴욕센터에 400명 참석
7.7 : 워싱턴 DC 국제결혼 한국여성 6명, 한미주인회 발기, 초대회장 전 에드워드
11.22 : John F. Kennedy 미국 대통령 암살당함.
1964년
8.15 : 뉴욕한인회, 광복절 경축식 및 기념식
9.9 : 아리랑가무단(단장 김생려, 안무 프리마돈나 권려성) LA Greek Theatre에서 5일간 공연
11.26 : 나성미술가협회 창립, 회장 위상학, 부회장 김봉태
12.6 : 뉴욕센터 한국의 밤 행사, 한국어린이돕기 모금연주회
12.12 : 김용중 자신의 중립화통일방안 제안, 남북 수뇌에 보냄.
12.20 : 뉴욕한인회 제6차 정기총회, 송아나 여자회장 처음으로 선출
1965년
5.1 : 남가주 한인회 창립총회 회장 조용삼, 부회장 김하태, 김창하, 총무 이경동
6.15 : 아리랑가무단(단장 김생려 안무 프리마돈나 권려성), NY Radio City Music Hall에서 10주간 공연
7.4 : 워싱턴한인장로교회 설립 강경욱 장로, 박원봉 목사
7.12 : 잉글우드의 KTYM에서 FM 103.9 MC로 처음 로스앤젤레스에서 한인방송, 아나운서 김영우
7.19 : 이승만 전 대통령, 호놀룰루 마우나라니 요양원에서 서거(90세), 서울 국립묘지 안장
8.11 : LA 왓츠지역에서 인종 폭동. 사망 34명, 1000여명 부상, 4000여명 체포
8.15 : 남가주 한인회, 8.15 경축 및 미스코리아 김경숙 환영회를 왓츠폭동으로 한인회관 건물이 문을 닫아 카브리오 비치 공원에서 야유회로 거행
9.2 : 세크라멘토 한인회 창립, 초대회장 이근섭 선출
9.11 : 버논 코리아센터 춘향전 공연, 춘향 다이안 장, 이도령 이우근
10.3 : 존슨 대통령, 인종차별 철폐 새 이민법 서명 공포
10.26 : 피아니스트 한동일, 카네기홀 국제음악 경연대회 1등
12.26 : 상항 한국인 교민회 창립. 초대회장 김동우
1966년
3.1 : 뉴욕시내 55가 뉴욕시티센터 3.1절 기념식, 김용식 유엔대사 참석
4.10 : 상항 서머나교회 창립, 담임 이기남 목사
6.11 : 상항한인연합장로교회 창립
8.15 : 상항 옥타비아 성당 내 한인사목 구즈로우 신부 임명
8.15 : 뉴욕 총영사관 주최 광복절행사, 콜롬비아대학에서 경축행사, 영화 성춘향 상영
12월: 시카고한인회 주소록 발간, 한인교회는 모두 5개
1967년
2.28 : 뉴욕한인경제인 구락부 창립, 회장 서문석
3.16 : 뉴욕한인회 정일권 국무총리 환영연
5.5 : 샌프란시스코 한국무역관 개설. 초대관장 전해창
5.28 : 황관일 목사 등 교우 8명 디트로이트 우드워드 장로교회에 모여 첫 예배, 디트로이트 한인연합장로교회로 이름 지음.
6.16 : 한국무역협회 뉴욕지부 개설. 초대 지부장 서태원
9.25 : 뉴욕 한국일보 창간(뉴욕 맨하탄 대한중석건물 3층)
10.4 : 한국외환은행 뉴욕지점 개설. 초대지점장 이해명
12.23 : LA코리언 나이트볼 행사, 월도프 아스토리아호텔에서 열림. 양유찬 순회대사 참석. 리틀엔젤스 합창단 공연
1968년
1.5 : 김호 별세, 중가주 리들리 안장. 2002년 10월 서울 국립묘지 이장
1.14 : 한인센터와 남가주 한인회 합병. 남가주 한인거류민회가 됨. 회장 조용삼, 부회장 이경동, 김중정, 회장 귀국 사망으로 이경동 회장 승계
2.16 : 워싱턴 DC에서 재미한국학생 장학회 설립, 총무 이응환
2.25 : 박경신 여자애국단 총부단장 애국단 창단 때부터 보관해왔던 은가락지, 은비녀 등 한국 국립박물관에 기증
3.15 : 뉴욕 한인영주민회 발족. 미국정치 참여 위해 영주권자 시민권자로 조직
3.25 : LA임윤영, 윌셔가에 하이소사이어티 양복점 개업
4.12 : 뉴저지한인교회 창립
4.18 : 박정희 대통령 호놀룰루에서 린든 죤슨 대통령과 한미정상 회담
6.8 : 뉴욕센터 한국유학생 장학금 모금 자선음악회
7.1 : 새 이민법 시행 완전 발효
8.30 : 뉴욕한인회 주최 체육대회 개최, 뉴욕한인교회 교인 등 2백여명 참석
10.3 : 애틀란타한인회 창립, 초대 한인회 회장 김순응
1969년
2.16 : 한미장학재단 워싱턴DC 설립, 이사장 겸 회장 박원규 선출
4.21 : 도산 안창호 부인 이혜련 여사 LA에서 별세
4.29 : LA교포 송영창 한미신문 발행
6.9 : 장재구 지사장, 한국일보 LA판 창간
7.30 : 나성한인간호원회 조직, 회장 황선희
8.1 : LA 김광제 키스 프린팅 개업
8.15 : 뉴욕 민주한국시민연합, 광복절 기념식 겸 박정희 대통령 3선 개헌 반대 궐기대회
8.18 : 워싱턴 DC 3선개헌 반대투쟁위 데모
8.20 : 박정희 대통령 샌프란시스코 방문, 리차드 닉슨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
9.11 : 뉴욕한인회 이사회 뉴욕 총영사관 건의문 방송, 정치적 중립, 정보사찰 중지, 단체 자율권 보장 요구
11.2 : 워싱턴 한인연합장로교회 창립
1970년
2.24 : 바이얼리니스트 정경화 첫 뉴욕 독주회
5.9 : 로스앤젤레스에서 재미 한국과학기술경영회 발족, 회장 김관희, 회원 20명
5.14 : 한국일보 샌프란시스코 지국 개설, 초대 지국장 김재성, 1974년 10월 강우정 지사장 취임
5.24 : 로스앤젤레스에서 남가주한인기독청년연합회 발족
6.20 : 뉴욕 한인사회 야유회 및 운동회 8백여 동포 참가
6.21 : 남가주 한인거류민회 주최 교포 야유회, 파사디나 공원
7.12 : 기독청년연합회 주최, 제1회 교회대항 탁구대회
7.26 : 임동선 목사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 926 S. Irolo St.)에 동양선교교회 창립
8.14 : 남가주 한인거류민회 8.15 경축행사의 밤 개최, 이미자 초청으로 1천5백명 교포 운집 성황
12.27 : 남가주 거류민회 주최 망년회, 곽규석 사회[/toggle][toggle title=”1971-1980″ open=”no”]1971년
1.10 : 애틀란타 한인교회(담임 문희석 목사) 창립
1.17 : 로스앤젤레스 남가주한인교회 연합회 결성, 회장 손순열 목사, LA지역 12개 교회 참가
1.24 : 남가주 한인거류민회 정기총회, 제4대 회장 소니아 석 선출
2.1 : LA 부산시 자매도시위원회 무역 공동선언문 채택 친선사절단 부산 파견
2.3 : 정헌준 외환은행 LA 지점장 가주법에 따른 현지법인체 은행 설립 발표
2.13 : LA 제1회 교회대항 축구대회 개최, 우승 피코 알링턴교회
3.1 : 거류민회 주최 3.1절 기념식 김형일 전 거류민회 회장과 송철 이사장에 국민훈장 동백장 수여
3 : 테네시주 멤피스한인회 출범, 회장 변종수
3.28 : 남가주한인상공회의소 발기총회, 5인준비위원회 구성(죠지 최, 김종식, 남궁봉, 이용, 이교숙)
3.29 : 한인 1세 치과의사 장기열 첫 개업
4.6 : 대한항공, LA지점 개설, 서울 LA화물기 취항 기념 리셉션 개최. 종중훈 사장, 죤슨 캘리포니아 주지사 대리 참석
4.7 : 중앙일보 나성지사(지사장 아돌프 장) 설립
4.26 : 대한항공 첫 화물기 LA 도착. 1971년 4월26일 밤 9시40분 3만9천파운드 싣고 김포 출발, 보잉 707기 동경 거쳐 4월26일 하오 6시30분LA공항 도착. 조종사 전국섭
5.19 : 한국일보 시카고지사 창간. 첫 지방 소식 발행, 발행인 김용화
5.23 : 제11회 롱비치 미스인터내셔널 선발대회 한국응원단 참가. 한국 미스코리아 최숙애양 참가
6.13 : 로스앤젤레스 한인경로회 창립총회, 회장 이근화
6.19 : 남가주 한인거류민회 야유회 개최. 교포 6백명 참석
6.30 : 남가주 한인상공회의소 초대회장 죠지 최 선출
7.5 : 워싱턴지역 한인교역자회 조직, 초대회장 황재경 목사
7.14 : LA 국제공항 태극기 게양. 재미한국체육인협회 결성, 회장 최세오
7.30 : 남가주 한인거류민회, 한국일보 LA지사 후원 본국 수재의연금 모금운동
8.7 : 뉴역 한인회, 가수 패티 김 초청공연
8.8 : LA 한국어린이합창단 창단공연, 단장 권길상, 단원 40여명
8.10 : LA 동포 김시면 사재 5만달러 들여 김포공항에 「조국에 드리는 탑」 건립
9.9 : 재미한인회총연합회 LA에서 결성, 회장 소니아 석 선출
10.2 : 한국일보 LA지사, 리틀엔젤스 초청공연, 9백명 관람
11.20 : 뉴욕한인회, 한국 현대음악의 밤 주최, 버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
12.1 : 재미한인정치협회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총회, 총재 최상익, 사무총장 김용백 선출
12.11 : 재미한국인과학자협회, 워싱턴서 창립총회 개최(회원 1천4백명)
12.17 : 하와이 초기이민 배태희씨, 주검찰총장에 임명.
12.24 : 서울 대연각 화재로 LA교포 2명 사망(사업가 서상우, LA총영사관 이광택 영사)
1972년
1.19 : 대한인국민회 정기총회, 총회장 이화목, 부회장 박리근
1.21 : 상항영락회를 발족, 상항한미노인회가 됨. 초대회장 임영빈
1.28 : 남가주 상사지사협의회 결성, 회장 이상학. 남가주 내 50개 상사지사 대표 참석
1.30 : 남가주 거류민회 정기총회, 5대 회장에 죠지 최 선출
2.19 : 노신영 LA총영사 인도 뉴델리 총영사로 발령
2.22 : LA 총영사 관저 627 Rossmore Ave.의 건물 구입 이전(15만달러)
2.23 : 사단법인 무궁화학원 LA에서 발족, 이사장 송철, 원장 권길상, 남가주 한국학원으로 발전
2.27 : 남가주교회연합회 정기총회, 제2대 회장 최영용 목사
3 : 이달준씨, 전 미국 탁구 선수권 대회서 우승
3.12 : LA 가발수입업자협의회 결성
3.16 :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LA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협연, 지휘자 Andre Previn, 뮤직센터
3.23 : 청소년후원회(KATF) 결성, 초대회장 노준희
3.27 : 남가주 한인회 새 사무실(2559 W. Olympic Blvd.) 현판식 거행
3.29 : 대한항공, 여객기 미주노선 취항(4월19일) 및 화물기 매일 취항기념 리셉션, 앰버서더 호텔 조중훈 사장 주재
4.8 : 제1회 남가주 미스코리아선발대회 한인회 주최, 한국일보 LA지사 주관 미스코리아 진 김성실양.
4.13 : 미 일리노이주 「3.1절을 한국독립의 날」로 선포
4.19 : 대한항공 태평양노선 첫 여객기 취항 보잉 707기, LA공항 28번 터미널 도착. 기장 고영일
4.22 : 소상영 샌프란시스코 총영사 LA총영사로 발령
4.22 : 한국문화회관 (1359 W. 24th St.) 개관, 총재 박규현 목사, 관장 이광덕 목사
4.22 : 한국어 TV 방송(대표 배함덕) 개국, 본국 KBS와 제휴
4.26 : 남가주 미스코리아 진 본국대회에서 미스 양 당선
5.13 : 무궁화학원 개강
6.3 : 대한체육회, 재미대한체육회를 재미 지부로 인준
6.20 : 워싱턴DC 로광욱, 조국평화통일 재미촉진위원회 조직위원장
6.27 : 남가주 한국식품조합 창립총회, 회장 김기성 쌀 공동구입 공동판매, 식품가격 균일화, 한국 식품류 한국서 직수입 등 결의
7.1 : 한미정치협회 남가주지부 결성, 회장 배기생
7.9 : 무궁화학원 개원식, 브레들리 LA시의원 등 참석
7.23 : 남가주 한인부인회 결성, 회장 김수안
7.24 : 대한항공 태평양 노선 여객기 취항 주 3회로 증편
8.1 : 한인 1세 변호사 장병조 LA에서 개업
8.7 : 재미교포 제1차 모국방문단 결성, 죠지 최 단장과 130명
8.12 : 한인회 총영사관 주최 8.15 경축 기념식, 컨밴션센터 2500명 참석
8.15 : 동아일보 샌프란시스코 개설, 노승우
8.26 : 한국일보 하와이지국 개설
9.12 : 국산 요트 알렌호, 태평양 횡단 개가, 마산 출항 81일만에 9월12일 산페드로 도착
9.15 : 한인회관 설립준비위원회 각계 23명으로 구성
9.23 : 뉴욕 아시아 축제의 밤, 태권도 시범, 고전무용, 의상전시
9.30 : 정부, 토론토 한인회에 회관건립 보조비 5만달러 지원
9.30 : 미국 정부 재미한국인 52,313명 집계
10.1 : 재미교포선수단 전국체전에 첫 출전, 소니아 석 단장 등 모두 26명
10.10 : 숭산행원 스님, Providence Zen Center 개원
10.14 : 미의사협회, 재미한국의사 1.309명 집계
10.28 : 한인회관 건립위원회 정식 발족, 김시면 위원장 회관건립기금 5만달러 약속
11.2 : 남가주 거류민회 한인록 발간
11.4 : 로스앤젤레스 한국인교향악단 창단 기념공연, 지휘 조민구
11.19 : 파사디나시 동양박물관 한국 고대미술품 전시회
12.1 : 한국일보 시애틀 지사 개설
12.15 : LA한국일보 미국소식 매일 발행
1973년
1.1 : 동아일보 미주지사 창간, 지사장 김남
1.6 : 김종필 국무총리 LA 도착, 교포들과 조찬
1.13 : 한국이민 70주년 기념행사 호놀룰루 개최, 박근혜 박정희 대통령 특사로 참석
1.28 : 북가주 카멜산상에 불교사찰 삼보사 낙성식, 세계불교협회 이한상 부회장 사재 13만불 들여 건축
1. : 북가주 한인상공회의소 창립. 초대회장 추기석
2.3 : LA 첫 불교 사찰 달마선원 개원
2.10 : 올림픽가 첫 한국서점 개업, 대표 김진형
2.10 : 황재경 목사, 워싱턴한인교회 담임목사 취임
2.21 : 한국타운번영회 발족, 올림픽가 한인업소 주인 10여명이3116 W. Olympic의 사무실에서 모임. 회장 김진형
3.4 : 오관정 집사 집에서 39명의 교우가 모여 나성영락교회 시작
3.29 : 코리아타운 한글간판 달기 운동, 51개 업소에 한글간판 달아
4.7 : 한국노인회 발기위원회 구성
4.26 : 김대중, 샌프란시스코지역 송정률 목사댁에서 시국 강연회
4.27 : 미 펜실바니아주 슬리퍼리록 대학 손성원 교수, 닉슨 대통령의 경제정책 자문위원 임명
5.13 : 미주흥사단위원부(위원장 윤병욱)는 60주년 창립기념식을 쉐라톤 호텔에서 거행
5.16 : 대한항공, 미주노선 첫 점보기 취항
5.17 : 상항 한국학교 시작. 초대교장 임영빈 목사
5.17 : 샌프란시스코 김대중 시국강연회, 중앙정보부의 방해 공작
5.29 : 톰 브레들리 LA시장 당선
6.14 : LA 총영사관, 한인회 정부기관 언론대회 초청, 새마을운동 설명
7.3 : 이희덕 올림픽가 코리아타운에 영빈관(VIP) 빌딩 오픈
7.17 : LA 동양인교육위원회 커미셔너 김기순, 김창준, 엘리자베스 권, 이용범, 앨버트 이 당선.
7.21 : 샌디에고 한인회 창립, 회장 송두영
7.26 : 김대중을 중심 해외 신진민주 세력 및 원로 정객들, 한국민주회복 통일촉진 국민회의 조직, 각 지역대표, 김대중, 김재준, 안병국, 송정률, 이재현, 유시흥, 동원모, 문동환, 이상철, 김경재, 신대식, 이 정, 최정일
8.7 : LA시 커미셔너 이천용씨 임명(도시계획 담당)
8.9 : 한인간호협회 창립총회, 회장 유분자
9.23 : 재미국악원 개원, 원장 이동엽, 백인명여사 2천달러 기증. 고전악기 95점 고전의상 45벌 구입, 개원연주회. 장소 무궁화학원
10.7 : 영친왕 이은공 부인 이방자여사, 환영 리셉션. LA 총영사관 개최
10.13 : 뉴욕무역관 우수상품전시회, 130만달러 구매계약
10.26 : 이윤희 상파울로 총영사 호놀룰루 총영사로 부임
10.31 : 거류민회 캘리포니아 주정부로부터 비영리단체 인가, 남가주 한인회로 명칭 바꿈.
11.2 : 남가주 한국대학연합동문회 발족, 창립간사 노종국, 정재문
11.6 : 도산 안창호 부인 이혜련여사 유해 도산기념공원으로 이장
12.2 : 남가주 한인 YMCA 창립, 이사장 김성락 목사
12.5 : 미국축함 DD727호 롱비치에서 한국해군 인수
12.15 : 시애틀 한인상공회의소 창설. 회장 김길량
12.22 : 시애틀 한인용접사협회 창설. 회장 조성욱
1974년
1.1 : 현지법인 은행 가주한국외환은행 영업. 은행장 정원훈. 주소 1133 Wilshire Blvd. 자본금 3백만 달러
1.29 : 박학선 미하원 22선거구 예비선거 출마 낙선
1.31 : LA올림픽가 한인상가 한인업소 30여개로 팽창, 코리아타운으로 발전
2월 : 나성서울코날 창단예배, 지휘자 박재훈
2.2 : 워싱턴 DC 한인의사회 창립, 초대회장 최재창
2.3 : LA한영식당에서 재미한인축구협회 창립, 초대회장 오재인
2.15 : 애틀란타 한인상공회의소 창립, 초대회장 노화석
2.20 : LA 김동성, 김동원 형제 한국 종합의료원 건립
2.24 : 샌프란시스코 한인회 정기총회, 회장 이민휘
2.26 : 교포문제연구회 창립총회, 회장 국영길
3.1 : 국제관광공사 LA지사 개설. 초대 지사장 김종칠
3.10 : 나성관음사 개원. 주지 정정달 스님
3.19 : 워싱턴DC 성 김, 안드레아 천주교회 설립, 왕영수 신부
4.2 : 합창단 서울코랄 창단, 이사장 양은식, 지휘자 박재훈
4.4 : LA 한인교수회 발기인회, 대표 발기인 김영목. 4월27일 한국학연구회 창립
4.4 : 한국일보 워싱턴지사 미주소식 발행
4.6 : 남가주 한인의사회 창립. 회장 한영일
4.11 : KTYM의 AM1460KC로 Radio Korea 첫 방송, 아나운서 김영우
4.20 : 하와이대학 한국학연구소 소장 서대숙 박사. 북한과학원 초청으로 평양 방문
4.26 : 김시면 부부 미 시민권자로 중국 방문
5.10 : LA총영사 박영 외교연구원 연구관(공사)을 발령, 소상영 총영사는 본부로, 김인두 영사는 휴스턴 총영사로 승진
5.17 : 대한항공 호놀룰루 와이키키 리조트 호텔 구입
6.26 : 박정희 대통령, 남가주 한인장학재단에 장학금 2만달러 기증
7.21 : 전교포복음화 운동대회 개최
7.27 : 뉴욕 한인청과상조회 창립. 초대회장 전홍규씨
7.30 : 올림픽가에 영빈관 식당 개업. 이희덕 30만달러 투자
8.6 : 한인청소년후원회, 샌버나디노 산정, 캠핑장 구입
8.15 : 영부인 육영수여사 피살. LA총영사 관저에 빈소
8.20 : 뉴욕한국여성회 창립, 회장 염진호
9.15 : 이성철 공보관LA 총영사관 부임
9. : 샌프란시스코 한인영어학교 개교, 상항한인인력개발원으로 발전. 한인센터(이사장 홍순경, 원장 신연자)는 가주국제문학대학을 운영
10.13 : LA 한인회관건립위원회 새 회장 소니아 석 선출
10.23 : 남가주의사회(회장 한영일), 시카고의사회(회장 안상진), 워싱턴의사회(회장 최제창)가 뉴욕에서 재미한인의사회를 발족, 초대회장 최제창
10.24 : LA시립도서관 한국서적부 신설. 노재민 사서 책임
10.30 : 김상돈 전 서울시장「민주회복투쟁궐기대회」 대회장으로 박정희 정권타도, 애국 투옥지사 즉각 석방, 중앙정보부 해체 등 결의
11.1 : 올림픽가 코리아타운 한인업소 급증. 45개 업종 1백30개소
11.3 : LA 제1회 코리언퍼레이드 올림픽가 3만 인파, 꽃차 등 2000여명 행진
11.9 : LA에서 어린이 고추사건 발생. 한인이 미국 어린이에게 “어이 고추좀 보자”고 했다가 어린이 성범죄로 구속, 담당검사는 “한국 풍습의 하나”라면서 사건 취하
11. : 한국무역협회 초청, 무역의 날 재미실업인 모국방문단 구성 참가
11.16 : 한인회장 선거. 새 회장 양회직 당선
11.21 : TV 코리아 방영. 한국일보 자매회사로 시작
11.23 : 뉴욕한인의사회 창립, 회장 이광수
1975년
1.10 : LA시 커미셔너 이천용. 한글 운전면허시험 주의회 건의
1.22 : 김영삼 신민당 총재,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 방문 시국 강연
2.8 : 조국민주회복 남가주국민회의 창립(LA올림피아 호텔), 대표위원 김상돈, 이용운, 차상달, 김신찬, 홍동근
3.6 : 뉴욕주 지사협의회 발족, 회장 박영수
3.15 : 고 이승만 박사 탄생 100주년 기념식, 올리버 박사 강연회
3.18 : 윌셔경찰서, 한인사회에 청소년 갱이 있다고 발표
3.22 : 조국민주회복 남가주국민회의 본국의 형법 개정(국내와서 정부 비방과 외국인에 대한 시대언동 규제) 반대 시위
4.10 : 키스 프린팅 한인록 발간, 한인명단 1만3천명, 1천3백 업소 수록
4.19 : 김상돈씨 등 LA컨벤션 센터에서 망명중인 한국 공보관 이재현 초청 강연회
4.21 : 한국타운번영회, 4026 W. Olympic Blvd.에 코리아타운 안내판
5.9 : 한인청소년회관(KYC) 개관, 관장 천방욱 목사
5.12 : 뉴욕지구 한인교회연합회 발족, 회장 유태영 목사
5.15 : 톰 브레들리 시장, 김준문 한인보좌관 채용
5.16 : 하와이 한인 2세 허버트 최, 닉슨 대통령 제9 항소법원 판사 임명
5.30 : 조국민족회복국민회의, 한국의 정치탄압 반대 LA총영사관 앞 데모
6.4 : 981 S. Western Ave.건물 30만달러 한인회관 구입
6.5 : 민병수 변호사, 브라이언 김 변호사 가주시험에 합격
6.7 : 필라델피아 한인의사회 창설, 초대회장 양인민
6.12 : 조국민족회복 남가주국민회의, 반공궐기대회에 반대성명 발표
6.19 : LA한국 라이온스 클럽 창립총회, 회장 김청
6.20 : 조국민족회복남가주국민회의 회원들, 김지하 시인 구출 24시간 단식기도회
6.27 : 가주의회, 침구사법 통과
7.1 : 뉴욕 중앙일보 발행
7.24 : 임시정부 주미전권대사 역임, 현순 목사 한국 국립묘지 이장 발표
8.3 : 애국지사 장인환 의사 유해, 샌프란시스코 사이프러스 묘지서 국립묘지로 이장
8.7 : 브라운 캘리포니아주 지사, 몬트레이 카운티 지방법원 판사에 백학준 임명
8.8 : 애틀란타 한인천주교회 설립, 서분도 신부 담임
8.14 : 피아니스트 정명훈,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헐리웃 볼 협연
8.29 : 재미해병동지회 창립, 회장 김해영
9.4 ; 잔 문 한국방위 성금 5만달러 기탁
9.19 : 제2회 한국의 날 행사 개막
10.1 : LAPD내 Asian Tark Force 신설, 조지 민, 팀 서 등 한인경찰관 근무
10.9 : 전미주 민주운동단체 회원들 정오 동시에 김지하 석방 요구 시위 벌임
10.11 : 뉴욕청과상 상조회 창설, 초대회장 전홍국
10.15 : 남가주신문기자협회 발족
10.15 : 워싱턴지역 한인유학생들 김지하의 밤 개최
10.20 : 산타바바라 김영민사건 변호위원회 구성, 1976년 3월 29일 한인인권옹호위원회로 발전, 회장 레스터 김 목사
11.16 : 나성 관음사 주지 김도안 스님 부임
11.22 : 한인회관 개관 현판식 거행, 981 S. Western Ave. 4층 건물
12.7 : 새 한인회장 김형일
12.15 : 워싱턴 DC 한인계 은행 Diplomat National Bank (행장 김창원) 오픈
12.15 : 1975년 미군에 입대한 한인 모두 240명
12.20 :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출범, 회장 소이나 석
1976년
1.12 : 윤찬 상항 총영사 후임 신동원 임명
2.10 : 재미한인무역협회 발족
3.20 : 동양계 경찰관 회장 조지 민 선출
4.1 : 톰 브레들리 시장 LA시 인간관계위원에 소니아 석 임명
4.16 : 미 캔사스시 스타지 사진부 부장 백관욱씨, 미 외신기자협회 75년도 최우수 해외사진 보도상 수상자 선정
4.17 : 조국민주회복국민회의 (상임대표 김상돈), LA 컨벤션센터에서 김재준 박사 초청, 4.19 기념강연회 개최
5.13 : 남가주국민회의, LA 총영사관서 김대중 등 명동사건 인사 석방 데모
5.22 : LA시 주최 2백주년 기념 퍼레이드에 한인회, 재미국악원 출연
5.28 : LA성공회 한인봉사회(총무 안마태) 종합생활안내서 3만부 발행
6.26 : 북가주 해병전우회 창립, 초대회장 김윤원
7.4 : 미독립 200주년 행사 전국 LA카운티 퍼레이드에 대한항공 등 참가
7.6 : 재미여성경제인연합회 창립, 회장 최계옥
7.30 : 재미한인간호협회 창립, 회장 유분자
8.4 : 재미 교포인구 24만9천명 센서스국 발표
8.20 : 제3회 코리언페스티벌 개막
9.9 : 남가주한인재단 초대 이사장 이경동 선출
9.22 : 초대 외무장관 임병직 뉴욕에서 별세
10.3 : 우정의 종 산페드로 공원에서 미정부에 기증식, 한병기 유엔대사 참석
10.5 : 한미교육원 발족(대표 차종환 박사)
10.15 : 박동선사건 발생, 미국 정치인에 불법 로비혐의 조사
11.6 : LA재향군인회 창립, 회장 이석봉
11.20 : 양은식, 27년만에 북한 방문, 노모와 상봉
11.27 : 애틀란타 총영사관 개관, 초대 총영사 오명호
11.29 : 범노인단체 한인상록회 창립, 초대회장 서상복
12.8 : LA인간관계위원회, 모범여성으로 백인명, 이화목, 김수안 표창
1977년
1.6 : 미동부지역 전직, 현직 한인회장들 친목회(후에 미주한인회총연합회로 바꿈) 발족
1.15 : 미국과 캐나다의 민주운동 단체와 인사 연합체 「재 북미한국민주화연합운동」창립. 준비위원장 김상돈
1.16 : 전직 아나운서 등 방송인들 방송인 친목회 결성, 회장 김봉구
1.25 : 독립유공자 김형순 별세, 대한인국민회장 장례
2.4 : 콜로라도주 덴버 이승태, 이찬구 아파트서 김치냄새 난다고 퇴거명령 받아, 김치소송에 담당 판사 화해 자진 퇴거
3.20 : 타코마지역 한인회 창설. 회장 박남표 장군
4.12 : LA한국노인아파트 건립추진위원회 구성
6.9 : 전 한국중앙정보부장 김형욱 미의회에서 한국관계 공개 증언. 동백림사건 등 9시간 증언
6.16 : 재미물리학자 이휘소 박사 자동차사고로 사망
6.24 : 세인트 루이스시 북미주민주단체연합기구 결성. 회장 선우학원 선출
7.1 : 클레아몬트 신학대학원, 미국 주류사회신학교, 처음 아시아사역연구원 설립, 초대원장 김찬희 교수
7.1 : 미주지역 한인회협의회 창설, 초대회장 이도영(워싱턴DC 한인회)
7.10 : 남가주 한인회, 서울 수재민돕기운동, 대한항공으로 구호물품 보냄
7.31 : LA 한인침례교회(담임 김동명 목사) 신축 예배당 입당예배
9.6 : 미법무성, 박동선 정식 기소
9.9 : 제4회 한국의 날 행사 개막 “코리언 퍼레이드는 LA 퍼레이드 중 관중 동원이 3위”라고 LA시경 발표
9.21 : 남가주상공회의소(회장 윤병욱)와 대한상공회의소는 협력의정서 체결. 상공인의 날에 재미 실업인 모국 방문을 정계화 하기로 합의. 남가주 교포 실태 조사
9. : 이스트베이한인봉사회 창립, 한광우, 이광호, 정완복, 일레인 김, 윤한철 발기인 참여
10.22 : 조국민주회복국민회의 회원들 뉴욕 유엔본부, 워싱턴DC 백악관 앞에서 한국의 민주화 위해 데모
10.27 : 홀트양자회 27년간 한국 고아 3만5천명 미국에 입양
11.11 : 뉴욕 교포 이인초, 페들러서 시작 종업원 3백명 대회사로 성장, 에밀레 오페라단에 3천달러 기증
11.24 : 시카고 첫 여성변호사 김명균씨 개업
12.20 : 남가주한인상공회의소(회장 윤병욱), 「미주생활정보」발행
12.30 : 조흥은행 샌프란시스코 지점 개설, 초대지점장 이유상
1978년
1.13 : 호놀룰루 하와이 이민 75주년 기념행사 김성진 문공장관 참석
1.16 : 상업은행 LA지점 개점, 지점장 김추규
2.28 : 도산 안창호 장남 필립 안 사망. 생전 350편의 영화 출연
3.1 : 워싱턴 한인YMCA조직, 초대 이사장 고한실, 총무 정준영
3.1 : 한국에서 발표된 「3.1 민주선언」에 해외 서명인사로 김재준, 한승인, 전규홍 참여
3.4 : 이철수 후원회 구성 위원장 유재건
4.5 : 한인봉제협회 결성, 초대회장 변창환
4.7 : 뉴욕지역 교포 세탁협회 발족, 초대회장 이용범
5.5 : LA한인 폴 김 경찰관 경찰아카데미 졸업
5.6 : 시애틀 한인회, 한인한글학교 개교
5.20 : 샌프란시스코 초기이민자 양주은옹 1백살 생일파티
7.1 : 미주지역 한인회협의회 제2대 회장 박해달(시카고 한인회) 선출
7.30 : 하와이 한인기독교회 창립 60주년, 1918년 이승만 설립
8.1 : 지미 카터 대통령 아시아 10개국 교포대표 125명 백악관 초대, 한인 17명중 뉴욕에서 12명 참석
9. : 남가주한국학교 건축위원회 설치
9.1 : Cal State LA 대학 한국학연구소 설립
9.17 : 제5회 코리언퍼레이드 그랜마샬에 톰 브레들리LA시장
10.9 : 남가주국민회의, 박정희 독재정권 만행 화보제작 배부
10.13 : 뉴욕 동아일보 창간
10.4 : 「연락선을 떠난다」의 장세정 여사 은퇴공연, 재미연예인협회와 남가주한인회 주최로 슈라이 오디터리움
10.19 : 새크라멘토 지방법원, 이철수변호위원회에서 낸 인신구금해제 청원(Habeas Corpus) 이유있다고 판결
11.30 : 재미무역협회 총회, 회장 김기일
12.6 : 미하원 윤리위원회, 코리아게이트 스캔들 조사 완료
12.7 : 필라델피아 교포 상인과 흑인 마찰, 시청에서 첫 모임
1979년
1.1 : UCLA 동양도서관 관장 김익삼 임명
1.1 : 뉴욕 교포인구 6만 돌파, 청과상 350개, 택시업 150명, 세탁소 180개, 봉제업 150개
1.10 : 한인시민권자협회 발기
1.17 : 오렌지카운티 한인회 설립 준비위원회 구성, 위원장 박진방
3.23 : 대한항공 뉴욕 첫 화물기 취항
3.30 : KAL 첫 뉴욕 취항 여객기 케네디공항 도착. 252명 탑승
4.16 : 샌프란시스코 한국외환은행 개설
4.25 : 평양에서 열린 제35회 국제탁구대회 미국팀 통역 고영일, 어머니, 누님 상봉
6.1 : 한국미술 5천년전 샌프란시스코 개막, 시애틀, 시카고, 클리브랜드, 보스톤, 뉴욕, 캔사스시티, 워싱턴DC 등 1981년까지 2년간 순회전시
6.1 : 이민국 자문위원 뉴욕 김재택 교수 피선
6.4 : LA 코리아타운 대형쇼핑센터 코리아타운 플라자 오픈
7.1 : 미주지역 한인회협의회 제3대 회장 구한모 선출(남가주 한인회 회장)
7.21 : 애틀란타 한미부인회 발기총회, 회장 박은미
8.5 : 신한민보 발행인 김운하 「대한여자애국단사」 발행
8.15 : 뉴욕 한인회 요청으로 에드워드 카치시장 한국의 날 선포
9.16 : 대한항공 서울LA 직항 노선 첫 취항
9.18 : 제6회 한국의 날 개막, 23일 퍼레이드 그랜마샬 존 페라로LA 시의회 의장
10.26 : 박정희 대통령 시해후 조국민주회복국민회의 3백여 회원들 한국 민주화 시위 코리아타운에서 가짐
12.5 : 뉴욕 한국문화원, 뉴욕 한국센터 빌딩에서 개원식
12.28 : 산호세 한인회 창립, 회장 장기철
1980년
3. : 남가주한국학교, 정규교육기관 설립 위해 출연금 2백만불 결정
3.20 : 이철수 제1사건(차이나타운 살인사건) 항소심 승리
4.11 : LA한국문화원 개원
5.18 : 광주민주화운동
5.20 : 조국민주회복국민회의 광주사태 규탄 대책 마련
5.20 : 광주민주화운동 지원 및 데모
5.21 : LA 교포들 총영사관 앞서 광주사태 데모, 미의회 백악관 광주사태 규탄 편지 보내기 운동
5.21 : 남가주 총대학생회, 일본교포, 한인목사회 구국행진 예배
5.24 : 미적십자사LA지사 헌혈 점거 농성
6.24 : 한국일보 광주사태 화보 발행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회장 박지원 선출(뉴욕 한인회)
7.5 : 남가주호남향우회 조직, 초대 차종환 회장
8.17 : 애틀란타 한인교회협의회 창립총회, 초대회장에 박성용 목사
8.20 : 뉴욕 총영사관 교포여권 첫 발급
9.2 : 소니아 석 한인시민권자협회 창립
9.19 : 플러싱한인상인번영회, 한미상공인 첫 친선 모임. 뉴욕 경찰서에 성금 1천5백달러
10.3 : 캐리 뉴욕 주지사, 한국의 날 선포
10.4 : 남가주국민회의, 김대중선생 구명궐기대회, 위원장 김상돈
10.20 : 맨하탄 중심가 코리언 퍼레이드 10만 인파 교포 2만여명 참가
10.21 : LA 센트럴 라이온스클럽 창립총회 초대회장 김상옥[/toggle][toggle title=”1981-1990″ open=”no”]1981년
1.23 : 전두환 대통령 방미 규탄 총궐기대회 김상돈 주도
1.27 : 조국민주회복추진위원회 영빈관 앞에서 전두환 대통령 방미반대 데모
2.2 : 전두환 대통령 백악관 방문, 로날드 레건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
2. 20 : 한국일보 주최 정경화, 정명훈, 정명화 트리오 합동연주회 파사디나 시빅 오디토리엄
2.28 : 박재원 등 30명 우정의 종 미화위원회 발족
3.2 : 뉴욕한인의류협회 창립, 초대회장 이덕용
4.1 : 해외한인무역협회(OKTA) 창립, 초대회장 장우상
4.2 : 미국과 캐나다 등지서 반정부 활동해온 문재린 목사(85세)가 정부의 반정부 인사 입국 허용 방침에 따라 귀국
5.5 :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나성지역 협의회 설치 제1기 회장 문창배
5.8 : 남가주 및LA 한인회회장모임 한우회 창립, 초대회장 구한모
5.19 : 애틀란타 한국학교 개교
5.30 : 워싱턴 DC 재미대한부인회 창립, 초대회장 문종귀
6.5 : 한국 평화통일정책 자문회의 제1차 전체회의 LA 20명 참석
7. : 시카고 한인회관건립위원회(위원장 심기영) 5941 N. Lincoln Ave. 한인회관 구입
7.11 : 제1회 재미한인교포체육대회 개최(LA 고등학교 운동장)
8.5 : LA 한인사회 첫 판사 탄생, 장병조
8.22 : 올림픽 버몬트 교차로 코리아타운 표지 제막식, 톰 브레들리 시장, 김명균 한인회장 등 참석
10.5 : 뉴욕 코리언 퍼레이드 브로드웨이에서 행진, 카치시장 한복 입고 참가
10.8 : 8가 코리아타운 파출소 개소식, 박민수 총영사, 데릴 게이츠 LAPD 국장 참석
11.3 :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제1회 북과 해외동포 기독자들 만남. 조국통일을 위한 북과 해외기독자간의 대화 1차회의 개최
12.29 : 남가주 한국학원 재단이사회 발족
1982년
1.12 : 산타모니카 10번 프리웨이 입구(노르만디, 버몬트) 코리아타운 표지 현판식
2.20 : 워싱턴 DC 호남향우회 결성, 준비위원장 나연수
3.13 : 한국 문화원과 USC 공동 한미수교 100주년기념 학술세미나
5.3 : 유병현 주미대사,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 재미장학재단 설립
5.2 :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결의안선포(1882-1982년)
7.1 : 미주한인회 총연합회 새 회장 조도식(필라델피아)
7.13 : 뉴욕 순수교포지 미주매일신문 창간
7.24 : 뉴욕 맨하탄 38 W. 32nd St. #1508 주간 세계신보 창간
7.31 : 마이애미에서 미주지역 언론인 심포지엄 개최. 20명 참석
8.6 : 뉴욕 청과상, “우리는 통일교가 아니다” 데일리뉴스 앞 데모
8.15 : 뉴욕 한인회(회장 강익조) 주최 광복절기념 대합동야유회 및 체육대회 1만5천 교포 참석
8.30 : LA지역 평화통일정책 자문회의협의회 센추리호텔에서 창립총회
9.3 : 이철수 제1사건(차이나타운 살인사건) 무죄 평결
9.10 : 숭산행원스님. Cumberland 재미홍법원 본부, Providence Zen Center에서 세계평화 고승대법회 개최
10.2 : 제3차 뉴욕 코리언 퍼레이드 꽃차 21대, 카치시장 참석
12.3 : 핀랜드 헬싱키에서 제2차 조국통일을 위한 북과 해외동포 기독교 신자간의 대화 개최
12.23 : 김대중 시애틀 도착, 워싱턴DC서 정치망명 생활 시작
1983년
2.5 : 미주한인상공인단체총연합회 통합 총회 탄생, 회장 문창배 LA상공회의소 회장
3.15 : 김상돈, 문부식 김현장 구출대책위원장에 선출, 레이건 대통령에 건의문 발송
3.24 : 재미한인연합회(KAC) 발족, 초대회장 정동수
3.28 : 이철수 샌호아킨 구치소에서 석방. 10년 옥중생활 마감
4.3 : 미주한국방송(KTE) 시작, Ch 18과 장기계약
5.7 : 뉴욕 한인회 1백35만달러 회관 구입
5.31 : 칼스테이트 LA(유의영교수) 집계, LA카운티에 한인업소 4266개. 그중 69% 코리아타운에서 사업
6.1 : 제2대 민주평통 LA협의회 122위원 위촉, 회장에 이관옥 임명
6.6 : 뉴욕서 민주화 시국강연회 개최, 김대중 한완상 연설
6.23 : 북가주세탁협회 창립, 초대회장 박노경
7.5 : 김대중, 한국인권문제연구소 창설
7.13 : 1980년 인구조사, 미국내 한국인구 37만 6천명
7.16 : 가정법률상담소 남가주지부 발기총회, 올림피안호텔에서 개최, 초대소장 김신형
7.26 : LA 콜로시엄에서 한국, 멕시코, 과테말라, 미국 등 4개국팀 축구경기
8.14 : 제2회 전미주한인체육대회 뉴욕 브롱스 클린터고교서 개최
9.1 : 뉴욕발 서울행 대한여객기 북해도에서 소련기에 피격 추락. 269명 전원 사망. 미전역 한인들 소련규탄 데모
9.29 : 뉴욕한국인교향악단 창단 공연, 이대욱, 우태호, 홍혜경 출연
10.31 : 김수환 추기경 퀸즈한인천주교회 창립 10주년기념미사 참석
12.15 : 1984년LA올림픽 한국선수단 한인후원회 발족, 회장 이인원, 이사장 김기일
1984년
2. : 남가주 한국학원, 4900 Wilshire Blvd.의 건물과 부지 구입
2.1 : 뉴욕 조선일보 발행
3.19 : 워싱턴DC 한미부인회 발족, 20년만에 명칭을 한미여성재단으로 변경
4.12 : 남가주 한국학원(이사장 이정수)이 캘리포니아주 교육국으로부터 한국어를 캘리포니아 제2외국어로 채택하기로 지정받음
4.21 : 남가주 상공회의소 회원 등 10명 중국 방문, 광동교역전 참관
4.30 : 뉴욕 한인회관 현판식
6.14 : 한국기독교 선교 100주년 남가주대회 가든그로브 수정교회에서 개막, 3,500명 참석
7.1 : 미주한인회 총연합회 새회장 강익조(뉴욕)
7.18 : LA올림픽 한국선수단 범교포 환영회
7.28 : 제23회LA올림픽 개막식, LA 메모리얼 콜로시엄 140개국 7,800 선수 참가
8.1 : 뉴욕 상록회관 시 소유 타운홀 32만달러 구입
11.4 : 작고한 영화배우 필립 안 헐리웃 명성의 거리에 이름 새겨짐. 톰 브레들리 시장 필립 안의 날 선포
11.15 :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 자치기구 대표단(단장 이덕수 조선족 자치주장) LA 도착
11.22 : 김상돈, 남북정부 수뇌에 드리는 진언서 보냄. 이산가족 상봉, 민족화해 및 통일문제 제시
12. : 남가주한국학교, 캘리포니아 주정부 및 시정부로부터 정규 초등학교 설립인가 받음
12.3 : NY 김대중 귀국 강연회, 메디스 스퀘어가든서 민주회복 4개항 요구
12.13 : 세계문제연구소(소장 김일평 교수) 주최 제1차 해외한민족회의가 미국, 중국, 일본, 브라질 등 세계 12개국 49명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뉴욕에서 개막
12.17 :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조국통일을 위한 북과 해외 기독자간의 대화 제3차 회의 개최
1985년
2.5 : 남가주 한국학원 산하 LA 한국아카데미, 4900 Wilshire Blvd.에 개교. 미주 내 한인이 세운 최초의 정규학교. 이사장 김지수, 교장 Carroll Feig
2.11 : 뉴욕지역 첫 한인검사 김광호
2.14 : 도산 안창호 유품전시회(LA한국문화원) 이후 장서, 사진, 서한 등 200여점 한국 독립기념관에 기증
3.1 :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장 허담, 김상돈에게 「남북정부 수뇌에게 드리는 진언」(1984년 11월22일)에 대한 답신을 보내옴
4.13 : NY 교포은행 브로드웨이, 엠파이어 스테이트 은행과 합병
4.24 : 전두환 대통령LA 방문
4.29 : 한국계 신자 도브여사(신신자), 미보건사회부 흑인 및 소수민족 건강상담 대표(부차관보)로 임명
5.18 : 한미장학재단 서부지역 장학재단 설립, 이사장 김기순
6.5 : 제3기 민주평통LA협의회 99위원 위촉, 회장에 이관옥 임명
7.2 : 뉴욕 순복음교호 맨하탄에 대지 구입, 1천만달러 들여 2천평 규모 건축
8.15 : 하와이 호놀룰루 이승만 동상 제막식
9.27 : 뉴욕 청과상조회 주최 추석맞이 잔치에 3만 인파, 민속놀이 망향제 등 개최
10.21 : 미국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창립, 초대회장 윤성환
11.19 : 중국 연변조선족 가무단(단장 김희관 문화극장) 미주 순회공연
12.25 : 뉴욕 한인회, 「사반세기 뉴욕 한인회」 발간
1986년
1.11 : 재미 모국상품 구매사절단(단장 조병창) 귀국, 목표액 1억2천만달러 구매 상담
2.10 : 조국통일 북미주협회 결성LA대표 양은식
2.17 : 뉴욕지구 한인변호사협회 발족, 회장 손창모, 17명 변호사
3.24 : LA중앙은행 개점, 자본금 420만달러
4.3 : 재미한인연합감리교회 전국연합회 한국민주화족구 성명서
4.8 : 뉴욕, 시카고 한인사회 개헌서명 운동, 교포 5천명 서명
4.30 : 민주화운동 주도 김상돈 별세
5.15 : 최은희, 신상옥 북한 탈출 후 워싱턴DC서 기자회견
7.7 : 유에스 뉴스 앤드 리포트지, 자유여신상 건립 100주년 특집기사에서 실리콘벨리에 컴퓨터회사 억만장자 황규빈 소개
11.6 : 로날드 레이건 대통령 서명, 개정이민법 발효
11.8 : 소니아 석 여사 주선으로 디즈니랜드 스몰월드에 한국인형 설치하고 한국의 날 행사 및 5개 무대서 민속 공연
1987년
1.30 : 민주통일운동 탄압저지대책위원회 (회장 김완흠) 주최 박종철 추모식 및 고문정권 규탄 궐기대회
4.1 : 대한항공, 샌프란시스코 서울 부정기 운항, 1994년 10월부터 정기노선 운항
5.22 : 한인들 미드윌셔 Texaco 빌딩 공동 구입, 총 1,350만 달러(하기환, 장재민, 오인동)
5.29 : 웨스트포인트(미육사) 한인계 6명 졸업
7.22 : 한인사회 한국 수재의연금 30만달러 모금
8.18 : 광복절 대야유회 뉴욕 교포 5천명 참가
8.28 : 서울 올림픽 뉴욕후원회 회장 최재홍 선출
9.15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LA 코리아타운 방문
10.1 : 샌프란시스코 한인회관 구입(745 Buchanan St.)
12.11 : 연방하원 21지구 공화당후보 서상록후원회 구성
1988년
2. : 한국계 3세 웬디 리 그램, 연방정부 선물교역위원장(장관급)에 임명
4.7 : 김수환 추기경, LA사목 20주년 경축미사 집전
5.7 : 애틀란타 한인타운번영회 출범, 초대회장 홍재경
6.30 : LA 한국노인회 회관 개관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새 회장 임용근 선출(오레곤 한인회)
7.25 : 미주이산가족 재회 위한 공동성명운동
8.1 : 서울올림픽 재미동포 자원봉사자 160명LA총영사관저에서 발대식, 8월3일 선수촌 입소, 선수 통역요원 활동, 후원회장 이민휘, 자원봉사위원장 김지수
8.10 : 미주청년 조국통일협의회 발족, 대표 육대성
8.13 : 워싱턴DC한인회관 개관식, 한인회장 신필영씨
9.10 : 워싱턴DC 한국학교 통합, 워싱턴 통합학국학교로 발전
9.17 : 제24회 서울 올림픽 개막, 160개국 1만3천 선수 참가
10.17 : 노태우 대통령LA 방문
10.22 : LA 총영사관 윌셔가 (3243 Wilshire Blvd.)로 이전
11.11 : 5차에 걸친 금강산 관광 및 북한 산업 사찰단 모집, 전금여행사 주관
12.9 : 한국일보 민병용 특파원 분단이후 미주에서 처음 북한 취재
1989년
2.1 : AM 라디오 방송 「라디오코리아」(대표 이장희) 개국
2.6 : LA 윌튼 플레이스 초등학교 교장에 그레이스 윤 발령
3.4 : 재미주체사상연구회 주최 선한사마리아장로교회에서 제1회 주체사상연구발표회
3.18 : LA 한인상공회의소(회장 이영송) 미주동포실업인 14명 평양 방문
3.24 : 제3회 Korean American Student Conference(KASCON)개최, 죠지타운 대학에 6백명 대학생 참가
4.10 : 가주한인정신건강후원회 창립, 회장 이재수
6.22 : 롱비치 메모리얼 병원 심장전문의 정동규박사 평양 방문후 「3일의 약속」 출간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새 회장 차동섭 선출(남부 뉴저지)
7.5 : 관음사 (주지 김도안 스님) 주최 세계종교지도자 초청 간담회 달라이 라마 승정 참석
7.25 : 재미 동포 신자 도브 여사, 연방 저작권 특허중재위원회 위원장에 임명
8.2 : 미정부, 재미동포의 고향방문 가족상봉 등 인도적 차원의 단체 방북 허용
9.1 : 꿈나무상, 페스타로찌 상 제정(한미교육연구원 차종환)
10.17 : 샌프란시스코 진도 7.2 지진 한인교회 파손
11.9 : 동서분단 상징 베를린 장벽 붕괴
11.29 : 재미남가주이북도민회 연합회 창립, 초대회장 박영창 목사
1990년
1.18 : 뉴욕 한인청과상 레드애플 앞 흑인들 불매운동 시작
1.22 : 미주이민 사상 처음으로 하와이주 대법원 판사 한인 3세 로날드 문(문대양) 임명
1.30 : 한인 여대생 도진미 UC 평의회 이사 피선
2.13 : 미국, 일본 등 범민족대회 해외대표 4백여명 및 북측대표 등 백두산 천지에서 조국통일 대행진 발대식 가짐
3.9 : 북한돕기 사랑의 싹 나누기 LA 캠패인
4.10 : LA카운티 다이아몬드 바 시의원 선거에서 김창준 당선, 캘리포니아 첫번째 시의원은 초기이민 2세인 알프레드 송. 1960년 몬터레이파크 시의원. 1962년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 1966년 캘리포니아주 상원의원
4.17 : 경찰의 과잉방어로 숨진 이홍표군 유가족에 99만달러 보상
4.30 : 한국일보 민병용 특파원 2차 북한 방문기 「다시 찾은 평양」시리즈 연재
5.22 : 뉴욕 한인청과상 사태 악화 300여명 격렬 시위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새 회장 박선근 선출(애틀란타 한인회)
7.1 : 제5대 민주평통LA협의회 120위원 위촉, 회장에 안응균 임명
7.6 : 이산가족위원회(대표 홍동근), 북의 혈육찾기 운동
8.3 : 제1회 해외문학 심포지엄 개막. 미주 및 본국 문인 180명 참석
9.1 : 나성영락교회 김계용 목사 북한서 사망. 3일장후 북한에 안장
10.4 : 한흑갈등 해결 상설기구 발족. 한미식품상협회와 가주 흑인상임협회 20명 구성
11.3 : 한국 수재의연금 23만달러 보냄
12.1 : 1980-1989년 역이민 한인 모두 2만6천여명(외교백과 발표)
12.1 : 프로골퍼 펄 신양, 유럽골프협회 「올해의 신인상」선정
12.3 : 범민련 재미본부 결성, 대표 양은식[/toggle][toggle title=”1991-” open=”no”]1991년
1.28 : LA 관음사에서 미전국 25개 주지스님 모여 한민족 불교 교류 추진, 미주불교협의회 창립, 초대회장 김도안 스님
1.31 : 한국정부, 남가주한국학교 설립 지원금 54만달러 전달
2. : 재미동포 이규종, 송영두, 이상훈 박사 2명 무궁화호 통신위성사업 위해 귀국
3.3 : 로드니 킹 구타사건 발생. 백인경찰 흑인 킹 구타장면 비디오로 미국 주요 TV 매체 공개
3.14 : 로스앤젤레스에서 한반도평화통일 주제 남북교회, 학자, 심포지엄
3.16 : 엠파이어 마켓 두순자 마켓에서 15세 흑인소녀 나타사 할린즈양 쏘아 사망
6.3 : 강동석, 요트로 태평양 단독 횡단
6.4 : 존스마켓 업주 박태삼 흑인강도 사살
6.13 : 새한은행 출범. 행장 정원훈 자산 550만달러
7.2 : 미국방문 노태우 대통령 부시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
8.12 : 41년간 생사 몰랐던 북한의 장남 생존 소식 듣고 의식잃은 이행옥 할머니 별세. 북한 장남 강대용LA 도착.
8.17 : 흑인 피살 관련 한인마켓 두곳 방화. 두순자의 엠파이어 마켓과 박태삼의 존스마켓
10.2 : 국민회관(1368 Jefferson Blvd.) 건물LA시 역사기념물 548호 지정
10.17 : 본국 코리아나 호텔, 윌셔 하이아트 호텔 매입
10.29 : 남과 북 해외불교지도자대회LA 관음사에서 개최, 남과 북 해외 불교 통일기원 합동법회 개최
11.5 : 마사 최씨, 시애틀 시의원선거에서 최다득표 당선
11.15 : 아시아나 항공LA 서울노선 첫 취항
1992년
1.27 : 워싱턴 DC 통일운동가들 조국통일 워싱턴연합 결성, 의장 강은홍
2.1 : 라디오한국 개국 AM 1300으로
2.12 : 한국에서 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 창립총회(평불협), 회장 송월주 스님, 부회장 신법타 스님
3.24 : 한국 14대 국회의원 선거, 미주 출신 박지원, 조순승, 노승우 당선
4.29 : 4.29 폭동. 로드니 킹 구타 사건 재판결과 구속된 4명의 백인경찰중 3명이 하오 3시30분 무죄 석방되면서 흑인들 곳곳서 항의 시위. 하오 5시 사우스LA 플로렌스와 놀만디 교차점의 탐스리커에 대한 약탈행위 시작, 본격적인 흑인폭동으로 비화. 무법천지 사우스센트럭 지역 한인업소들 피해 극심. 하오 8시45분, LA시 비상사태 선포, 하오 9시30분 이후, 폭도들 코리아타운으로 북상. 한인타운 업주들, 청년단 비롯한 자원봉사자 자경대 조직
4.30 : 0시 기해 캘리포니아주 전역에 비상사태 선포, 폭동지역 일몰부터 일출까지 통행금지 실시. 상오 10시부터 코리아타운 약탈 본격적, 하오 2시께 완전히 무법지대화, 흑인 폭도에히스패닉 가세, 하루종일 방화약탈 계속, 하오 4시 주방위군 코리아타운 투입. 한인업주들, 자경대 조직 무장 자체경비. 하오 11시15분, 경비지원하러 나왔던 한인 대학생 이재성군 유탄에 피격 사망. 차에 동승했던 제임스 강군 부상
5.1 : LA시 통금 실시. 산발적 약탈 계속. 한국일보 중심 코리아타운 비상구호대책본부 설치. LA총영사관과 20여단체들 연대 범교포 4.29폭동 비상대책 임시본부 구성
5.1 : 폭동진압 주방위군 3가와 버몬트가 배치
5.1 : 애틀란타 흑인학생 시위. 한인 점포 피해 30만달러
5.2 : 아드모어공원에서 평화대행진. 10만인파
5.2 : 한인피해업소 2.300개, 재산피해 3억달러, 부상 46명
5.3 : 폭동 피해자 구제 KAFS 봉사활동 개시
5.4 : 김대중 한국 민주당 대표 폭동 피해지역 방문
5.7 : 부시 대통령, 코리아타운 방문, 한인들과 간담회. 총 6억달러 규모의 연방정부의 복지원책 제시
5.7 : 부시 대통령 Radio Korea방문 폭동보도 치하
5.12 : 코리아타운 비상구호대책본부. 피해자 가구당 500달러 지급
7.11 : 전세계 한인 호응 폭동피해 성금 총액 1100만 달러
8.18 : 한미은행, 글로발은행 인수 합병
9.10 : 남가주한국학원 산하 Melrose Middle High School, 5120 Melrose Ave., LA에 개교, 이사장 김동재, 교장 Abe Mauer
9.12 : 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평불협) 미주본부 결성, 회장 이용운 스님
9.19 : 제19회 한국의 날 퍼레이드 그랜드 마살에 황영조 선수
10.8 : 한인언론인 이경원 언론부문 존 앤슨 포드상, 칼스테이트LA 유의영교수, UC리버사이드 장태한 교수 교육부문 존 앤슨 포드상 수상
10.25 : 대한항공 남미 첫 취항
11.4 : 김창준 연방 하원의원 당선, 임용근 오레곤주 상원의원 당선, 신호범 워싱턴주 하원의원 당선, 재키 영 하와이주 하원의원 당선, 정호영 가든그로브 시의원 당선
12.9 : 아시아나항공 샌프란시스코 서울노선 취항
12.18 : 한국 제14대 대통령 민자당 김영삼 당선
1993년
1.5 : 김창준 연방 하원의원 선서
1.13 : 하와이이민 90주년 기념 개막식 행사, 위원장 도날드 김(김창원)
1.14 : 이민사진전시회(호놀룰루 시청)
1.21 : 한국일보 최재웅 편집위원 「올드타이머」 출간, 각계 100명 인터뷰 수록
2. : LA 새 총영사 김항경
2.25 : 한국 제14대 김영삼 대통령 취임식
3. : 김진경 박사 중국에 연변과학기술대학 설립
3.3 : 신한민보 발행인 김운하, 미정부의 정식허가 받아 북한서적 3만권 수입
3.20 : 흑인강도 사살로 4.29폭동 전후 흑인들의 공격 타켓되었던 존스마켓 박태삼, 아메리칸 드림 접고 영구 귀국
3.31 : 하와이주 대법원 판사 로날드 문 하와이주 대법원장에 임명
5.19 : 시카고 한인타운 로렌스 거리를 Seoul Drive로 명명하는 현판식
6.13 : 북가주 한미식품상협회 조직, 초대회장 최재권
6.14 : 한미구호기금재단 이사회, 폭동피해자 돕기 및 폭동 관련자료 보존 위한 커뮤니티 센터 구입 결의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새 회장 신필영 선출(워싱턴DC)
7.20 : 연방대배심원 김창준 연방하원의원 선거법 위반 조사
8.3 : 코리아소사이어티, 한국학연구기관, 학자, 서적 소개를 위한 한국학 안내서 발간
9.3 : 제6대 민주평통LA협의회 143위원 위촉, 회장에 이청광 임명
9.7 : 리오단LA시장 한인커미셔너 9명 임명
10.22 : 미국내 한국 유학생 4만 2625명, 한국 외무부 발표
11.2 : 하워드 권, 세리토스 ABC교육위원 최다 득표 당선
12.15 : 하와이 이민 90주년 기념사업회 (위원장 김창원) 「그들의 발자취」 (Their Footsteps) 초기이민 화보집 발간
1994년
1.8 : 제1회 한미정치인 컨퍼런스 개최. 미주류정계서 활약중인 9명 민선공직자 참가
1.10 : 미주 이중국적추진위원회 결성 대표 차종환
1.11 : 박찬호LA다저스 입단. 계약금 120만달러
1.14 : 강동석 단독 요트 세계일주 도전 출항
1.17 : 노스리지 강진 발생. 이필순, 하워드 리 등 한인 3명 포함 61명 사망. 지진피해자 위한 구제 활동
2.3 : LA시 제퍼슨과 벤 뉴렌이 만나는 곳 도산광장(Dosan Square)으로 명명. 코리아타운 로타리클럽 주선으로 1989년 국민회관을 서적지로 그리고 1991년에는 문화제 사적지로 지정 받았음
2.4 : 도산, 코리안 아메리칸 국제학술회의, 주최 도산기념사업재단
2.10 : 민주평통 주최, 통일포름 감사 케네스 퀴노네스 박사
3.3 : LA 한인회장 장성길 단독 입후보 당선
3.7 : 박찬호, 뉴욕 메츠와 시범경기에 첫 등판. 이언론 대서특필
4.3 : 애국지사 서재필 박사와 전명운의사 유해 한국 국립묘지 이장
4.8 : 박찬호 다저스 스타디움에 첫 등판
5.11 : 한인 코메디언 마가렛 조 ABC-TV에 파격 데뷰
7.8 : 북한 김일성 주석 사망
8.22 : LA지역 교민단체장 간담회에서 교민청설립추진위원회 결성 (위원장 이영송)
9.10 : 워싱턴 한인회 「워싱턴 한인사(1883-1993)」발행
9.22 : 대한항공, 애틀란타 서울 취항
9.27 : 미국내 한인소유 세탁소 1만1천5백개 미주 세탁협회 집계
10.19 : 한인 폭동피해 리커업주 5명, 재건 규게LA시 정부 상대 민사소송서 승리
10.28 : 미주통일전국협회(NAKA) 창립총회, 초대회장 이승만 목사
1995년
1.17 : 남가주 한인사회 일본 고베지진 패해 동포돕기 모금운동. 2만4천달러 보냄
1.18 : 미주한인 본국 송금 1994년의 총액은 16억7천만달러
2.14 : 페코 스틸 대표 백영중, 미기업 대표단 일원으로 북한 방문
3.2 : 평불협 새 회장에 김도안 스님 선출
3.4 : 북한대표LA 도착, 이종혁 아태평화위 부위원장 등 「북한바로알리기미국센터」초청
3.19 : 한인 1.5세 이창래 소설 「Native Speaker」미 주류문단에서 호평
4. : LA 새 총영사 박태희
4.18 : 「3일의 약속」 저자 정동규, 영문판 판매 수익금 43만8천달러 한국전 참전 기념물 건립에 기탁
4.29 : 미 워싱턴 DC에서 북미주 조국통일동포회의 결성
5.10 : SAT II 한국어 채택위원회 노력으로 1997년부터 한국어 공식과목 채택
6. : SAT II 한국어진흥재단 발족, 이사장 정채환
6.27 : 한국 지방자치제 선거 재미동포 출신 2명 도지사 당선 전북 유종근(전 뉴저지 주립대 교수)와 경남 김혁규(전 뉴욕 한인회장)
6.27 : LA 시의회 코리아타운 준경찰서 설립계획 결정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새 회장 이민휘 선출(LA)
7.1 : 제7기 민주평통LA협의회 220위원 위촉, 회장에 이청광 임명
7.23 : 김영삼 대통령 방미,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방문, 26일 미연방의회 양원 합동회의 연설, 27일 한미정상회담
8.5: 한국에로 역이주 현 남가주지역 동포들 서울에서 「LA를 사랑하는 사람의 모임」 만듬
8.7 : 한반도통일연구회LA에서 발족 및 국제세미나 개최
8.9 : 미국내 독립유공자 27명 한국정부 훈장 수여, 박용만 대통령장 추서
8.16 : 미주 평불협 주최 조국통일학술회의LA 개최
9.1 : ’95 세계한인상공인대회 개막, 서울 힐튼호텔
10.31 : 호놀룰루에서 미주 한민족 시비 제막식 및 한국 시인의 밤
12.5 : 애틀란타 한인회관 구입
1996년
1. : 미전국에서 이중국적 허용 서명운동 전개, 각 지역 한인회 및 한국인권문제연구소 주동
2.1 : 제22대LA한인회장 조인하 단독출마 무투표 당선
2.3 : 피오피코 코리아타운도서관 7가와 옥스포드 새 건물 이전 개관식
2.7 : 식량난 심각한 북한주민 위한 「생명의 쌀 보내기」운동, 미주 교계 중심으로 확산
3.12 : 한인 하이텍 기업 자일랜(스티브 김) 뉴욕 나스닥 증시 상장
4.11 : 한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재미한인 6명 당선, 노승우(동대문 갑), 유재건(성북 갑), 김경재(전남 순천), 김충일(중량 을), 김한길(전국구), 조웅규(전국구)
4.17 : 분단사상 첫 남북대학생 대표 만남. 제5차 코리아 평화통일 심퍼지엄 서울대 이재성, 김일성대 권호응 샌프란시스코서 첫 대면
4.18 : 재미경제인협회 (회장 존 김) 주선 북한 나진 선봉 투자 희망자 32명 방문
4.20 : 워싱턴 DC최재창 박사, 「한미의학사」발행
5.25 : 한국 혼성 4인조 룰라 슈라인오디터리움 공연, 수익금 백혈병 앓는 입양아 김성덕(공군사관학교 재학) 돕기 기증
6.26 : LA민족교육관 (LA한국교육원) 건립추진위원회 발족, 공동위원장 김지수 한국학교 이사장
6.27 : 나진 선봉 경제특구 한인 2차 방문, 재미 고려상공인연합회(회장 정무)와 전금여행사(대표 김충자) 주선
7.8 : 한인회장 소니아 석 여사 사망, 한인사회장 거행
7.19 : 제26회 하계올림픽대회 개막, 북한선수 참가, 애틀란타 한인회에서 환영회
8.5 : 애틀란타 올림픽 폐막식, 한국 금 7, 은 15개, 동 27개
9.24 : 미 해군정보국 근무 로버트 김 정보유출 혐의로 구속, 간첩음모죄로 9년형
9.30 : 이민법 개정안 연방의회 통과
10.1 : 요트 세계일주 성공 강동석 호놀룰루 도착
10.4 : 김정실 LA민족교육관건립기금 1백만달러 건립추진위 기부
11.5 : 김창준 연방하원의원 3선 당선, 정호영 가든그로브시 시의원 재선
12.9 : 연방인구조사국, 1992년 현재 미전국 한인업체 9만9180개로 집계, 40%(3만 9531개)가 캘리포니아 소재
1997년
1.31 : 1996년 한해 미주한인들 북한돕기 성금 물품 등 총 180만달러.
북미의료선교회, 유엔세계식량기구, 유진재벌재단, 세계선명회 등 북한돕기 주도 4개단체 발표
3.5 : 한국 국회부의장 역임 황성수 목사(LA충현장로교회) 별세
4.10 :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LA본부(상임대표 박희민 목사), 남가주 기독교교회협의회(회장 김사무엘 목사) 공동으로 북한에 옥수수 1천톤(20만달러) 보내기운동 전개
4.19 : 북한에 옥수수보내기 가두모금 운동, 30여만달러 전달
5.18 : 우리민족 서로돕기운동 LA본부 대표단(양현승, 김도안, 김명균) 북한방문 옥수수 1천톤 전달
5.30 : 글렌데일 시청앞 참전기념비 제막식, 한국전 등 남가주 출신 군인들 추모
7.1 : 제8기 민주평통 LA협의회 213위원 위촉, 회장에 이영송 임명
7.31 : LA다저스「코리안특급」 박찬호 10승 고지 점령
8.6 : 서울발 KAL기 괌 국제공항 추락, 남가주 한인 티파니 강양(8세) 등 참변
8.12 : 평불협 미주본부 김도안 스님, 북한방문 조선불교도연맹 박태호 위원장과 국수공장 설립 합의
9.25 : 북미기독의료선교회(회장 박세옥UC데이비스 교수) 소속 의료팀 4명 북한 초청 받아 평양 제3병원서 의술 제공
12.3 : 외환 위기 한국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 신청
12.18 : 김대중 대통령 제15대 대통령 당선
1998년
1.12 : 제24대 LA한인회장 선거 서영석 무투표 당선
1.13 : 나라은행(은행장 벤자민 홍) 나스닥에 상장, 한인금융기관으로 최초
1.22 : 건국 50년 기념 한국 전통예술 음악극「우뢰」 윌셔이벨극장 공연
2.15 : 한국 김대중 제15대 대통령 취임. 헌정 50년만에 첫 여야 정권 평화적 교체
3.8 : 선거법 위반혐의 김창준 연방 하원의원 유죄 가택연금 2개월
3.8 : 바이얼리니스트 사라 장(16세) 연주회. LA뮤직센터
4.1 : 미주주부클럽연합회 주최 고급 경제살리기 1일 식당
4.21 : LA 깡통 장학금 이주영 할머니(87세) 전재산 10억 달러 상당의 토지 한국 불우청소년 장학기금으로 기부
4.25 : 북한동포돕기 금식의 날 행사
4.25 : 박태희 LA총영사 귀국. 5월6일 민형기 새 총영사 부임
5.5 : 기독복지의료재단(대표 박세옥 UC 데이비스 교수) 대표단 북한 나진 선봉 경제특구 방문. 한국일보 미주본사 정숙희기자 등 동행 취재
5.8 : 쌍둥이 자매 살해사건 관련 오렌지카운티 수피리어 법원 지나 한 (24세)에 26년에서 최고 종신형 선고
5.17 : 프로골퍼 박세리, 98 맥도날드 LPGA챔피언쉽 대회 우승
5.19 : 한인 최초로 임용근씨(오레건주 상원의원), 연방상원 공화당 후보로 본선 지출. 11월 본선 패배
6.7 : 김대중 대통령 미국 방문. 뉴욕 리셉션에 동포인사 450명 참석
6.8 : 미 국무부 이광덕 목사 북한 억류 확인
6.12 : 김대중 대통령 LA방문, 동포초청 리셉션
6.20 : 남가주한인원로음악인회 창립, 초대회장 이유선
7.6 : 프로골퍼 박세리「제53회 US 여자 오픈」 우승, US 여자 오픈 사상 최연소 우승 기록
7.12 : 박세리 LPGA 제이미파 크로커 클랙식 골프대회 우승. 자이언트 이글대회도 석권. LPGA 4관왕이 되고 LPGA 신인상, AP통신 선정「올해의 최우수 여자선수」등 명예
7.20 : 하드리커로 분류되던 소주「비어 & 와인」 분류 법안에, 피트 윌슨 주지사 서명. 1999년 1월1일부터「비어 & 와인」 라이센스 소지 업소들 소주 판매 가능
8.13 : LA 다저스 박찬호, 한국 수재민돕기 성금 1억원 민형기 LA총영사에 전달
8.16 : US 여자아마추어 골프대회서 박지은 우승
8.25 : 북한 억류 3개월만에 이광덕 목사 석방
8.30 : 남가주 골퍼 펄 신, LPGA 「스테이트 팜 레일 클레식 토너먼트」 챔피언
9.11 : 정부수립50주년기념뮤지컬「명성황후」LA 공연
9.25 : 「눈물 젖은 두만강」의 원로가수 김정구씨 산타클라라 자택에서 82세로 별세
9.30 : 톰 브레들리 전 LA시장 별세
10.9 : 연방 하원의원 윤리위원회 김창준의원 불법선거자금 조사 종결, 모두 6개항의 연방선거법, 하원 원리 규칙위반 했다고 발표
10.24 : 고홍주 예일대 교수 국무부 인권담당 차관보 임명
11.3 : 미국 중간선거. 워싱턴주 신호범(주상원), 남가주 최석호(어바인 교육구교육의원), 도나 김(호놀룰루 시의원) 당선
11.6 : 제1회 올드타이머 대회(대회장 김시면) 개최
11.18 : 남북분단이후 처음 한국민들 금강산 관광길 열림. 4박5일 일정 이산가족 등 1000명 역사적 출항. 한국일보 미주본사 권기준기자 동승 취재
12.8 : 한국정부 재외동포특례법안 국무회의 통과
12.29 : 피트 윌슨 주지사, 마크 김 LA카운티 검사를 LA뉴니시펄 법원판사로 임명
1999년
1.12 : 코리아타운 교민회 통합
1.26 : LA한인회관 벽면에 고구려 고분벽화 제막식
2.3 : 사우스센추럴 리커마켓 여주인 홍정복 피살, 11일 흑인 주민장 거행
2.13 : 유타주 솔트레이크 시티「US 피겨스케이팅 챔피언쉽 대회」서 남가주 한인소녀 나오미 남양 은메달 차지
3.12 : 「SAT II 한국어 진흥재단 한국후원회」서울 흥사단 강당서 발대식
3.12 : 오렌지카운티 최대 한인 샤핑몰「코리아 플라자」 개업식
3.18 : LA카운티 세리프국 동양인 수사과 발족식, 수사관 24명 배치
4.10 : 남가주 사랑의 교회(담임 오정현 목사) 1,300만 달러의 아시안 최대 교회 건물 완공
4.12 : 한인 2세 대니얼 노 등 사진부문 풀리처상 수상
4.13 : 제1회 미주지역 차세대 평통 컨퍼런스. 미국, 캐나다, 남미 거주 45세 이하 평통위원 50여명 참석
4.29 : 미 YMCA 전국본부, 워싱턴DC 인종화합의 날 전국대회 고 홍정복에「인종화합 공로상」 수여
6.18 : 남가주 한국학원 Melrose Middle High School 재정난으로 폐교
6.24 : 리버사이드 도산기념사업회 결성. 회장 홍명기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새 회장 김길남 선출(시카고)
7.4 : 김대중 대통령 필라델피아시 자유의 메달상 수상
7.7 : 유학생 윤원준 인디애나 불루밍턴에서 인종 증오 총격사건으로 희생
7.10 : LA에서 제10회 전미주 체전 개막
7.26 : 민족교육관(680 Wilshire Place) 교포 성금과 한국정부 지원금으로 건물 구입
7.30 : LA 상공회의소와 타운교민회 소송사태 해결, 한국의 날 행사 축제재단에서 주최하기로 결정
8.12 : 재외동포특례법 한국 국회 통과
9. : LA 새 총영사 김명배
9.9 : 제9기 민주평통 LA협의회 273위원 위촉, 회장에 최계옥 임명
9.10 :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 범교포환영대회, 윌셔그랜드호텔
9.15 : 한인 2세 마사 최(시애틀 시의원), 워싱턴주 지역무역경제개발부 장관에 임명
10.8 : 제17회 오렌지카운티 한인축제 개막
10.8 : 전세계 한인상권을 하나로 연결하는 1999 해외 한민족경제공동체 대회를 시카고 오헤어 호텔에서 개최
11.10 : 일본회사에서 인종차별 자살한 이명섭 장례식. 고 이명섭 사건대책위원회(위원장 양현승) 투쟁 시작
12.3 : 한국정부,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재외동포법) 시행
12.15 : 뉴욕 스페이스 월드, 새 천년의 충격 전시회, 백남준 특별전· 31인의 그룹전
2000년
1.14 : 김명배 LA 총영사, 남가주 한국학원 재정난 타개를 위한 새 이사진 구성
1.31 : 영부인 이희호 여사 USC 국제사회봉사상 수상
2.4 : 한국인권문제연구소, 재외동포특례법 축하의 밤 행사
2.12 : 제25대 LA한인회장 하기환 당선
3.31 : 피플뉴스사 주최 초기이민 사진전시회, 주제「미주 초기이민의 얼굴들」 장소 피오피코 코리아타운 도서관
4.22 : 테하치피에 도봉산 태고사 창건, 주지 무량 스님
4.27 : 애틀란타 한인회 한인이민사편집위원회 발족, 편찬위원장 이승남
5.1 : 멤피스한인사 발간. 편찬위원장 장익환
6.13 : 김대중 대통령 북한 방문
6.15 : 남북정상 6.15 선언 발표
6.15 : 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기년사업회 LA 발족, 실행위원장 서동성, 사무총장 민병용
6.15 : 평양에서 남북공동선언문 채택
6.17 : 피오피코 코리아타운 도서관장 미키 림 임명
6.24 : 이승만 목사 미국장로교 총회장 선출
7.7 : 여성 로비스트 린다 김 한국에서 구속
7.10 : 남가주 한국학교 위한 기금모금 음악회
7.10 : 주미대사 양성철 임명
7.26 : 제1회 세계 한민족문학인대회 LA에서 전세계 한글작가 235명 참가
8.3 : 도산 안창호 동상 기공식, 리버사이드 시청앞
8.9 : 클린턴 대통령, 마사 최 워싱턴주 무역경제개발국 커뮤니티 국장을 아시안 태평양계 자문위원회 의장 임명
8.9 : 한인 입양아 출신 코트니 선주 류 민주당 전국위원회 아태계 위원장 임명
8.15 : 6.15 공동선언 성취를 위한 8.15 미주동포통일대회
8.18 : 1.5세 5개 봉사단체 한인타운에 공동건물 마련. 가격 2백20만달러 (KOA 빌딩)
12.4 : 한인 2세 헨리 김씨 하와이시 시장 취임식
12.14 : 코레암저널 한인 5명에 개척자상: 오순택, 이경원, 세미 리, 알프레드 송, 안수산
12.27 : 남가주사원연합회 새 회장 김도안 스님(관음사), 미국서부불교승가회 새 회장 현일 스님(범왕사) 선출
12.31 : 남가주 한국학원 돕기 성금 2백28만달러 모금
2001년
1.8 : 워싱턴주 신호범 주상원의원 부의장에 당선
1.21 : 진교륜 전국한미공화당협회 공동회장, 전국 아시안 공화당 협회장
1.26 : 덴버 독립운동 시작 및 탄광사고 조사, 100주년 기념사업회 서동성 위원장 참가
2.9 : LA 새 총영사에 성정경
2.16 : 미국 센서스국, LA카운티내 한인업체 3만7천8백57개 발표
2.23 : 하와이에서 미주 각지역 한인이민100주년기념사업회 전국 실무자 회의
3.1 : 중가주 리들리 박물관에 한국민족관 설치
3.23 : 미주한인이민100주년 기념사업회 주최「사진으로 보는 미주 이민100년」전시회, 장소 현대 화랑(민병용 사무총장 주관)
4.1 : 꿈나무장학금으로 13만달러 차종환 박사 가족이 기탁
4.11 : 존 유 UC버클리 교수 미법무부 법률담당 부차관보에 전신애 노동부 여성국장 임명
4.16 : 피오피코 코리아타운 도서관 확장 기공식
6.23 : 윌튼 플레이스 초등학교에 메리 리 손 교육관 명명식
6. : LA시 검찰청 커뮤니티 봉사 책임자 단 유, LA 부시장에 임명
7.1 :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새 회장 (19대) 이오영(필라델피아) 선출
7.2 : 제임스 한 로스앤젤레스 시장 취임
7.20 : 유니버살 발레단(단장 줄리아 문), 뮤직센터에서 심청과 라바야데어 공연
7.27 : 한인입양아 입양부모회 연례회의 워싱턴주 시애틀서 개최
8.10 : 도산사상 심포지엄. 도산사진전시회 옥스포드 호텔
8.11 : 남가주 리버사이드 시청광장 도산 안창호 동상 제막식, 리버사이드 도산기념사업회 (회장 홍명기) 건립
8.18 : 미주한국학교연합회(회장 금재연) 제10회 한국어 교사연수회
8.24 : 제10기 민주평통 LA협의회 285위원 위촉, 회장에 홍명기 임명
8.24 : 조지 부시 대통령, 미셀 박 스틸, 이준구, 박선근 등 한인 3명 백악관 아시아 태평양 자문위원 임명
8.24 : 캘리포니아 그레이 데이비스 주지사 떡 상온 보관과 판매허용 법안 (A13187) 서명
9.6 : 코리아타운 갤러리아 오픈
9.11 : 뉴욕 월드 트레이드 센터 2개 건물 테러로 붕괴, 약 3000명 사상, 한인희생자 18명
9.11 : 뉴욕 테러 참사에 시카고 지역 동포들 헌혈 운동 및 20만달러 모금
10.11 : 한국의 날 축제재단 미 테러참사 희생자 위한 추모행진(웨스턴과 올림픽)
10.29 : 한미범죄인도 조약에 따라 한국 도피중인 강현구 미국 인도
11.8 : 한인사회 성금 127만달러 9.11 테러희생자를 위해 LA적십자사에 전달
11.9 : 세계한인무역인협회(회장 김진형) LA에서 한민족 경제공동체 대회
11.11 : 홍동근 목사 평양에서 서거. 애국열사능에 안장
11.27 : LA에서 미주이민 100주년기념사업회 전국대회 총회장 김창원, 전국 사무총장 민병용
11.28 : 북가주 양진석 코테마데라시 시장에 선출
11.29 : 헌법재판소, 재외동포특례법 차별 조항(중국, 옛 소련) 위헌 판결. 2003년 12월31일까지 내용 개정되지 않으면 자동 폐기
12.3 : LA에서 재외동포법개정대책위원회 결성, 공동위원장 차종환, 하기환
12.10 : 샌프란시스코 이종문, 200만달러 장학재단 설립
12.11 : 뉴욕 WB 11 TV 에서 한인 개고기 식용 왜곡 방송에 항의
12.11 : 최석호 어바인 교육위원장 당선
12.21 : 오렌지 카운티 유니티은행 오픈. 행장 임봉기
2002년
1.18 : 미주한인이민100주년LA기념사업회는 남가주기념사업회로 명칭을 바꾸고 대표회장에 윤병욱, 공동회장에 서동성, 토마스 정 선출
1.19 : 가든 그로브 블러바드를 한인 상가지역으로 지정
1.22 : 폴 김 서장, LAPD 서부지역국 커맨더(부국장)에 임명
2.9 : 대한민국 국군 창군 원로 연정 별세
2.15 : 한인 가전업체 헐리트론(대표 임철호) 파산 신청
2.15 : 제17대 오렌지카운티 한인회장 이양구 당선공고
2.15 : LA한인시민권자협회, 유승준 입국거부 부당 LA총영사관 전달
2.21 : LA 한국교육원(민족교육관) 건물 개축완료 개원, 원장 이종석 총영사관 교육관, 이사장 백기덕
2.25 : 미국내 한국유학생 45685명(미국교육연구소 집계)
3.4 : 2000년 미주 한인인구 107만6천명. 한인 혼혈아 등 모두 123만명(센서스국)
3.9 : 미국적십자사 올해의 봉사상 양현승 수상
3.9 : LA 아씨마켓 노조 설립 찬반 투표
3.18 : 어머니와 여동생 살해 염승철군 40년형 선고
3.24 : 한국 도산기념사업회 국민회관 복원 참여 결정
3.25 : 백악관, 강영우 교수 전국 장애인위원 임명, 진교륜 평화봉사단 기획관리실장 임명
3.28 : 올림픽가 김방아간에 남용 기명한 기념실 개관
4.1 : LA 미래은행 오픈
4.3 : 한인 2세 박진이, 피플지 편집장에 발탁
4.5 : 재미한국영화인협회 강문 회장 취임
4.8 : 한국문화센터(회장 이광덕 목사) 창립 30주년 기념행사
4.11 : 제26대 LA한인회 회장 하기환 재당선
4.19 : 오렌지카운티 한인축제 개막. 한미간 재외동포법개정추진위원회 결성, 공동대표 강득희, 차종환
4.26 : 앤 박 한미민주당협회 회장 취임
4.29 : 4.29 폭동 10주년 기념행사(서울국제공원)
4.29 : 4.29협회(회장 홍사일), 「4.29폭동 백서」 발행
5.22 : LA 상공회의소 새 회장 이용태 선출
6.5 : 국제태권도연맹 최홍희 총재 사망, 평양
6.14 : 아칸소주 리틀락에 태권도 사범 이행웅 흉상 제막식
6.15 : 6.15 남북공동선언 2주년 기념 남북 가곡의 밤 (지휘 조민구)
6.18 : 30여 단체장 제26대 한인회장 당선무효 및 재선거 소송
6.27 : 미국 상원은「2003년 1월13일 한국이민 100주년을 맞아 2003년 1월13일을 한국이민의 해로 선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 법안 발의는 2001년 11월30일George Allen 의원(공화당 버지니아)이 발의
6.29 : 한국 월드컵 역사상 첫 4강 진출 신화창조(LA 한인 2만여명 스테이플 센터에서 한국팀 응원)
6.29 : 오렌지카운티 전직 한인회 이사장 한우회 창립, 초대회장 박진방
7.1 : 네이티브 스피커(Native Speaker)의 저자 이창래씨 프린스턴 교수 임용
7.9 : 재외동포재단 주최, 세계한인회 회장단 회의 개막(서울 롯데호텔)
7.19 : LA 한국인권문제연구소 새 회장 차종환 취임
7.19 : LA 붉은악마클럽(Red Devil Club) 공식 출범, 회장 랜디 조
7.25 : 가든그로브 시의원 출마 박동우 후보 선거기금모금 만찬
7.28 : 「동양선교교회 30년사」 발간(발행인 강준민 목사)
8.5 : 피오피코 코리아타운 도서관 재단장후 개관. 관장 미키 림, 새 후원회장 노재민, 민병용
8.13 : 메릴랜드주 판사 한인 2세 브라이언 김(김국현) 임명
8.15 : 테미 정 한인여성으로 최초 LA카운티 판사 임명
8.15 : 캘리포니아주 상하원「한인이민 100주년 기념안」 만장일치 통과, 발의 리차드 플랑코 주 상원의원(제22지구, 민주)
9.6 : 국민회관 복원 동포 초청 만찬 및 대회, (옥스포드호텔), 한국 도산기념사업회 이만열 교수 등 참석
9.17 : LA 한인상공회의소(회장 이용태) 한인타운 상징물 디자인 결정. 한국 전통 남대문 양식 데이빗 정 교수(조지메이슨대)와 주디 바카(UCLA)의 작품
9.19 : LA 무궁화 노인복지회관 착공식(올림픽과 노르만디 코너)
9.21: 미주이민 100주년 기념 제1회 애국선열 추모제
9.22 : LA 달마사 창립 30주년 기념 대법회, 숭산행원 큰 스님, 성채 큰 스님, 현각 스님 참석
9.24 : 미 연방하원에서「2003년을 한국이민 100주년의 해」로 만장일치 결의
9.26 : 제29회 LA 한국의 날 축제 개막
9.30 : 밝은 미래재단 (이사장 홍명기) UCLA 등 기금 8만3천달러 첫 전달
9.30 : 샌디에고 연방 이민법원, 탈북 김순희에게 망명 허가
10.1 : 한국의 태풍 수재민 위해 남가주에서 70만달러 모금
12.5 : 미주 한인이민 100년사 출판 기념회
2003년
1.1 : 파사디나에서 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Rose Parade에 꽃차 참가
1.13 : 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기념식 호놀룰루에서 거행. 한국정부는 미국 이민 100주년 기념우표 발행
5.9 : 워싱턴 DC에서 미주 이민 100주년 한미정상 초청 한미지도자대회[/toggle][/accordian][/one_full][/fullwidth]